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감나무와 섬진강이 내려다 보이는 어초장 집필실에서 송수권 시인.
감나무와 섬진강이 내려다 보이는 어초장 집필실에서 송수권 시인. ⓒ 박상건
그는 순천대 문예창작학과 강의가 끝나면 바로 이 집필실에 와 시작(詩作)활동을 해왔다. 감나무도 기르고 밤나무도 기르고 배추밭 잡초를 뽑아 텃밭을 일구어 자연과 함께 혼자 생활하고 있다. 돈 벌면 이 집필실을 송 시인의 것으로 만들어 주겠다던 마음씨 고운 그의 아내는 지금 수술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쓰레기통에 나온 시인"과 "수박장사 하던 시인의 아내"

송 시인은 서울 아내에게 가기 전, 집필실 마당에 주렁주렁 열린 단감나무에 올라가 가을볕에 물든 단감을 따고 있었다.

"햇과일이 나오면 그렇게도 아내가 좋아했던 단감인데…, 아내와 함께 다음에 집을 한 채 사면 감나무부터 심자고 했는데…, 이 단감처럼 붉은 피가 아내의 혈소판에서 생성되어 AB형 피를 원망하지 않았으면 얼마나 좋으련만…."

그에게 아내는 여느 아낙들보다도 각별했다. 송 시인은 어릴 적 찢어지게 가난한 탓에 자살한 동생을 생각하며 '산문에 기대어'라는 작품으로 등단했다. 집필실 바로 건너편 저 지리산에서 썼다. 그도 지긋지긋한 가난을 못 견디고 동생처럼 서울 여인숙에서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었다.

죽기 전에 백지에 쓴 몇 작품을 잡지사로 보내놓고 차마 죽지 못한 채 알약을 호주머니에 넣고 전국을 떠돌았다. 그 작품은 원고지에 쓰지 않았다는 이유로 심사위원에 의해 쓰레기통으로 들어갔고, 그 원고를 뒤늦게 발견한 잡지사 주간이 본심에 올려 이 잡지사가 발굴한 최초의 시인이 되었던 송수권 시인.

그래서 그를 일러 "쓰레기통에서 나온 시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렇게 탄생한 시인은 순천사범을 나와 섬과 산골에서 아이들을 가르쳤다. 저마다 도회지로 나가려하는 마당에 그는 교육청을 찾아다니며 벽지 학교를 자청했던 이른바 상록수 교사였다.

주말이면 서울 남대문 시장을 찾아 등잔을 구입해 전기가 들어오지 않던 낙도며 산골 아이들을 가르치던 진정한 사표였다. 그런 생활이 연속되면서 아내는 수박구덩이에 똥장군을 지고 나르면서 수박을 키우고, 여름 해수욕장이 있는 30리 길 그 수박을 이고 나르며 시인의 생계를 도맡았다.

우리 나라에서 학위 없는 시인으로는 처음으로 국립 대학교 교수가 된 송 시인의 뒤안길에는 지속된 생활고로 보험회사에서 돈을 벌어 생활을 유지했던 아내가 있었다. 결국, 송 시인은 28년 동안 아내에게 빌붙어 시에 전념해왔던 탓에 하늘에 별 따기보다 어렵다는 교수가 되었다.

송 시인, 학위없이 '국립대 교수 1호' 기록

박사학위는커녕 석사학위도 없이 전문학교(서라벌 예술대학 문창과)만 나온 그를 교수 만든 것은 힘든 생활고에도 내조를 톡톡히 한 아내덕분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지금 아내는 병상에 누워 있다.

해방 후 시를 써서 국립대학교 교수가 된 1호 시인인 그에게 아내는 "그게, 다 나의 공이 아니라, 당신 노력 때문이에요. 당신을 뽑아준 총장님께 인사나 잘해요"라고 말하곤 했다고.

그러면서도 송 시인이 교수로서 첫 월급을 받았을 때 아내는 "여보! 시 쓰면 돈이 나와요, 밥이 나와요… 그렇게 평생 타박만 했는데 시(詩)도 밥 먹여 줄 때가 있군요!"라고 울었다고 한다.

투병 중 친구나 친척들이 골수이식을 받아야 한다고 말할 때마다 아내는 "2년 후면 송 시인도 정년퇴직인데, 송 시인 거러지 되는 꼴 어떻게 봐요. 그게 1억이 넘는다는데…"라며 극구 이식을 거부했다.

집필실에서 하룻밤을 보낸 송 시인은 이튿날 아내를 보기 위해 서울로 향했다. 병원에 도착하자 시집간 큰 딸이 병간호를 하고 있었는데, 딸의 친구가 금년 9월 고등학교 1학년 학력평가 문제지(수능 대비 전국 모의고사)를 들고 와 송 시인의 등단작 '산문에 기대어'가 언어영역 문제로 출제되었다고 자랑을 늘어놓는다.

