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2004 총선 대전대학생연대는 10일 발족 기자회견을 갖고, 젊은 유권자의 '참여'를 중심으로 한 유권자운동을 펼칠 것을 선언했다.
ⓒ 정세연
2004 총선 대전대학생연대는 10일 오전 카이스트에서 발족 기자회견을 갖고, 젊은 유권자들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신나는' 유권자운동을 펼쳐 나갈 것을 선언했다.

이들은 발족선언문을 통해 "낡은 정치를 청산하는 것은 나라와 민족의 주역이 될 젊은 유권자와 대학생들의 사회적 의무"라며 "젊은 유권자가 원하는 정치, 새 시대에 맞는 새 정치를 만들기 위해 우리 스스로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2004 총선 대전대학생연대는 투표참여를 촉구하는 거리캠페인과 대전지역 젊은 유권자 문화제, 대학내 부재자 투표소 설치 운동 등을 계획하고 있다. 또 초청강연회, 정당 정책 토론회 등을 통해 젊은 유권자들이 객관적인 상황 속에서 투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2004 총선 대전대학생연대 김성찬(25.침신대) 상임대표는 "낙천낙선운동까지는 계획하고 있지 않다"며 "젊은 유권자들의 '참여'에 중점을 두고 투표의 중요성을 알리는 거리캠페인과 플래시몹 등 기발한 활동으로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운동을 벌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 단체는 이와 함께 10대 정책과제를 제시하고, 각 정당 후보들에게 10대 정책과제에 대한 공개질의 및 제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이 제시한 10대 정책과제는 청년실업 문제, 여성 취업 및 직장 내 처우 문제, 등록금 인상 문제, 대학서열화 문제, 대학연구소 지원 문제, 이공계 기피 문제, 대체복무제 문제, 예비군 훈련기간 단축 문제, 평화통일교류사업의 학생활동영역 확대 문제, 투표연령 인하 문제 등이다.

2004 총선 대전대학생연대는 또한 부재자 투표 활성화 방안 마련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부재자 투표소 설치기준을 완화할 것과 부재자 투표일을 주말이 아닌 주중으로 바꿀 것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성명을 통해 "대학생들의 상당수가 부재자 투표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학내 부재자 투표소 설치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며 "현행 선거제도는 대학생들의 투표 참여 자체를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만 20세 이상 선거권을 가지는 현행 선거법을 감안한다면 대학 3,4학년이 돼야 선거권을 가지게 된다"며 "따라서 부재자 신고자 2000명 이상이라는 기준을 1000명 이상으로 완화해 젊은 유권자의 투표 참여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앞서 따로 발족 기자회견을 가진 카이스트 총선연대는 "정치인들의 당리당략 전쟁은 짜증을 넘어 큰 분노를 일으키고 있고, 젊은 유권자들이 요구했던 선거연령 하향조정과 부재자투표소 설치기준 완화 등은 당리의 희생양이 되었다"고 비판했다.

이와 함께 지난 2002 대선 당시 무산된 학내 부재자 투표소 설치 문제에 대해 "2000명이 넘게 부재자 신고를 했지만 명확한 이유조차 밝혀지지 않은 채 부재자 투표소 설치가 무산됐다"며 "하지만 이런 시도에서 희망과 가능성을 보았고, 이제 젊은 유권자는 방관자가 아니라 능동적인 참여자로 깨끗하고 신나는 정치를 위한 주체가 될 것이다"고 밝혔다.

2004 총선 대전대학생연대에는 충남대 총학생회,침례신학대 총학생회, 카이스트 총학생회와 대전 대학생 YMCA, 한남대 SCA, 목원대 교지편집위, 목원대 영자신문사, 대전지구대학총학생회연합 유권자운동본부, 21세기 대전지역대학생연합(가칭) 추진위 준비단 등이 참여하고 있다.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