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한 달쯤 전에 연락처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번호로 전화 왔다. 언어장애를 가지고 있는 필자는 받을지 말지를 생각하다가 전화를 받았다. 티비 케이블방송과 인터넷을 3년 더 재약정을 하려는지 물어보기 위해서였다. 

필자가 언어장애를 가지고 있다는 걸 알게 된 상담사는 문자로 대화하자고 했고 필자는 상담원과 문자로 대화하면서, 티비 케이블방송과 인터넷 3년을 재약정 하는 절차를 무사하게 마칠 수 있었다.

전화로 일을 처리해야 할 때면 활동지원사 선생님들이나 지인들의 도움을 받았던 필자에게 이는 결코 작지 않은 성취감을 주었다. 서비스로 KT에서는 셋톱박스를 무료로 교체해주었다.

교체된 셋톱박스에는 몇 가지 기능들이 추가되었는데 리모컨 없이도 말로 채널을 돌릴 수도 티비를 끄고 켤 수 있는 음성인식 기능도 있다. 하지만 필자는 음성 인식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셋톱박스가 필자의 언어장애가 있는 말을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지니야"라고 아무리 불러도 티비 화면에 음성인식 기능이 실행되는 표시인 마이크 표시가 나타나지 않는다. 언어장애가 있는 필자의 말을 TV 셋톱박스가 인지하지 못하는 것이 당연할 수 있다.

그러나 한 번만 더 생각하면 TV를 시청할 때 음성 인식 기능이 필요한 사람들은 비장애인들보다 필자와 같은 뇌병변장애인이다. 이런 뇌병변장인들이 음성인식 기능을 활용하면 TV 시청을 아주 편하게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문제는 지금 TV 셋톱박스들이 발음이 아주 정확한 비장애인 말만 인식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심한 언어장애를 가지고 있는 뇌병변장애인들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 대화할 수 있는 가벼운 언어장애를 가지고 있는 뇌병변장애인들도 TV를 시청할 때 음성인식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뇌병변장애인들이 말하는 형태를 분석할 AI기술을 TV 셋톱박스의 음성인식 기능에 적용하면 언어장애를 가지고 있는 뇌병변장애인들의 TV 시청이 더욱 편해질 것이다. 또한 뇌병변장애인들의 언어치료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생활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80년 6월 20생 우석대 특수교육과 졸업 서울디지털사이버대 사회복지과 졸업 장애인활동가. 시인. 시집: 시간상실 및 다수 공저. 에이블뉴스에 글을 기고하고 있음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