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담당공무원이 내놓은 명함아닌 명함..담당자는 노출되지않게 처리했다.
ⓒ 안영건

@BRI@공무원실명제가 도입된 지 2년이 됐지만, 일선 동사무소나 구청에서 민원인이 공무원 명함을 받기는 여전히 '하늘의 별따기'여서 제도가 빛을 잃고 있다.

2005년 도입된 공무원실명제는 정부가 불량정책 '제로'에 도전하겠다는 방침으로 도입한 제도로, 국가행정 역사에서 획기적인 조치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초기와는 달리 이 제도는 일선 현장에서 제대로 지켜지지 못하고 있다. 공무원들은 한결같이 "명함이 없다"며 이름만 알려주고 있었다.

평택시에 위치한 문예회관의 경우, 대관 문의를 한뒤 담당자의 명함을 받으려 했으나 "명함을 추가로 만들어 주지 않았다"며 메모지에 이름을 적어주었다. 관내 동사무소에도 사회복지 관련 자료를 문의했으나 역시 직책과 담당은 없이 이름과 전화번호부만 전달받았다.

이외에도 평택시 모 출장소의 경우 일부는 명패를 달거나 부착하지 않는 공무원들이 있는가 하면, 평택시청 한 부서에서도 역시 메모지로 명함을 대체했다.

책임있는 행정으로 시민들에게 다가가기 위해서는 명함을 건네는 대민 서비스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덧붙이는 글 | 대부분의 공무원들이 자신의 이름을 떳떳이 밝힐수 있는 그날이 오기를 고대합니다.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일간지에서 사회부 기자로만 17년 근무해왔습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