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연못은 우리들의 삶에 무슨 의미로 다가오는가? 도시공간의 꽃인 공원이나 정원에 연못이 없다고 한 번 상상해 보자. 이 얼마나 삭막하고 공허할 것인가!

우리 나라 궁궐이나 반가의 정원에는 대부분 연못을 두었는데, 이 연못 속에는 우리가 모르고 그냥 지나치기 쉬운 여러 가지 동양사상이 연꽃을 피우고 있다.

▲ 전통정원의 연못에는 그냥 지나치기 쉬운 동양사상이 연꽃처럼 만발해 있다. 창덕궁 부용지
ⓒ 한석종

▲ 자연의 고유형태를 자연스럽게 정원에 끌어들였다. 창덕궁 후원 옥류천
ⓒ 한석종
우리 나라의 전통정원 양식은 주변 자연환경을 잘 활용하면서 상징적 의미를 적절히 부여하였다. 정원을 조성하면서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난 장애물을 없애고 새로이 인공시설을 가미하기보다 자연의 고유 형태를 가능한 한 수용하면서 이를 집터나 정원에 자연스럽게 끌어들이려 애썼다. 이것은 인위적으로 자연굴곡을 준 중국이나 일본의 것과는 형태적으로는 일면 비슷해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독자적인 특징이 담겨져 있다.

▲ 불균일한 주변 경관과 정돈된 직선의 건축물이 대조를 이루며 시원한 눈맛을 연출하고 있다. 경복궁 경회루
ⓒ 한석종
그러나 연못이나 누각, 화단, 담장, 굴뚝 등은 의도적으로 직선 처리하여 자연과의 대비를 꾀했다. 자연경관이 불균일한데 또 다시 건조물들을 불규칙하게 처리할 경우 오히려 산만한 느낌을 가져다주기 때문이다. 이렇듯 자연적인 요소를 최대한 배려하면서 건조물과의 적절한 대비를 이루도록 의도한 것이 바로 우리 전통정원의 가장 뛰어난 미학이며 특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천원지방(天圓地方) 사상

천원지방 사상은 우주의 생성원리의 하나로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난 형"이라고 중국 한나라 회남자(淮南子)의 기록에서 유래되었다. 원은 절대성을 지닌 하늘을 상징하며 영혼과 사후세계를 뜻하며 정방형(사각형)은 물질세계인 땅을 의미한다.

▲ 지방사상의 영향으로 땅과 곡식을 관장하는 신에게 제를 올리는 사직단은 사각형의 형태를 띠고 있다. 서울 사직단
ⓒ 한석종

▲ 천원사상의 영향으로 하늘에 제를 올리던 천제단은 원형의 형태를 띠고 있다. 태백산 천제단
ⓒ 한석종

▲ 하늘에 제를 올리던 중국의 천단도 천원사상에 의거 원형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중국 기년전
ⓒ 한석종
조선시대에는 선대왕들의 신위가 모셔진 종묘와 사직을 보존하는 일을 무엇보다 중요시했으며 왕조체제를 지탱해주는 최후 보루였다. 사(社)는 땅을 관장하는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곳이고, 직(稷)은 곡식의 신에게 제사 지는 곳으로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라는 천원지방 사상에 의거 땅의 신과 곡식의 신의 제단은 방형(사각형)의 형태를 띠고 있다. 이와 달리 국태민안과 풍년기원을 위해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천제단은 천원사상에 입각하여 원형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우리 나라 연못의 형태가 대부분 정방형(사각형)인데 그것은 물질세계인 땅을 상징하고 연못 가운데 둥근 섬은 신선이 사는 하늘을 뜻한다. 그러므로 땅의 인간이 연못속의 물을 통해 신선이 노닐던 섬(인공섬)에 올라 궁극적으로 하늘로 향한다는 향천사상이 담겨져 있다.

신선사상

신선사상은 불로장생의 신선의 존재를 믿고 그 경지에 달하기를 바라는 사상이다. 본래 중국 고대에 있었던 산악신앙과 깊은 기원적인 관계가 있는 신선설은 도가의 지인, 진인, 신인 등을 말하는 장수우언을 사실같이 다루고 있으며, 신선이 산다는 바다 속의 봉래, 방장, 영주의 삼신산은 이곳에 불로장생의 선약이 있고, 부귀전능의 생활이 가능한 낙원으로 인간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유토피아를 의미한다.

▲ 연못주변에는 십장생 등이 새겨진 점경물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창덕궁 부용지
ⓒ 한석종
신선사상에서 말하는 삼신산과 십장생은 불로장생을 상징하는 것으로 우리 나라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의 정원문화에서도 많이 활용되었다. 이러한 신선사상은 전통정원 내의 점경물과 정자의 명칭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연못 가운데에 인공섬(中島)을 '신선이 사는 산' 즉, '선산(仙山)'이라 불렀으며 이곳에 십장생의 하나인 소나무를 주로 식재하였고, 해, 산, 물, 돌, 구름, 불로초, 거북, 학, 사슴 등의 문양을 새겨 넣기도 하였다.

