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무너미마을 가는 길
무너미마을 가는 길 ⓒ 손현희
그리운 선생님! 안녕하세요.
지난달 무덤에서나마 선생님을 뵈었던 손현희 입니다.

<우리문장쓰기>를 읽고 선생님을 알고 난 뒤, 벌써 몇 해가 흘렀습니다. 그동안 선생님의 가르침을 받들어 살겠다고 다짐하며 나름대로 애쓰며 살았지만 늘 모자라고 어설프기만 합니다.

처음 선생님 글을 읽으면서 뒤통수를 한 대 세게 얻어맞은 듯한 그때가 떠오릅니다. 남편이 먼저 선생님 책을 읽고 내게 건네주면서 “글쟁이는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다” 하고 말할 때 흔하게 볼 수 있는 ‘시 강의’나 ‘글쓰기 이론’인줄만 알았습니다. 알고 보니 그게 아니었습니다. 내게 알게 모르게 물들어있는 ‘유식병’을 고칠 수 있는 소중한 ‘보약’이었습니다. 그날 뒤로 그동안 썼던 글을 돌아보면서 매우 부끄러워 남편과 저는 둘이 서로 고개를 들 수 없을 만큼 낯이 뜨겁고 화끈거렸습니다.

그때까지 저는 ‘은유’가 시의 꽃이라는 생각이 머릿속에 꽉 틀어박혀 있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어떻게든 아름답게 꾸미려고만 했고, 겉으로 보기에만 그럴싸한 글을 써 왔다는 걸 알았습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써온 글쓰기가 잘못되었다는 걸 알고서도 오랫동안 써 오던 버릇이 있어 쉽게 고치지 못했습니다. 그러면서 틈틈이 선생님이 쓰신 책을 닥치는 대로 읽었습니다.

선생님의 책을 읽을 때마다 ‘우리 말’을 바르게 써야겠다는 다짐을 하고 애를 썼지만 사실 아득하기만 할 뿐 어떻게 해야 가장 올바르게 하는지 몰랐습니다. 그때 읽은 책이 바로 <우리말 살려쓰기> 였습니다. 세 권을 다 읽으면서 그제야 눈이 번쩍 뜨였습니다.

이오덕 선생님 아드님이 사시는 집 대문
이오덕 선생님 아드님이 사시는 집 대문 ⓒ 손현희

가장 먼저 우리 삶에 깊이 뿌리 박힌 한자말과 일본 말투로 쓰는 낱말을 선생님이 가르쳐주신 대로 하나하나 바꿔 쓰는 버릇을 들였습니다. 그리고 그동안 제가 쓴 글을 하나하나 고쳐나갔지요. 글을 고치면서 더욱 낯이 뜨거웠습니다. 한 번 고치고, 며칠 지나 다시 읽어보면 또 고칠 곳이 나와서 몇 번이고 다시 고쳐야만 했습니다.

또, 선생님이 쓰신 책 가운데 ‘바로잡은 낱말모음’을 하나하나 옮겨 적었습니다. 바꿔 쓸 낱말이 워낙 많아서 꽤 오랫동안 옮겨야 했습니다. 그런데 이 일이 한자말과 일본 말투로 된 낱말을 바꾸어, 예쁘고 살가운 ‘우리 말’ 로 고쳐 익히는데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그 뒤로 저와 남편이 함께 꾸리는 누리집에서 선생님이 쓰신 글을 올려놓고, 우리말을 살리려고 애쓰신 선생님의 뜻을 알리며 살고 있습니다. 그리고 퍽 다행인 건 ‘우리 말’에 마음을 쓰면서 ‘최종규’선생을 알게 된 겁니다. 이런저런 반대에 부딪히면서도 선생님의 소중한 가르침을 가장 올곧게 받들며 꿋꿋하게 ‘우리 말 살리는 운동’을 하는 최 선생 덕분에 저희가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때때로 ‘우리말을 살리자’라는 뜻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만나기도 했습니다. 그때마다 매우 답답하고 힘들었지만 선생님의 뜻을 받들어 최 선생이 갈무리해놓은 글을 읽고 이야기하면 쉽게 풀렸습니다. 또 어떤 때에는 툭 던지듯 건네는 말 한마디에 마음을 열고 ‘우리 말’을 받아들이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럴 때는 눈물이 날만큼 기쁘고 퍽 즐거웠습니다.

그리운 이오덕 선생님!
선생님을 알고 나서 가장 서운하고 마음 아팠던 일이 있습니다. 그건 바로 ‘이오덕’ 이란 이름도 몰랐다는 거였고, 이렇게 훌륭한 분이 우리가 알기 바로 한 해 앞서 돌아가셨다는 게 얼마나 가슴 아팠는지 모릅니다. 선생님이 살아 계신다면 가서 얼굴 뵙고 귀한 말씀도 들을 수 있을 텐데, 하는 생각이 들어 매우 서운했습니다.

