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소현세자가 볼모생활 했던 곳이다. 현재는 심양 아동 도서관으로 쓰이고 있다.
▲ 심양관. 소현세자가 볼모생활 했던 곳이다. 현재는 심양 아동 도서관으로 쓰이고 있다.
ⓒ 이정근

관련사진보기


소현세자를 위하여 짓고 있던 집이 완공되었다. 새로 지은 집은 황궁에서 1km 정도 거리에 자리 잡았다. 세자가 사신들의 임시 숙소 동관에 입주한 지 27일 만이다. 건물은 맞배지붕의 조선식 기와집이었다. 청나라는 조선에서 목재와 기와를 들여오고 조선인 목수를 징발하여 집을 지었다.

정원도 조선식으로 꾸몄다. 조선의 토종 적송은 물론 화화나무와 향나무도 심고 모란도 심었다. 조선에서 끌고 온 왕족이 2세를 낳으면 황제의 신하가 된다고 생각해서일까? 다남(多男)을 기원하는 대추나무도 심었다.

모든 과정은 세자와 상의 없이 청나라의 일방적인 집행이었다. 청나라는 소현이 심양에 도착하기 전부터 세자가 거처할 집을 짓고 있었다. 여기에 청나라의 복안이 있었다. 청나라는 소현이 조선을 출발할 당시부터 조선의 왕세자를 장기 억류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세자관은 짐을 꾸려 이사했다. 사신들이 머물던 동관보다 훨씬 넓었다. 세자전과 대군전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고 회랑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소현세자는 동쪽관사에, 봉림대군은 서쪽관사에 들었다.

청나라 사람들은 이들 모두를 세자궁이라 불렀으며 그들의 시각으로는 제법 큰 집이었다. 그러나 200여 명이 살아가기에는 비좁았다. 하인들은 동관에서처럼 세자관 밖에 별도의 거처를 마련했다.

금강송이라고도 불리며 조선 왕실의 상징목이었다.
▲ 적송. 금강송이라고도 불리며 조선 왕실의 상징목이었다.
ⓒ 이정근

관련사진보기


이사한 첫날 밤. 잠을 이루지 못한 소현세자는 뜰로 나왔다. 조선에서 옮겨 심은 적송은 아직 뿌리를 내리지 못했지만 이름 모를 꽃들이 피어있었다. 하늘에는 별빛이 쏟아지고 비슬나무 가지에 초이레 상현달이 걸려있었다.

"보이지 않은 반쪽을 고국에 계신 아바마마께서는 보실 수 있을까?"

상현달은 반달이다. 보이지 않는 반쪽마저도 보고 싶었다. 여기에서 보이지 않는 반쪽이 고국에서는 보일 것만 같았다. 청나라의 심장부 심양에 와 있지만 하늘에 떠있는 반달처럼 청나라의 속내를 알 수 없어 안타까웠다.

소현세자는 삼전도에서 삼배구고두를 행하던 부왕을 하루도 잊어본 적이 없었다. 오고가는 신하들을 통하여 부왕의 소식은 듣고 있었지만 중전도 없는 부왕의 안위가 항상 걱정이었다. 그러나 한성에 있는 인조는 소현의 염려와 달리 숙의 조씨에게 푹 빠져 있었다.

새집을 지어주는 것이 오히려 두렵습니다

"저하, 주무시지 않고 어인 일 이십니까?"
세자빈이었다.

"빈궁은 어인 일 이시오?"

"가슴이 답답하여 나왔습니다."

두 사람은 함께 걸었다. 모처럼의 동행이었다. 이게 얼마만인가? 시종 신하들을 물리치고 단둘이 걸어보는 것은 혼례 이후 처음인 것만 같았다. 그러나 오붓하고 흐뭇해야 할 한밤의 산책이 즐겁지만은 않았다.

"저하, 새집을 지어주는 것이 오히려 두렵습니다."

"너무 심려하지 마시오. 고국에 돌아갈 날이 있을 것입니다."

"저들이 저하를 돌려보내려면 왜 새 집을 지었겠습니까?"

"나도 그렇게 생각하오만 희망을 잃지 맙시다."

"저 달을 쳐다보면 원손 생각에 가슴이 미어집니다."

세자빈의 눈가에 이슬이 맺혔다.

"지금 몇 개월째이지요?"

"이제 갓 돌이 지났습니다. 14개월째입니다."

"많이 자랐겠구려."

소현세자는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 9년 만에 낳은 맏아들을 만나볼 수 없는 애비, 원손을 볼 수 없는 세자. 무기력이 파도처럼 밀려왔다.

"보고 싶습니다."

세자빈의 옷고름이 젖었다.

생사를 알 수 없었던 원손, 죽지 않고 살아 있었다

"눈물을 거두시구려. 좋은 소식이 있습니다."

"좋은 소식이라니요?"

촉촉이 젖어있던 세자빈의 두 눈이 반짝거렸다.

"원손이 살아있답니다."

"우리 석철이가요?"

세자빈은 귀를 의심했다.

"살아서 환궁했답니다."

"그게 정말입니까?"
믿어지지 않았다. 원손이 살아 있다니 꿈만 같았다.

강화도와 육지를 이어주던 나루
▲ 갑곶. 강화도와 육지를 이어주던 나루
ⓒ 이정근

관련사진보기


황망했던 강화도의 모습이 뇌리를 스쳤다. '강화도는 천혜의 요새이니 오랑캐는 감히 넘보지 못할 것이다'라고 호언장담하며 술만 마시던 검찰사 김경징은 청나라 군사가 갑곶을 건너오자 도망가 버렸다. 왕실 여인과 봉림대군을 호종하여 강화도에 들어왔던 원상 김상용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곳곳에 불기둥이 솟아오르고 단말마의 비명이 끊이지 않았다. 여기저기 목이 잘린 시신이 나딍굴고 피가 강물을 이루었다. 사대부가의 여인들은 '되놈에게 욕을 당하느니 차라리 죽겠다.'고 목을 매고 바다에 뛰어들었다.

행궁 가까이 청나라 군사들의 함성이 들려왔다. 위기를 느낀 세자빈은 강보에 싸인 원손을 내관에게 내주며 '종사를 보존하라' 당부했다. 내관 김인과 서후행이 원손을 모시고 뒷산으로 몸을 숨겼으나 청군의 수색망이 가까워오자 교동으로 탈출했다. 허나, 외딴섬 교동도 안전하지 못했다. 청나라 군사들이 배를 대어 뒤쫓고 있다는 소식을 접한 내관은 원손을 모시고 당진으로 피신하여 원손의 목숨을 보존할 수 있었다.

"하늘이 도우셨구려."

세자빈의 눈가에 이슬이 맺혔다. 돌도 되지 않은 어린것이 교동에서 당진까지 뱃길에 시달렸을 것이라 생각하니 가슴이 미어졌다.


태그:#소현세자, #민회빈, #심양관, #강화도, #병자호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사실(事實)과 사실(史實)의 행간에서 진실(眞實)을 캐는 광원. 그동안 <이방원전> <수양대군> <신들의 정원 조선왕릉> <소현세자> <조선 건국지> <뜻밖의 조선역사> <간신의 민낯> <진령군> <하루> 대하역사소설<압록강>을 펴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