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인천시 남구에서 신도심인 연수구로 가기 위해 거쳐 가는 길 중 하나가 문학터널이다. 문학터널은 지난 2002년 민간 투자를 통해 건설되면서 오는 2022년까지 20년간 최소한의 운영수입을 지원하도록 협약이 체결됐다. 인천시에 따르면 이 협약에 따라 시가 터널 운영사 측에 지급한 금액은 지난 2003년부터 올해까지 총 674억 원에 달한다.

이처럼 사실상 막대한 시민혈세가 투입된 문학터널이 이용객의 편의에는 인색해 빈축을 사고 있다. 최근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하이패스의 사용이 불가한 것. 최근 한국도로공사는 2만 원대 실속형 상품을 출시하며 하이패스 보급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도로공사 인천지사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고속도로 이용자 가운데 하이패스 이용자가 하루 평균 6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하이패스 이용이 보편화 되어 가고 있지만 문학터널은 아직까지 하이패스 설치에 대해 다소 미온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하이패스 미설치에 대해 문학터널의 운영사인 문학개발측은 "안전상의 문제"를 이유로 들었다. 문학개발의 한 관계자는 기자와의 전화통화에서 하이패스 미설치 이유에 대해 "이곳은 영업소여서 충분한 안전거리 및 시야를 확보를 해야 하는데 터널과 요금소 간 거리가 100m 정도에 불과해 사고 위험이 높아 인천시와의 협의에 따라 하이패스 설치가 제한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인천시는 "비용이 문제"라는 입장이다. 인천시의 한 관계자는 기자와의 전화통화에서 "하이패스가 설치비가 많이 든다"며 "하이패스 설치와 관련해 민자 사업자와 협의를 했었는데 돈이 많이 들고 시내도로 같은 경우 하이패스를 설치하면 지나갈 때 편리하다 뿐이지 그렇게 큰 효용성이 없다고 판단했다. 비용 대비 효용성이 떨어진다"고 미설치 이유를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하이패스는 시스템 설치비가 20억 원가량이고 기계설치비는 1개 레인 당 1억 원 가량이 소요된다"고 말했다. 양방향 1개 레인씩을 설치할 경우, 총 22억 원가량의 예산이 소요되는 셈이다. 그러면서 "이 예산을 결국 인천시가 부담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일부 이용객들은 강한 불만을 제기하며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인천 남구와 연수구를 매일 오가는 최아무개씨는 "요즘 어딜 가나 하이패스가 기본인 상황에서 인천시민의 혈세가 들어가는 문학터널이 시민들의 이용불편을 외면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며 "하이패스 설치는 차량통행을 수월하게 하고자 설치하는 것으로하이패스 설치로 인해 오히려 사고 위험이 높아진다는 설명은 납득하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또한 "문학터널이 민자사업자에 의해 운행되고 있고 매년 수십억 원의 혈세가 지원되는데 하이패스 설치까지 시민의 세금으로 해야 한다는 것은 기업의 횡포이자 인천시의 무능이라고 밖에 생각할 수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한편, 인천시에는 문학터널 외 원적산터널과 만원산터널이 민자로 운영되고 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KNS뉴스통신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문학터널#민자도로#하이패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