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해 떨어진 저녁나절, 아기를 안고 걸리며 골목마실을 하다가 집으로 돌아오다가 "경축! 인천광역시 (건축, 경관, 교통, 문화재) 심의통과!"라는 글월이 적힌 걸개천을 곳곳에서 봅니다. 온 나라 구석구석 이루어지는 여느 재개발이 아닌 '도시재정비'와 '도시정화'라는 이름이 붙은 인천 재개발을 걱정없이 할 수 있다면서 축하하는 걸개천입니다. 네 가지 심의를 통과하기란 만만하지 않을 뿐더러 참 오래 걸리는 일이라 하는데, 이제 이 심의가 다 끝났으니 재개발은 척척 이루어지겠지요.

재개발을 할 때에 거칠 심의를 모두 통과했다고 축하하는 걸개천이 동네마다 걸려 있습니다.
 재개발을 할 때에 거칠 심의를 모두 통과했다고 축하하는 걸개천이 동네마다 걸려 있습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그런데 네 가지 심의 가운데 넷째 대목인 '문화재'가 자꾸 눈에 밟힙니다. 문화재란 무엇을 두고 문화재라고 하는가요. 국어사전을 뒤적여 보면, "(1) 문화 활동에 의하여 창조된 가치가 뛰어난 사물 (2) 문화재 보호법이 보호의 대상으로 정한 유형 문화재, 무형 문화재, 민속 문화재, 천연기념물, 사적, 명승지 따위를 이르는 말"이라고 나오는데, 우리들이 보기에 무엇이 (1)에 들 만한 문화재요, (2)에 들 만한 문화재인가요. 내 고향 인천에는 무슨 문화재가 있다고 할 만할까요.

엊그제 골목마실을 하다가 "昭和十五年五月二十日……"이라는 글월이 새겨진 빗돌 하나가 동네 계단으로 쓰이고 있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늘 지나다니는 골목길이요 샛골목을 잇는 섬돌이 퍽 예쁘장하구나 싶어 사진으로 담았는데, 집에 와서 원본파일을 죽 살펴보다가 이 글월을 보고는 깜짝 놀랐습니다. 1940년에 무엇무엇을 했다는 이야기를 적은 저 빗돌은 언제 어떻게 골목동네 샛골목 계단 받침으로 쓰였을까요? 어디에서 뒹굴다가 이 골목 저 귀퉁이에 떡하니 얹혔을까요?

동네 샛골목 섬돌로 쓰이는 '일본 절 빗돌' 하나. 그동안 미처 느끼지 못했는데, 이런 돌이 무척 많았습니다. 이제부터 이런 '일본 절 빗돌' 자취도 하나하나 찾아보아야겠다고 느낍니다.
 동네 샛골목 섬돌로 쓰이는 '일본 절 빗돌' 하나. 그동안 미처 느끼지 못했는데, 이런 돌이 무척 많았습니다. 이제부터 이런 '일본 절 빗돌' 자취도 하나하나 찾아보아야겠다고 느낍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인천에서 문화해설사 일을 하고 있는 장회숙 선생님한테 말씀을 여쭈며 이 골목으로 다시 찾아와 봅니다. 문화해설사 장회숙 선생님은 이런 돌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이 세운 절(아마도 '신사'일 테지요)에서 쓰던 돌일 텐데, 해방 뒤 한국전쟁 때 폭탄 맞고 부서진 절에서 흩어진 조각들을 동네사람들이 가져다가 쓰면서 이렇게 자리를 잡고 있다고 이야기해 줍니다. 그러니까, 이르면 1945년 8월 15일 해방을 맞이하면서 사람들이 '신사를 때려부수었다'면 그때부터 이렇게 굴러와서 박힌 돌인 셈이고, 한국전쟁 때 미군이 월미도 앞바다에서 함포사격을 하며 인천상륙작전을 할 때에 부서진 절에서 뒹굴던 돌을 전쟁이 끝난 다음 동네를 새로 짓고 고칠 때에 동네사람들이 하나둘 주워 와서 쓴 셈입니다.

이 얘기를 듣고 나서, 골목마실을 할 때에 섬돌과 주춧돌을 곰곰이 살펴봅니다. 곰곰이 살펴보니 그동안 '저 돌은 그냥 시멘트나 여느 돌은 아니네'하고 느끼던 돌이 하나같이 '일제강점기 일본 절에서 쓰던 돌'이 아닌가 싶습니다. 우리 삶터에 아픈 생채기를 굵직하게 남긴 일본사람 발자취가 이렇게 골목집마다 구석구석 되쓰이면서 '눈에 거의 안 뜨이는 자리'에서 말없는 역사를 보여주고 있는 노릇이구나 싶습니다.

그러나 이 돌들은 '문화재'라는 이름이 붙지 않습니다. 인천 중구 중국인거리 둘레는 '개항 역사를 말하는 문화거리'로 지정되어 옛 일본집을 허물지 않을 뿐더러 새옷을 입히거나 손질을 하지만, 이와 같이 가난한 사람들이 전쟁 끄트머리에 동네를 되살리면서 흘린 땀방울이 서린 발자취들은 그냥 '재개발 대상'이요, '재개발 확정 경축'이라는 외침말에 따라 하루아침에 사라지면 그만인 낡은 모습이라고 합니다.

