메뉴 건너뛰기

close

▲ 대보름 달집태우기 행사
ⓒ 국립극장

음력 정월은 세시풍습에서 가장 중요한 달이다. 한해를 맞는 설이 있고 또 대보름이 있기 때문이다. 설이 부모나 친지를 찾는 혈족단위의 명절이라면, 대보름은 그저 자신이 속한 마을공동체와 함께 즐기는 마을단위의 축제라는 점에서 구분된다.

현대에 들어 마을개념이 퇴색한 탓에 덩달아 대보름의 의미로 축소되었지만, 그나마 대보름 풍습에 담긴 개인적인 구복의식이 남아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대보름을 작은 명절로 맞고 있다.

국립민속박물관이 펴낸 <세시풍습사전> 다섯 권도 정월편만을 따로 한권으로 편성하고 있을 정도면 그 중요성을 미루어짐작할 수 있다. 세시풍습사전 정월편은 대보름에 대해서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정월 대보름은 한국세시풍속에서 비중이 크고 뜻이 깊은 날이기 때문에 보통 대보름이라고 특별히 일컫는다. 이 날을 상원(上元)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중원(中元. 7월 15일), 하원(下院. 10월 15일)과 연관해서 부르는 한자어이다. 또 이 날을 오기일(烏忌日) 또는 달도(怛忉)라고 부르기도 한다’

보름의 세시풍속은 까마귀와 연관이 있다. 삼국유사로부터 전해지는 보름의 유래는 까마귀가 소지왕을 위급에서 구해준 일로 해서 돼지, 쥐, 말 날에는 여러 가지 삼가게 한 것에서 찾는다. 그래서 오기일이라 부르며 달도는 속말이다.

▲ 대보름 볏집세우기를 하는 어린이들
ⓒ 국립민속박물관

유래는 그렇다 하더라도 오랜 세월 민간의 삶을 통해 자리 잡아가면서 자연스럽게 농경사회의 요구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세시풍속으로 발전해왔다. 대보름의 대표적 풍속 중 하나인 다리밟기도 결국은 농사와 깊은 연관이 있는 것이다.

다른 때와 달리 점복도 이 때에는 풍년과 관련된 것이 많이 행해지며, 물론 개인의 액막이도 더불어 수행된다. 개인과 공동체의 안위를 동시에 노리는 것이 대보름풍속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대보름풍속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국립민속박물관 홈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세시풍습사전)> 정월 편을 참고하면 이모저모 상세히 알 수 있다.

대보름을 맞아 국립민속박물관, 국립중앙극장, 국립국악원 세 기관이 대대적인 대보름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설날에는 별다른 행사없이 지난 국립극장도 대보름만은 큰 행사를 마련하는데, 그만큼 대보름이 공동체에 기여하는 바가 큰 까닭이다.

우연이겠지만 이 세 기관은 모두 지하철 3호선으로 연결이 된다. 국립민속박물관이 경복궁역이나 안국역, 국립극장이 동국대역 그리고 국립국악원은 남부터미널역에서 연결된다.

우선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신광섭)은 세시풍속의 전담기관답게 3일 토요일부터 대보름맞이 다채로운 행사를 준비한다. 타 기관이 공연을 주로 하는 곳이라서 야간행사에 중점을 둔 반면 국립민속박물관은 낮행사가 주를 이룬다. 달집태우기는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어려움 점이 있기 때문에 박물관에서는 낮 동안 <풍년기원 꼬마 볏가리대 세우기>와 줄다리기 행사를 개최한다.

▲ 국립극장 무용단의 대보름 창작무용 '기원'
ⓒ 국립극장

볏가리대 세우기는 짚이나 헝겊 등으로 벼·보리·조·콩 등 갖가지 곡식을 싼 후 긴 장대에 매달아 우물이나 마당 또는 외양간 옆에 높게 세워놓고 풍년을 기원하던 농경의례이다. 또한 줄다리기(기지시 협조)도 행해지는데, 암수 한 쌍의 줄을 미리 신청한 관람객들이 당겨보게 된다.

