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농아장애인 한 분이 진료를 받고 있습니다. 이 분들은 의사소통이 되지 않으니 아파도 병원에 올 엄두가 나질 않는다고 합니다. 이 날 찾은 병원은 전북 군산에 있는 나운한방병원인데요, 사진 속 원장님은 그동안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 등 장애인분들에게 무료로 진료를 해 주었답니다.
농아장애인 한 분이 진료를 받고 있습니다. 이 분들은 의사소통이 되지 않으니 아파도 병원에 올 엄두가 나질 않는다고 합니다. 이 날 찾은 병원은 전북 군산에 있는 나운한방병원인데요, 사진 속 원장님은 그동안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 등 장애인분들에게 무료로 진료를 해 주었답니다. ⓒ 장희용
상황이 이렇다 보니, 농아인들은 혼자서 병원에 갈 엄두를 내지 못하는 건 물론 단체로 진료를 받으러 다니는 것도 쉽지 않다고 합니다.

단체로 가면 수화로 통역을 돕는 자원봉사자분들에 비해 농아환자분들이 많기 때문에 일일이 증상을 설명하고 의사의 처방을 설명하는 등의 일들이 수월하지 않습니다.

나누어 가면 되지 않겠느냐는 의견을 가진 분들도 계시겠지만, 솔직히 단체 진료를 의뢰해도 기피하는 병원이 많아 몇 번에 걸쳐 나누어 진료를 받는 것은 더 어렵다고 하네요.

제가 간 날도 모 한방병원으로 단체 진료를 갔는데, 환자와 의사 사이에서 음성언어를 수화언어로 수화언어를 음성언어로 부지런히 번역해서 전해주는데, 정말이지 정신이 없어 보였습니다. 저도 뭔가를 돕고 싶었지만, 제가 수화를 하지 못하니 그 분들을 도울 길은 전혀 없었습니다.

어떤 농아인분은 자신의 증상이 제대로 설명되지 않고, 또 궁금한 사실이 많은지 자원봉사자 분을 계속 붙잡고 수화를 하려 합니다. 솔직히 비장애인들도 병원에 가서 자신의 증상을 설명하기가 어려울 때가 있는 데, 또 의사가 하는 말이 궁금해 물어볼 것이 많은 데, 속 시원히 자기가 자기 증상을 말하지 못하니 오죽이나 답답할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새삼 장애인 분들이 이 땅에서 살아가기가 참으로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진료가 다 끝나고 돌아오는 동안 차 안에서 못다 한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김 통역사분은 우리나라 장애인 복지가 법으로만 존재한다고 말했습니다.

정말로 장애인분들을 위한 복지정책을 펴려면 장애인분들의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현장에서 들어야 한다면서, 한 예로 오늘처럼 농아인들이 병원을 찾았을 때 그 분들을 돕는 수화통역사나 자원봉사자를 병원측에서 의무적으로 고용, 이를 정부가 지원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말씀을 하더군요.

탁상행정 장애인 복지정책,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수화통역을 하시던 한 분은, 지자체에 한 곳 정도라도 병원에 수화 자원봉사자를 국가가 채용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진정한 장애인 복지정책을 바로 이 같은 현장의 어려움을 해결해주는 것이라면서.
수화통역을 하시던 한 분은, 지자체에 한 곳 정도라도 병원에 수화 자원봉사자를 국가가 채용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진정한 장애인 복지정책을 바로 이 같은 현장의 어려움을 해결해주는 것이라면서. ⓒ 장희용
지극히 맞는 말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장애인 편의에 관한 법률 등이 제정돼 있다고는 하지만, 어디 우리나라에서 법대로 되는 일이 있나요? 기껏해야 보도블록 깔고, 공공기관에 보이기식 편의시설 몇 개 갖춘 것이 아마 전부일 겁니다.

그나마 이마저도 무용지물인 경우가 허다합니다. 왠지 아세요? 장애인 관련 시설을 설치할 때 장애인 분들과 논의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일부에서는 참여를 하는 곳도 있지만, 그 조차도 대부분 형식적인 경우가 많다고 하더군요.

‘국민을 위해 존재한다는 국가가 국민을 위해 무엇을 해 주고 있는가?’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특히 비장애인들보다 더 권리를 보호해줘야 할 장애인분들에게 국가가 무엇을 해 주고 있는지 생각하게 합니다.

흔히들, 탁상행정이라 하지요. 매년 복지예산은 조금씩 늘어난다고 하는데, 그런 점에서는 좋은 평가를 할 수는 있겠지만, 그 늘어난 예산만큼 얼마나 장애인 분들을 위해 효율적으로 집행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좋은 평가를 할 수가 없을 것 같군요.

수치상으로 장애인 복지예산을 얼마 집행했다고 하지 말고, 정말로 장애인들이 필요한 복지정책을 현장에서 듣고, 이를 정책으로 만들었으면 합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아름다운 세상을 꿈꾸는 사람입니다. 아름다운 세상, 누군가 그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지 않으면 결코 오지 않을 세상입니다. 오마이 뉴스를 통해 아주 작고도 작은 힘이지만 아름다운 세상을 위해 땀을 흘리고 싶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