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최장집 고려대 교수
최장집 고려대 교수 ⓒ 오마이뉴스 이종호
"진보적이고 비판적인 언론은 진보에 대한 사명감은 강한데 내용이 부실하거나 일관성이 없어 보일 때가 많다."

진보 진영의 좌장격인 최장집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사진)가 진보를 표방하는 언론에 일침을 가했다.

최 교수는 13일 언론광장(상임대표 김중배)이 한국프레스센터 외신기자클럽에서 주최한 송년의 밤 행사에서 '민주주의 이후의 민주주의와 언론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강연했다.

최 교수는 진보적 언론에 대해 '내용 부실·일관성 결여'를 지적했고, 일부 거대 언론에 대해서는 '약한 민주정부의 실패'라고 비판했다.

최 교수는 "민주적인 언론인들이 헤게모니를 수용하는 것, 민주화 운동의 열정을 견지하는 것 등에 만족하지 못해 실존적인 고뇌를 하게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진보에 대한 사명감은 강한데 내용이 부실하거나 일관성이 없어 보일 때가 상당히 많다"며 진보적 언론에 문제를 제기했다.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에 대한 언론의 고민 없었다"

@BRI@최 교수는 "거대 주류 언론은 약한 민주정부의 실패가 만들어낸 다른 모습"이라며 일부 언론을 꼬집었다.

그는 "사회경제적 문제들이 표출되고 정책을 만든 후 이것이 문제가 있을 때 보완하는 환류의 시스템이 '정치' 과정인데, 언론은 완전히 외부에 있다"며 "민주주의의 형식적 틀 안에서 언론이 실제 정치과정을 압도해 결국 유사 대표 체계가 됐다"고 언론에 과도하게 부여된 사회적 역할을 지적했다.

또한 "민주화 과정에서 언론인의 역할이 컸고, 민주화운동 경험을 가진 언론인들이 의제와 여론을 형성하면 좋은 정책이 나오고 사회가 변화할 것이라 기대했다"며 "하지만 결과는 기대와 달랐다"고 털어놓았다.

그러면서 "한국 민주화운동은 사회경제적인 민주화에 약해,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를 어떤 내용으로 채우고 이룰 것인가에 대해 언론인들도 깊은 생각을 하지 않을 것 같다"며 배경을 설명했다.

최 교수는 "사회적 갈등을 대표하는 것이 정당의 기본적인 역할이고 민주주의는 정당의 기초 위에 서 있어야 하는데, 언론이 갈등 자체를 부정적으로 보고 반정치적인 보도 경향을 보이고 있다"며 "좋은 정치 기사를 보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이런 환경에서 민주주의가 존재하기가 상당히 어렵지 않겠느냐"고 아쉬움을 표했다.

내년에 있을 대선에 대해 "야당이 집권당이 되면 현재 주류 언론의 권력이 더 확장될 것이라 보지 않는다"며 "민주화로 변화, 강화된 사회의 힘이 (지금은) 침잠해 있어서 권력이 보수적 정치세력으로 넘어가면, 이 힘의 관계가 지금보다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