도가적 은일사상

궁궐이나 반가의 전통정원을 조성한 우리 선조들의 자연관과 인생관에 구체적으로 반영된 사상 중의 하나가 도가적 은일사상(隱逸思想)이다. 은둔사상이 참여를 거부하는 완전한 현실 도피를 의미한다면 도가적 은일사상은 세속적인 욕심을 버리고 덕을 몸소 실천하고자 하는 뜻이 담겨져 있다.

도가적 은일사상은 노장사상의 핵심인 도와 무위의 개념에서 비롯되었는데, 도란 반드시 그렇게 된다는 자연법칙이자 우주의 본체이며, 무위는 자연의 순리대로 살아가는 것을 말한다. 즉, 무위는 도를 파악하고 도에 의거 실천하는 행위로 보고 있다.

이러한 것은 결국 자연이라는 모든 존재의 모태 속으로 돌아감으로써 인간의 우환이 근본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는 자연에의 귀의를 의미하는 것이며, 따라서 세속적인 욕망에서 벗어나 허심을 추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가적 은일사상은 문학으로부터 정원문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에 걸쳐 은일적 자연관을 형성하여 깊은 영향을 주었다. 은일 사상은 단순히 현실도피를 의미하지 않으며, 보다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로 잠시 일상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에너지를 충전하고자 하는 심신수련과 자연주의적인 삶을 추구하였다.

음양오행사상(陰陽五行)

음양오행사상은 주역에서 비롯되었는데 동양적 우주관을 잘 나타내 주고 있으며, 우주, 자연의 생성, 변화에는 태극(太極)에 있으며, 태극이 음과 양을 낳았고 이 양의가 사상을 낳았으며, 그 사상이 세상의 모든 현상을 여덟 가지의 상, 즉 건(乾), 태(兌), 이(離), 진(震), 손(巽), 감(坎), 간(艮), 곤(坤)의 팔괘(八卦)를 낳았다고 보았다.

음양설이 우주, 자연의 일체 현상을 음양이기로 해석하고 그 원리는 구체적으로 오행설이 설명하고 있다. 오행설은 화(火), 수(水), 목(木), 금(金), 토(土)의 다섯 요소에 의해 우주자연현상의 상태나 성질을 상징하며, 이 오행의 기가 순환하면서 우주와 인간생활의 모든 현상을 생성 변화시킨다고 보았다. <전통조경론, 최만봉>

▲ 네모난 연못 가운데에 둥근 섬을 쌓아올린 것은 음양이 결합하여 우주만물을 생성한다는 음양오행설의 원리를 잘 나타내 주고 있다. 창덕궁 부용지
ⓒ 한석종
중국이나 일본 등의 연못 형태가 자연스러운 곡선을 띠고 있는데 비해 우리 나라의 경우 직선 형태를 띤 것은 이러한 음양오행 사상의 영향이 크다. 네모난 연못의 형태는 땅(음)을 상징하며, 연못 속의 둥근 섬(中島)은 하늘(양)을 상징한다. 즉, 네모난 연못 가운데에 둥근 섬을 쌓아올린 것은 음양이 결합하여 우주만물을 생성한다는 음양오행설의 원리를 잘 나타내 주고 있다.

풍수지리사상

신라 이후 우리 민족에게 깊은 영향을 끼친 풍수지리사상은 음양론과 오행설을 기반으로 주역의 체계를 주요한 논리구조로 삼고 있으며, 음양오행사상과 유사한 면이 많지만 역의 팔괘, 고려시대의 풍수도참설, 한국의 샤머니즘, 불교의 선근공덕 등 다양한 사상이 혼재되어 독자적인 사상체계로 발전해 왔다. <전통조경론, 최만봉>

풍수지리설은 땅 속에 흘러 다니는 생기에 감응 받음으로써 나쁜 일은 피하고 많은 복을 받고자 하는 피흉발복(避兇發福)의 진혈을 찾기 위함이었다. 양택풍수를 지향하여 배산임수의 택지를 가장 좋은 터로 보았고 궁궐이나 민가의 터를 잡는 데 주요한 사상적 배경이 되었다.

이러한 풍수지리사상의 영향으로 우리 나라 궁궐조경양식에서는 후원 양식이 발달하였으며 조경수목도 상징성과 풍수지리사상이 결부되어 청룡, 백호, 주작, 현무에 대응토록 식재의 위치, 방향 등의 제약을 받았다.

▲ 굴뚝이나 담장 등에는 십장생을 새겨 넣어 불로장생의 염원을 담았다. 경복궁
ⓒ 한석종
정원의 점경물에 새겨진 그림에는 십장생과 함께 선비의 지조와 절의를 상징하는 사군자도 새겨져 있는데, 이는 유교문화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으며, 석탑, 석불, 석비 등의 사용은 불교문화의 영향이다. 또한 포도의 문양은 많은 열매가 모여 송이를 이루는 과실로 자손번성의 기원이 담겨 있다.

이렇듯 궁궐이나 반가의 전통정원의 연못에는 우리가 그냥 지나치기 쉬운 사상의 연꽃이 만발해 있으며, 세파에 찌들어 날로 생기를 잃어가는 우리들에게 신선한 에너지를 충전해주고 마음 속의 평화를 불러온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