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언제나 웃는 얼굴인 제따(맨 앞)
언제나 웃는 얼굴인 제따(맨 앞) ⓒ 고기복
제따가 해외이주노동을 가게 된 것은 우연한 기회였다고 한다. 홍콩에 가기 위해 준비 중이던 친구가 가볍게 권유한 것을 단순하게 받아들인 까닭이었다. 당시 가족과 동네 사람들은 대학을 졸업하고 NGO 활동가로 일하던 제따가 해외 이주노동자로, 좀 더 정확히 얘기하면 ‘가정부’로 일하러 나가는 것을 다들 말렸다고 한다.

하지만 제따는 여러 만류에도 불구하고 다분히 현실적인 이유에서 해외이주노동을 택했다고 고백했다. 그런 그가 다시 NGO 활동가로 돌아올 수밖에 없었던 것은 가정부로 일하던 홍콩에서의 경험 때문이었다.

제따는 많은 필리핀 출신 이주노동자들이 여러 해 동안 홍콩에서 가정부로 일했지만 정작 돌아갈 때는 빈손으로 돌아가는 것을 목격했고, 돌아가고 싶어도 본국에 벌어놓은 돈도 없고, 일할 자리도 없다는 현실에 직면하고 있다는 사실을 그냥 지나칠 수 없었다고 했다.

그러한 현실 앞에서 제따는 홍콩의 ‘아시아이주노동자센터(AMC)’ 활동가들과 함께 이주노동자들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를 풀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고민하기 시작했다고 했다.

고심 끝에 제따는, 오랜 해외 생활을 하면서도 귀국 후 무엇을 할지 모르겠다는 막연한 불안감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소규모 저축모임을 권하기 시작했고, 저축모임에 참여하기 시작한 사람들이 공동 출자하여 각고 끝에 농장을 세울 수 있었다고 한다.

결국 이주노동자들이 주체가 되어 시작한 그 농장은 아시아 지역 이주노동자들의 귀국 후 재정착을 위한 모범사례로 인식되면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전 국민의 50%가 이주노동자들이 송금하는 돈에 의지한다는 필리핀에서는 귀국한 이주노동자들 혹은 귀국을 준비하기 원하는 사람들과 이주노동자 가족들이 함께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올랐다. 제따의 활동은 다큐멘터리 영화로 제작되기까지 했다.

해외이주노동자 전용 창구가 있는 필리핀 마닐라 국제공항
해외이주노동자 전용 창구가 있는 필리핀 마닐라 국제공항 ⓒ 고기복
나는 농장에서 일하느라 일반적인 필리핀인들보다 더 검은 얼굴을 하고 있는 제따에게 지금 하고 있는 일이 어떤지 물어 보았다. 대답은 간단했다. 농장 건립을 준비하는 과정부터 현재까지 활동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에서 했던 말과 똑같았다.

“It's difficult, but fun. It's fun, but difficult"("힘들지만 재미있어, 재미있지만 힘들어“)

간단하게 답해 놓고는 까르르 웃는 모습이 참 낙천적인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게끔 했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힘들지만, 즐겁게 하는 제따의 모습이 부럽기까지 했다.

제따는 가정부에서 농장주로의 멋진 변신을 했지만, 여전히 넘어야 할 산은 많다. 농장 경영에 대해 모르는 것이 너무 많고, 농장에서 나오는 수입은 아직까지 기대치를 밑돈다고 한다. 그래도 제따는 행복하다고 했다. 자신은 미래를 위해 투자했고, 그 투자에 대한 기대를 나눠 가진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란다.

혹 자신의 시도가 실패한다고 하더라고 그 실패는 다른 사람들이 희망이라는 나무를 심는데 소중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말하던 제따는 여전히 환하게 웃는 모습이었다.

힘들지만 재미있게 일할 줄 아는 멋쟁이! 제따는 나로 하여금 이주노동자 운동의 주체가 이주노동자여야 된다는 분명한 인식과 제3세계 NGO 활동가들의 헌신성을 엿볼 수 있게 해주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차별과 편견 없는 세상, 상식과 논리적인 대화가 가능한 세상, 함께 더불어 잘 사는 세상을 꿈꿉니다. (사) '모두를 위한 이주인권문화센터'(부설 용인이주노동자쉼터) 이사장, 이주인권 저널리스트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저서 『내 생애 단 한 번, 가슴 뛰는 삶을 살아도 좋다』, 공저 『다르지만 평등한 이주민 인권 길라잡이, 다문화인권교육 기본교재』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