이오덕 선생님 무덤
이오덕 선생님 무덤 ⓒ 손현희

지난달에서야 선생님 무덤을 찾아갔습니다. 그동안 사는 일에 부대끼다 보니 너무 늦었지요. 무너미마을에 들어서면서 마치 고향에 간 것처럼 기쁘고 가슴이 뭉클하였습니다. 우리 부부와 선생님이 가르치신 ‘우리 말’에 마음 쓰며 살아가는 글동무와 함께 찾아갔습니다. 최 선생에게 길 안내를 받으면서 선생님 무덤까지 오르는데 선생님이 살아 계실 때 그토록 사랑했던 풀과 나무, 그리고 넓은 우리에서 살고 있는 짐승들을 보면서 얼마나 가슴이 벅찼는지 모릅니다.

무덤 둘레에 선생님이 쓰셨던 책이름이 하나하나 돌에 새겨있는 걸보고 퍽 반가웠습니다. 우리 셋이 선생님께 인사를 올리고 일어섰는데 그만 목이 메고 눈시울이 뜨거워져 울고 말았습니다. 쌓여 있던 그리움과 선생님이 온 삶을 바쳐 이루고자 했지만 아직도 이 땅에서 제대로 고쳐지지 않는 것들 때문에 가슴 아팠던 서러움이 밀려왔기 때문일까요?

선생님이 계신 무덤에서 머무르는 동안 최 선생과 이야기를 나누며 새롭게 마음을 다지고 또 다졌습니다. 그건 바로 우리 목숨이 붙어있는 동안 아무리 힘든 일이 있어도, 그 어떠한 반대에 부딪혀도 내가 서있는 제자리에서 끊임없이 ‘우리 말’ 살리는 일을 알리고, 바로잡는데 삶을 바치겠다는 굳은 다짐을 하고 산에서 내려왔습니다.

보고 싶은 선생님!
어제(8월 25일)는 선생님이 돌아가신 지 세 해가 되는 날이었습니다. 선생님을 기억하는 사람들이 인터넷 글방과 기사에서 선생님의 뜻을 새기자는 이야기를 읽었습니다. 그걸 보면서 또 얼마나 가슴이 뜨거웠는지 모릅니다. 무너미 마을까지 찾아가지는 못했지만 멀리서라도 선생님 생각을 하면서 하루를 보냈습니다. 하늘도 제 마음을 알았는지 비가 내렸습니다.

이오덕 선생님 시비
이오덕 선생님 시비 ⓒ 손현희

선생님, 아직은 멀고 힘든 길이겠지요? 그러나 한 사람이라도 우리 겨레를 살리고, 우리 얼을 되찾는 참된 ‘우리 말’에 마음 쓰는 사람이 있다면 그것도 기쁜 일이겠지요. 더구나 이런 사람이 제 둘레에서도 차츰 늘어나고 있다는 게 얼마나 마음 든든한지 몰라요. 선생님 책을 많이 읽거나, 그렇지 않거나를 떠나서 한 줄을 읽어도 그걸 마음에 새기고 자기 삶에 채운다면 더욱 값진 일이겠지요. 저는 그렇게 믿고 있습니다. 아마 선생님께서도 가장 바라는 일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선생님, 사람 앞일은 누구도 모르지만 선생님이 하셨던 그 일을 언제까지나 제 힘껏 따르겠습니다. 늘 지켜봐 주시고요. 잘못하는 게 있으면 어떤 쪽으로든 깨우치게 해 주세요. 다음에 선생님 무덤에 찾아갈 때는 더욱 좋은 소식을 안고 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이만 줄이겠습니다. 선생님, 안녕히 계셔요.

2006년 8월 26일

들풀처럼 낮고 하찮은 손현희 올림.

이오덕 선생님은 땅과 푸나무, 자연을 사랑하셨지요.
이오덕 선생님은 땅과 푸나무, 자연을 사랑하셨지요. ⓒ 손현희

덧붙이는 글 | 한빛이 꾸리는'우리 말' 살려쓰는 이야기가 담긴 하늘 그리움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남편과 함께 자전거를 타고 오랫동안 여행을 다니다가, 이젠 자동차로 다닙니다. 시골마을 구석구석 찾아다니며, 정겹고 살가운 고향풍경과 문화재 나들이를 좋아하는 사람이지요. 때때로 노래와 연주활동을 하면서 행복한 삶을 노래하기도 한답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