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8일 오전 이명박 대통령은 71차 정례 라디오 연설에서 "우리가 4대강 사업을 추진하면서 기존 방재 시설의 4배에 달하는 200년 빈도로 시공한 결과로 강 주변 상습 침수지역이 피해를 면할 수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4대강처럼 기후변화 시대에 맞춘 새로운 재난 기준과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대응을 해 나갈 것"이라 말했다. 이를 받아 <조선일보> 등은 대통령의 발언을 그대로 보도했다.

 

하지만 대통령의 '기존 방재 시설의 4배에 달하는 200년 빈도'라는 말은 사실과 다르다. 4대강과 같은 국가하천은 4대강 사업 이전에도 100~200년 빈도로 설계했고, 지방하천의 경우가 50년~100년 빈도로 설계한다. 이 대통령은 4대강 사업의 효과를 '뻥튀기' 하기 위해 국가하천 홍수빈도를 지방하천 홍수빈도와 비교해 제시한 것이다.

 

현행 하천법에 의하면 하천은 국가가 관리하는 '국가하천'과 지방자치단체가 관리 주체인 '지방하천'으로 구분한다. '200년 빈도'라는 말은 쉽게 말해 200년 만에 한 번 올 강우 확률을 의미하는 것으로 현재 시점을 과거의 일정기간 동안과 비교한 통계적 개념이다.

 

대통령이 밝힌 "200년 빈도 공사"도 사실이 아니다. 낙동강의 경우 낙동강 국가하천 구간 대부분은 100년 빈도로 설계됐다. 200년 빈도로 설계된 구간은 낙동강 하구 일부분에 불과하며, 그것조차 4대강 사업 때문에 200년 빈도로 설계한 것이 아닌 4대강 사업 이전 계획을 그대로 따른 것이다.

 

국토해양부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이 2009년 7월에 발간한 '낙동강수계 하천기본계획(변경) 낙동강 국가하천 기점~금호강 합류점 보고서(이하 낙동강 상류 기본계획)'와 '낙동강수계 하천기본계획(변경) 낙동강 (금호강 합류지점~하구), 밀양강, 양산천 보고서(이하 낙동강 하류 기본계획)에 따르면 대통령의 오류는 명확하게 확인된다.

 

낙동강 상류 기본계획에는 국가하천기점(과업시점)에서 금호강 합류점까지 100년 빈도로 채택했다. 낙동강 하류 기본계획에도 금호강 합류점~양산천 합류점까지 100년 빈도이며, 양산천 합류점~낙동강하구둑 구간만이 200년 빈도를 채택했을 뿐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200년 빈도로 4대강 사업을 설계했다고 하며 마치 이것이 기후변화 재앙에 대한 해법처럼 이야기했다. 하지만 이는 국민을 호도하기 위한 조삼모사와 같은 언어유희에 불과하다. 기후변화 대비는 우리가 무엇이 부족한지, 또한 어떻게 준비할지 연구와 분석부터 하는 것이 순서임에도 MB정권은 무조건 삽질만 했다. 따라서 '4대강 사업과 같은 기후변화 사업'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암울하게 만들 수밖에 없다.

덧붙이는 글 | 환경운동연합 홈페이지에도 올립니다.


#4대강#홍수빈도#낙동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강/유/미' 세상을 꿈꿉니다. 강(江)은 흘러야(流) 아름답기(美) 때문입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