입원 전 속리산 여행 때 한 카페에서 송수권 시인, 필자, 송 시인의 아내 김연엽 여사
입원 전 속리산 여행 때 한 카페에서 송수권 시인, 필자, 송 시인의 아내 김연엽 여사 ⓒ 박상건
그 소리를 조용히 듣고 있던 송 시인의 아내는 "너는 이제 알았니? 은경이 아빠 시(詩), '지리산 뻐꾹새'와 '여승'도 진작 수능시험에 출제되어 나갔어야! 난 이제 죽어도 한은 없단다"라며 눈물을 흘렸다.

"나에게 죄가 많지만 순결한 아내의 피가 왜 필요하단 말인가"

눈물자국을 훔치며 병실 밖으로 나온 송 시인은 말했다.

"몹쓸 '짐승의 피'를 타고난 나는 내 아내가 어떻게 살아온 지를 너무나 잘 알아. 내 아내가 죽으면 나는 다시 시를 쓰지 않겠다. 시란 피 한방울보다 값이 없음을 알았어."

교통사고로 인해 과다 출혈을 보여 광주와 서울 병원으로 이송되기를 거듭했던 시인의 아내는 의경들이 달려와 피를 줘 그것으로 연명한 상태이다.

그러나 이 한번의 수혈로 해결될 일이 아니라는 것을 알기에 시인은 가슴을 쥐어짜는 것이다. 병 문안을 온 문인들마다 골수이식까지는 아직도 피가 필요한데 하느님도 정말 무심하다고 가슴을 쳤다. 그가 시를 더 이상 쓰지 않겠다는 것도 바로 그것이 언어로 하는 말장난보다 '진실'이라는 것, 그 진실이 언어 이상이라는 것을 체험했기 때문일 것이다.

송 시인은 다시 혼잣말로 내뱉었다.

"이 짐승스러운 시인의 피를 저당잡고 죽게 할 일이지, 왜 하필 아내인가? 나에겐 죄가 많지만 순결한 아내의 피가 왜 필요하단 말인가? 나를 살려두고 만일에 아내가 죽는다면 난 다시는 부질없는 시(詩)를 쓰지는 않을 것이다. 그때도 시를 쓴다면 도끼로 나의 손가락을 찍어버릴 것이다"

그러면서 다시 아내의 병상으로 다가가 굳게 이를 악물었던 송 시인.

가족들에게 부담을 주고 있다는 생각 때문이었을까? 아니면 견딜 수 없는 고통 때문이었을까? 아내는 마스크를 쓴 채 연신 눈물만 흘리다가 잠이 들었고 그 곁에서 송 시인은 한 편의 시를 써서 딸에게 읽어보라고 했다. 잠든 엄마 앞에서 아빠가 쓴 시를 낭송하는 딸의 낭송시를 듣자니 병실은 온통 울음바다가 되었다.

蓮葉(연엽)에게

송수권

그녀의 피 순결하던 열 몇 살 때 있었다
한 이불 속에서 사랑을 속삭이던 때 있었다
蓮 잎새 같은 발바닥에 간지럼 먹이며
철없이 놀던 때 있었다
그녀 발바닥을 핥고 싶어 먼저 간지럼 먹이면
간지럼 타는 나무처럼 깔깔거려
끝내 발바닥은 핥지 못하고 간지럼만 타던
때 있었다

이제 그 짓도 그만두자고 그만두고
나이 쉰 셋
정정한 자작나무, 백혈병을 몸에 부리고
여의도 성모병원 1205호실
1번 침대에 누워
그녀는 깊이 잠들었다
혈소판이 깨지고 면역체계가 무너져 몇 개월 째
마스크를 쓴 채, 남의 피로 연명하며 살아간다

나는 어느 날 밤
그녀의 발이 침상 밖으로 흘러나온 것을 보았다
그때처럼 놀라 간지럼을 먹였던 것인데
발바닥은 움쩍도 않는다
발아 발아 가치마늘 같던 발아!
蓮 잎새 맑은 이슬에 씻긴 발아
지금은 진흙밭 삭은 잎새 다 된 발아!
말굽쇠 같은 발, 무쇠솥 같은 발아
잠든 네 발바닥을 핥으며 이 밤은
캄캄한 뻘밭을 내가 헤매며 운다

그 蓮 잎새 속에서 숨은 민달팽이처럼
너의 피를 먹고 자란 詩人, 더는 늙어서
피 한 방울 줄 수 없는 빈 껍데기 언어로
부질없는 詩를 쓰는구나

오, 하느님
이 덧없는 말의 교예
짐승의 피!
거두어 가소서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5,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시인, 언론학박사, 한국기자협회 자정운동특별추진위원장, <샘이깊은물> 편집부장,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위원, 한국잡지학회장, 국립등대박물관 운영위원을 지냈다. (사)섬문화연구소장, 동국대 겸임교수. 저서 <주말이 기다려지는 행복한 섬여행> <바다, 섬을 품다> <포구의 아침> <빈손으로 돌아와 웃다> <예비언론인을 위한 미디어글쓰기> 등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