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 남산 공원에 있는 나무는 대부분 흙 위로 뿌리를 드러낸 채 사람들에게 밟히고 있다.
ⓒ 박미경
화순읍 중앙에 자리해 주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는 남산의 나무들이 죽어가고 있다.

1970년에 만들어진 남산공원 곳곳에서 흙이 쓸려 내려가고 이로 인해 공원 나무들이 뿌리를 훤히 드러낸 채 죽어가고 있지만 화순군은 아무런 대책도 세우지 않고 있다.

남산공원은 벚나무, 느티나무, 소나무 등 수령이 수십 년이 넘은 나무들이 숲을 이루고 있어 많은 주민이 산책과 운동을 즐기기 위해 이곳을 찾고 있다.

그러나 공원이 만들어진 지 수십 년이 지나면서 남산공원의 나무들은 뿌리를 덮고 있던 흙이 계속해서 쓸려가 땅속 깊숙이 박혀있던 뿌리부분이 땅 위로 드러난 채 사람들의 발에 밟히고 있다.

▲ 경사면에 있는 나무들이 금방이라도 쓰러질 듯 위태롭다.
ⓒ 박미경
그나마 평지에 있는 나무는 뿌리가 드러나도 질긴 생명력으로 근근이 버티고 있지만 경사가 있는 곳에 심은 나무들은 사정이 더 나쁘다. 남산공원 곳곳에서 뿌리를 덮고 있던 흙이 쓸려나가 금방이라도 쓰러질 듯 위태로운 모습으로 간신히 서 있는 나무들의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뿌리를 땅 위로 훤히 드러낸 채 간신히 버티고 서있던 한 나무는 길을 가로질러 쓰러지다가 그곳을 지나는 전선에 간신히 걸쳐져 있어 자칫 큰 사고로 연결될까 염려스러운 상황이다.

▲ 더이상 지탱하지 못하고 쓰러진 나무가 전깃줄에 걸려있어 큰 사고로 이어질까 염려스럽다.
ⓒ 박미경
화순읍사무소 뒤쪽으로도 흙이 계속 쓸려 내려가자 폐타이어를 쇠기둥으로 고정해 흙이 더는 쓸려 내려가는 것은 막았지만 폐타이어가 쌓인 부근에는 더는 나무들이 자라지 못한다.

주민 김 아무개(화순읍)씨는 "남산에 자주 오르는데 이곳 나무들을 볼 때마다 안타깝다"며 "산이 무너지든 나무가 죽든 나 몰라라 할 거면 뭐하러 남산을 공원으로 만들었는지 모르겠다"며 공원관리에 소홀한 화순군을 비난했다.

공원 곳곳의 흙이 계속 쓸려나가면서 나무들이 생명을 위협받고 있지만 화순군에서는 서로 '소관업무'가 아니라며 공원 관리에 대한 책임을 미루고 있다.

도시지역 내 공원 등 '도시계획시설을 결정'하고 '도시계획시설공사' 업무를 맡고 있는 도시경제과에서는 "공원에 대한 관리는 지역개발과에서 하고 있다"며 책임을 돌렸다.

'도시공원개발 실시계획'업무를 맡고 있는 지역개발과는 "공원 개발을 할 뿐 관리는 하지 않는다"며 "공원관리는 도시경제과에서 할 것"이라며 책임을 미뤘다.

나무와 숲 가꾸기 등 산림 전반에 대한 업무를 맡고 있는 산림과에서는 "남산은 공원으로 산림과에서 관리할 책임이 없으며 다른 부서에서 관리를 맡아 달라는 업무협조요청도 없었다"며 남산공원과는 아무런 연관이 없다고 말한다.

문화관광과에서도 남산공원 안에 게이트볼장 등 체육시설이 들어 있지만 '남산공원처럼 도시계획지구 내 체육시설이나 공원은 도시경제과에서 관리토록 돼 있어 남산공원 관리를 하지 않고 있다'고 한다.

화순군청 내 각 실과소가 서로 책임을 미루면서 관리부서가 어디인지조차 알 수 없는 상황이다. 화순군청 관련 부서들이 남산공원에 대한 관리책임을 서로 미루고 있는 가운데 남산공원은 황폐해지고 공원의 나무들은 서서히 죽어가고 있다.

수십 년간 주민들의 편안한 휴식처 구실을 해 온 화순남산공원이 더는 황폐해지지 않도록 관심을 둬야 할 때다.

▲ 흙이 계속 쓸려내려가자 쇠로 폐타이어를 고정시켜 놓았다.
ⓒ 박미경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화순의 소식을 알리는 디지탈 화순뉴스(http://www.hwasunnews.co.kr)에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주변에서 일어나는 사건이나 어떤 사항에 대해 알리고 정보를 공유하고 이야기하고 싶고 글로 남겨 같이 나누고싶어 글 올립니다. 아직 딱히 자신있는 분야는 없지만 솔직하고 공감이 가는 이야기를 쓰고 싶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