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 습지에 의존해서 살아가는 민물도요
ⓒ 최한수
작년 우리나라 국민들에게 가장 걱정을 끼친 것이 있다면 바로 '물'일 것이다.

봄부터 전 국토가 가뭄에 시달렸고, 국민들이 합심해서 가뭄극복 성금 모아 놓으니 돈 쓸 새도 없이 이번엔 장마철 집중호우가 몰려왔다. 물 때문에 일어난 인명 피해도 유난히 많았다.

옛말에 '물 같은 웬수(?)도 없다'고 했다. 가족이 물에 빠져 죽어도 원수 같은 물에다 밥을 해 먹어야 하니 정말 이처럼 분통한 일이 있을까?

인간이 지구를 지배하고 있기는 하지만 물과 같은 자연의 힘 앞에서는 꼼짝하지 못한다. 그렇다고 물을 미워할 수 있을까? 지구를 엄습한 빙하기에도 생물이 살아남을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지구 표면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바닷물 때문이다. 얼음이 되면 부피가 커져 떠오르는 물의 특성 때문에 바다 위쪽은 얼어붙었더라도 바다 속에서는 여전히 생명체가 번성할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생명체의 70∼80%는 물로 되어있어 물이 없으면 생명체가 살아갈 수가 없다.

우리나라는 예부터 금수강산이라 불리며 맑은 물을 자랑해왔다. 그래서인지 '돈을 물 쓰듯 한다'는 말이 생길 정도로 물 귀한 줄을 모르고 살아왔다. 이제 물을 돈주고 사 마시는 것이 어색해 보이지 않고, 지나가던 과객이 우물가에서 물 한바가지 청하는 것이 더 이상해 보인다.

세계적으로 물 부족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유엔은 물 부족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1992년 '세계 물의 날'을 3월 22일로 지정하였으며, 유엔환경계획(UNEP)은'지구환경전망 2000'이라는 최근 보고서에서 새 천년 지구촌의 가장 중요한 환경과제로 물 부족 위기와 지구온난화를 꼽았다.

세계적으로 물이 없어 숨지는 어린이의 수가 하루 평균 5000명 선을 넘어설 만큼 물 부족 문제는 특정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로 확산되는 추세다. 우리나라도 이미 세계가 인정하는 물 부족 국가이며 건설교통부 장기수급계획에서도 2006년 한국의 물 부족량이 4억t, 2011년에는 20억t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었다.

1인당 연간 가용 수자원은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이사회(ESCAP) 26개 회원국 평균의 37%인 1500㎥밖에 안되고 싱가포르를 제외하면 꼴찌이다.

특히 생태계 보전차원에서 환경단체들의 댐 건설 계획에 대한 반대가 갈수록 거세지고 있을 뿐 아니라 수자원 개발 단가의 급등, 수질오염, 댐 개발 가능지역 감소 등으로 인해 물은 더욱 희소자원이 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깨끗한 물을 마시면 현재 질병의 80%를 제거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런데 우리나라 환경부는 '서울시내 일부 지역은 수돗물을 그냥 먹으면 곤란한 게 사실'이라고 실토했다. 전국에서 수돗물을 그냥 마시는 사람은 4.6%에 지나지 않는다는 조사결과도 나왔다.

2000년에는 우리나라 수돗물에서 인체에 해로운 바이러스가 검출되기까지 하여 국민들의 물에 대한 불신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처럼 물은 이중성을 가지고 있다. 국민 대부분이 우리나라가 물 부족 국가가 되었다는 사실을 피부로 느끼지 못하고 있으며, 물이란 자원은 아직도 우리나라에서 풍부하게만 느껴진다.

그러나 양은 많지만 물다운 물이 없다.

결국 우리가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물이 점차 없어지고 있는 것이다. 인체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물, 이 물이 오염된다면 우리 인간도 오염의 구렁텅이에서 벗어날 수 없다.

개구리를 뜨거운 물에 집어넣으면 깜짝 놀라 뛰어나가겠지만, 차가운 물에 넣고 천천히 불을 땐다면 서서히 올라가는 온도를 미쳐 알아채지 못하고 결국 뜨거운 물에 삶아지고 말 것이다.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선 필수적인 물, 서서히 오염되어 인간의 몸 속으로 오염물질을 실어 주어 오염물질이 점차 농축되어 인류의 미래를 위협하고 있다는 사실을 우리가 모르고 이 세상을 살아가고 있는 건 아닐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자연의 아름다움을 전하고 싶습니다. 우리가 함께 사는 세상은 인간만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작은 풀, 벌레 하나라도 소중히 여기는 그날을 위해서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