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정운찬 서울대 총장(자료사진).
정운찬 서울대 총장(자료사진). ⓒ 오마이뉴스 권우성
이날 학·처장단 회의에 참석한 모 대학 학장은 <오마이뉴스>와 통화에서 "이번 학·처장단 회의에서 (황 교수 사태 해결을 위한) 어떤 결정을 내린 것은 없다"며 "정 총장이 어떤 의견이 있는가 이런 저런 얘기를 듣는 수준이었다"고 밝혔다.

그는 "학장들 사이에 여러 의견이 있었다"며 "서울대가 나서서 황우석 교수를 보호하자는 의견도 있었고, 전문가들 몫이니까 과학자들이 해결하는 것으로 남겨둬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고 전했다.

또한 그는 '대학본부 생명윤리위원회 차원에서 조사하거나 논문을 재검증하기로 결정했냐'는 질문에 "구체적인 방안은 전혀 결의한 바 없다"고 말했다. 또 "학·처장들이 의견을 제시한 만큼 나머지는 정 총장이 고민해서 결정할 일"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정 총장이 직접 학·처장단 회의에서 황 교수 사태와 관련, 학내 의견수렴을 함에 따라 조만간 학교 차원의 입장을 표명하지 않겠느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아직 대부분 교수들은 서울대가 황 교수 파문에 적극 나서는 일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노정혜 서울대 연구처장은 이날 회의가 끝난 뒤 기자들을 만나 "(학장단 회의에서) 서울대가 여론에 휩쓸리지 말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며 "과학은 과학으로 풀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으며 학교가 나서기보다는 지켜보자는 신중론이 우세했다"고 밝혔다.

회의에 참석했던 모 대학 학장 역시 비슷한 의견을 내놨다. 그는 사견임을 전제로 "과학계에서 논문이라는 것은 0.1%만 이상해도 여러 사람이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며 "논문은 결국 세월이 지나가면서 연구가 진척되는 과정에서 검증되고 발전해 나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대가 나서서 논문 재검증을 하기보다는 과학계가 스스로 해결하도록 시간을 주자는 뜻이다.

서울대 안팎, '논문 재검증' 목소리 커져... 정운찬의 결단은?

서울대 정문
서울대 정문 ⓒ 안현주
그러나 다른 목소리도 있다. 생명공학 관련 연구를 하고 있는 일부 교수들은 이번 파문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라도 서울대가 나서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서울대 생명과학부와 농업생명과학대 등 생명과학과 관련된 대학의 젊은 교수들을 중심으로 황 교수에 대해 제기된 의혹을 대학 차원에서 규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

이들은 8일 오전 정 총장을 면담해 대학 차원의 진상 규명을 요구할 계획이었으나, 정 총장 일정 등의 이유로 성사되지는 못했다. 그러나 젊은 교수들과 정 총장의 면담이 조만간 이뤄질 것이라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서울대 밖에서도 '논문 재검증'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젊은 과학자 모임인 '대전 시민참여연구센터'는 지난 7일 성명을 통해 "배아줄기세포 진위 논란의 유일한 해결책은 과학적 진실을 밝히는 것"이라며 과학계의 황 교수 논문 재검증을 주장했다.

생명공학 관련 시민단체인 '생명공학감시연대' 역시 "제3 기관에 의한 재검증"을 요구하고 있다. 생명공학감시연대는 지난 6일 성명을 내고 "불과 며칠이면 논란을 종식할 수 있는 길을 두고 (황 교수팀이) 이를 거부하는 이유를 이해할 수 없다"고 비판하고 "제3의 기관에 의한 DNA 검사방식만이 신속하게 문제를 해결하면서 객관성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논란 초기 황 교수에게 법률적 자문을 해준 김형태 변호사도 7일 <오마이뉴스>와 인터뷰에서 "황 교수가 논문 재검증에 응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게다가 <사이언스>와 쌍벽을 이루는 국제과학저널 <네이처>도 지난 6일 황 교수 논문에 대한 의혹을 제기하는 기사를 실은 바 있다. 미국 피츠버그대도 황 교수 논문의 진실성 여부를 가리기 위한 예비조사에 착수해 파문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한편 서울대는 조만간 대학본부 간부회의를 열어 최종 입장을 정리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서울대는 전날(7일)에도 대학본부 생명윤리위원회를 열어 황 교수 파문에 따른 대책을 논의한 바 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01년 오마이뉴스 입사 후 사회부, 정치부, 경제부, 편집부를 거쳐 정치팀장, 사회 2팀장으로 일했다. 지난 2006년 군 의료체계 문제점을 고발한 고 노충국 병장 사망 사건 연속 보도로 언론인권재단이 주는 언론인권상 본상, 인터넷기자협회 올해의 보도 대상 등을 받았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