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에 사는 사람들의 대부분의 공통점은 집장만하기가 엄청 어렵다는 것이다. 실제로 우리 가족 같은 경우 8년만에 15평짜리 작은 집을 마련할 수 있었다. 물론 이것 또한 처음에 빚더미로 시작한 것이었다.

우리나라 가족들의 평균 자가마련 기간은 보통 8년으로 집을 사기 위해 8년동안을 일해야 집을 살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이는 전국의 평균 집값을 따져서 그런 것이고 인구의 절반 정도가 모여 있는 수도권에서는 더욱 심각하다.

4년제 대학을 졸업하고 직장에 취업해서 받는 연봉이 평균적으로 2000~3000만원 정도인데 서울의 24평짜리 집 한 채가 평균 1억원을 상회하니까 24평을 마련하려면 적어도 5년 이상은 밥도 먹지 말고 일만 해야 겨우 마련할 수 있는 게 지금 현실이다.

이의 근본적인 문제는 국토의 70%가 사람이 살기 어려운 산지라는 지형적인 문제도 있지만 정부가 국토개발을 하면서 국토의 균형개발 보다는 거점개발 방식을 택했기 때문이다. 한곳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살면서 발생하는 문제들은 엄청 심각하다. 교통문제, 주택문제 등등.

이러한 문제의 근본 해답은 바로 국토의 균형적인 개발임에 틀림없다. 비록 좁은 땅이지만 그래도 여기저기 퍼져 산다면 지금의 문제는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 우리나라의 인구밀도
ⓒ 인구지리학
정부가 수도권에 집값 안정을 위해 건설한 신도시는 당시 집값을 떨어트리는 데는 한몫했지만 그로 인해 수도권에는 백만명 이상의 인구가 유입되었고 수도권 집중현상 특히 뭐든지 서울로 집중되는 현상은 더욱 심각하다.

가뜩이나 국토도 좁아터지는데 거기다가 모든 사람들이 서울로 집중한다면 문제가 얼마나 심각하겠는가? 참고로 1995년말 현재 수도 서울이 우리나라 전체에 점하는 비중을 보면 면적에 있어서 0.6%, 인구의 22.5%, 국내총생산의 24.2%, 은행 점포수의 36.9%, 은행예금·대출금 각각 49.3%, 44.9%, 법인세의 69%, 도매·소매업 판매액의 30%, 의사수의 36.6%, 자동차 등록대수의 24.1% 등으로 집계되고 있다. (서울특별시 발행 1996 『도시비교통계』)

인구밀도로 따지면 우리나라만큼 인구밀도가 높은 나라도 없을 것이다. 1998년도에 UN에서 발표한 『World Population Prospects』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인구밀도는 방글라데시(897 명/㎢), 대만(617명/㎢)㎢에 이어 세계 3위인 ㎢당 476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런데 이렇게 인구밀도를 조사하면 오류가 있다는 사실은 지리시간을 통해 알 것이다. 모든 국토에 인구가 사는 건 아니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 같은 경우 거주할 수 없는 곳이 많다. 산지가 70% 이상이기 때문이다.

▲ 우리나라의 경사도 분포 현황
ⓒ 건설교통부
특히 우리나라의 인구의 25%가 살고 있는 서울의 인구밀도는
㎢당 17만 5천명(서울시 도시계획국 자료)명으로 경악 그 자체이다. 여의도에 면적(8.4㎢)만큼의 땅에 147만명이 살고 있는 셈이다.

서울은 그렇다치고 인구의 절반 이상이 살고 있는 수도권은 ㎢당 1890명이다. 얼마나 심각한지 깨달으셨을 것이다.

정부는 지금이라도 서울 주변 신도시 개발을 취소해야 된다. 만약 정부가 부동산 가격 안정을 이유로 신도시 건설을 강행한다면 인구는 수도권으로 더욱 몰릴 것으로 그에 따른 부동산값상승과 인구 밀집에 따른 교통문제가 또 발생할 것이다.

정부가 신도시 건설할 때 자급자족의 도시가 될 것이라고 말했지만 어느 도시 하나 그렇게된 도시가 없다. 실제로 일산, 분당, 중동 신도시 같은 경우 어떻게 되었는가? 서울에서 일하는 사람의 주거지가 된 셈이지 않은가? 정 신도시 건설을 하려면 대전이나 천안등 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신도시를 건설해야 한다.

매일 아침마다 반복되는 통학 전쟁에 너무나도 지쳤다. 버스나 지하철에는 아침마다 사람들이 우글우글 거리고 메여 터져서 타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다.

또한 휴일에는 어딜 가나 사람구경만 하고 올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 여름철 피서때만 봐도 알 수 있지 않은가? 한 해수욕장에 20~30만명씩 몰려야 되는 현실에 기가 찰 지경이다.(물론 해수욕장 인파는 이 문제와는 별개인 문제이다.)

만약 정부가 지금도 깨닫지 못하고 계속 수도권으로 집중시키려 한다면 내가 성인이 될 때는 전 인구가 서울에서 사는 웃지못할 현상이 생길지도 모른다.

▲ 서울의 인구밀도 현황
ⓒ 서울시 도시계획국

덧붙이는 글 | ★ 이 기사에 사용된 자료

건설교통부 국토자료실 
http://168.126.177.15:4210/stat/2001/stat_use.htm

이희연 저 「인구지리학」 196-3,196-4쪽 참조하여 재편집
http://myhome.dreamx.net/hk2785s/npdencity.htm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국 - 도표로 보는 서울
http://urban.seoul.go.kr/pds/pds3_1.htm#4

세계 및 한국의 인구 현황
http://www.nso.go.kr/report/data/svgg2000.htm#2.%20인구밀도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