이밖에도 승경도 놀이, 액막이연 만들기, 한지공예품 만들기, 민화 그리기 등의 행사도 양 이틀간(3월 3일, 3월 4일) 박물관 앞마당에서 펼쳐져, 국립민속박물관 관람객 누구나 전통 세시 풍속 행사에 참여할 수 있다.

국립중앙극장(극장장 신선희)의 경우는 남산을 끼고 있어 대보름 달바라기의 중심이 되고 있다. 예부터 서울사람들은 낮에 수포교 등을 밟은 후에 남산에 올라 달바라기를 하곤 했다. 국립극장의 대보름행사 하이라이트는 비나리의 명인 이광수를 비롯한 국립무용단, 관현악단 등이 펼치는 <복맞이공연>과 광장에서의 달집태우기이다.

공연이 시작되기 전 체험마당이 열리던 광장에서는 길놀이가 벌어지고, 길놀이는 자연스럽게 해오름극장으로 이어져 대보름맞이 공연을 관람하게 된다. 국내 최고의 명인과 단체가 준비한 공연으로 분위기를 돋은 후 대보름 큰 달이 그윽하게 남산을 비출 즈음 관중 모두는 다시 광장으로 나가 대보름 달집태우기를 함께 체험하게 된다.

중요한 점은 이 날 참가객 중 100명을 추첨하여 국립극장 전속단체의 공연을 볼 수 있는 무료 관람권을 나눠준다. 잘만하면 대보름에 작지만 행운의 주인공이 될 수도 있다.

전통문화의 3호선 라인 종착지인 국립국악원(원장 김철호)은 앞서 두 기관이 대보름에 관련한 포괄적인 문화행사를 꾸민 것과 조금 달리 조선후기의 대보름풍경을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국악원은 향후 5년간 조선시대로 시작해서 차츰 더 예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시대별 대보름 풍경찾기에 나설 계획인데, 올해 조선시대 대보름풍경찾기는 함경도, 강원도, 경북 등지에서 관아놀이 혹은 원님놀이 등으로 불리던 민속놀이를 무대화한다.

▲ 국립국악원 무용단의 대보름 강강술래
ⓒ 국립국악원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펼쳐진 원님놀이는 국악원 산하 3단체가 총출동한다. 새 예술감독을 맞은 정악단(예술감독 김한승), 민속악단(예술감독 강정숙) 그리고 무용단(예술감독 이진호)가 힘을 모아 만든 원님놀이는 대보름에 대한 의미와 재미를 함께 줄 좋은 선물이 될 것이다.

예악당에서 공연관람을 마친 후에는 모두 잔디광장으로 나와 출연진과 관객이 함께 손을 잡고 강강술래 등으로 흥겨운 대동마당을 만들게 된다. 민속악단의 남도명창들이 부르는 민요와 무용단의 춤에 자연스럽게 모두 하나되는 장관을 연출하게 된다.

요즘도 가까운 사람들끼리 서로 더위를 판다 산다 하며 대보름 더위팔기를 한다. 국립국악원에서 이번 대보름에 선보일 대보름노래 중 하나인 더위타령은 그 가사만으로도 충분히 옛 선인들의 대보름 정취를 느낄 수 있어 옮긴다.

더위타령

각시네 더위를 사시오 일은 더위 느즌 더위 여러 해 푹 묵은 더위
오뉴월 복더위에 정(情)의 임 만나 잇셔 달 밝은 평상 우헤
츤츤 감겨 누엇다가 무슨일 하엿든가 오장이 번열하고. 구슬땀 흘니면서
어이구 목말라 헐덕이던 그 더위와 동지달 긴긴밤에
고은 임 다리고 다스한 아르목과 듯거운 이불속에
두몸이 한몸되야 그리저리 하니 수족이 답답하여
목구멍이 타올적에 웃목의 찬숭녕을 벌덕벌덕 켜난 더위를
각시네 사려거든 소견대로 사오시오
당사야, 네 더위 여럿중에 임 만나난 두 더위야 뉘 아니 조아하리
남의게 팔지말고 내게 죄다 부대 파르시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