골목집 문간에 쓰이는 이 돌도 '일본 절'에서 왔다고 합니다.
 골목집 문간에 쓰이는 이 돌도 '일본 절'에서 왔다고 합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고작 '일흔 살밖에 안 된' '일제강점기 자취' 하나야 밟아 없애건 까부수어 없애건 그리 큰일은 아니라 할 수 있습니다. 동네 분들 가운데 이런 발자취를 헤아리는 분은 없다시피 하고, 이런 발자취 이야기를 꺼내며 "동네 골목이 참 예뻐요" 하고 말씀을 드려도 "이런 지저분한 동네인데 뭐, 곧 다 철거될 텐데" 하면서 스스로를 그예 낮추기만 합니다. 1940년에 일본 절에서 쓰던 빗돌 사진을 다시 찍으러 혼자 이 골목에 찾아와서 바지런히 사진기 단추를 누르니 동네 아주머니가 여쭙니다. "뭘 그리 찍어요?" "이 골목이 예뻐서요." "더러운 모습 찍는 건 아니고?" "……."

처음에는 이 샛골목을 사진으로 담을 생각이었습니다. 집에 와서 이 사진을 가만히 들여다보다가 '빗돌에 새겨진 글월'을 읽어내고는 깜짝 놀랐습니다.
 처음에는 이 샛골목을 사진으로 담을 생각이었습니다. 집에 와서 이 사진을 가만히 들여다보다가 '빗돌에 새겨진 글월'을 읽어내고는 깜짝 놀랐습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예전에는 방앗간이었으나 이제는 빈집이 된 이 기와집 주춧돌 또한 '일본 절'에서 주워 온 돌이라고 합니다. 주춧돌뿐 아니라 계단으로 삼은 돌 또한 '일본 절'에서 가져온 녀석들이라고 합니다.
 예전에는 방앗간이었으나 이제는 빈집이 된 이 기와집 주춧돌 또한 '일본 절'에서 주워 온 돌이라고 합니다. 주춧돌뿐 아니라 계단으로 삼은 돌 또한 '일본 절'에서 가져온 녀석들이라고 합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흙벽을 바른 이 골목기와집 주춧돌 또한 '일본 절'에서 주워 온 돌이라고 하는군요. 이제 와 돌아보면, 일제강점기에 일본사람들이 지은 신사는 동네사람들한테 좋은 '건축재료를 마련해 준' 셈입니다.
 흙벽을 바른 이 골목기와집 주춧돌 또한 '일본 절'에서 주워 온 돌이라고 하는군요. 이제 와 돌아보면, 일제강점기에 일본사람들이 지은 신사는 동네사람들한테 좋은 '건축재료를 마련해 준' 셈입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일제강점기에 양조장 건물이었으리라 보이는 오래된 '빈 건물'입니다. 건물이 텅 빈 지 꽤 오래되었으나 그대로 내버려지고 있습니다. 골목동네 한복판에 버려진 일제강점기 건물들은 조금만 손질해서 가꾸어도 '멋진 문화터전이나 박물관'으로 되살릴 수 있지만, 인천시에서는 이런 데에 거의 눈길을 안 두고 있습니다.
 일제강점기에 양조장 건물이었으리라 보이는 오래된 '빈 건물'입니다. 건물이 텅 빈 지 꽤 오래되었으나 그대로 내버려지고 있습니다. 골목동네 한복판에 버려진 일제강점기 건물들은 조금만 손질해서 가꾸어도 '멋진 문화터전이나 박물관'으로 되살릴 수 있지만, 인천시에서는 이런 데에 거의 눈길을 안 두고 있습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어느 누구도 '문화재'로 생각하지 않지만, 문패나 주소패 삼아서 붙인 이런 자취 하나하나 또한 '소중한 생활문화재'가 아닐까 하고 생각합니다.
 어느 누구도 '문화재'로 생각하지 않지만, 문패나 주소패 삼아서 붙인 이런 자취 하나하나 또한 '소중한 생활문화재'가 아닐까 하고 생각합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헐자면 하루아침에도 헐 수 있는데, 골목동네 곳곳에 아직 많이 남아 있는 '일본 집'들은 가꾸기에 따라서 좋은 문화재가 되면서, 나라안팎 사람들한테 볼거리와 이야기거리를 마련해 줄 수 있습니다.
 헐자면 하루아침에도 헐 수 있는데, 골목동네 곳곳에 아직 많이 남아 있는 '일본 집'들은 가꾸기에 따라서 좋은 문화재가 되면서, 나라안팎 사람들한테 볼거리와 이야기거리를 마련해 줄 수 있습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안쪽에는 나무문살에 창호지를 발랐으며, 겉에는 옛 일본집 창문틀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이와 같은 '사람이 살고 있는 골목집'이 우리 나라에 얼마나 남아 있을까요. 이런 집들은 그냥 재개발이라는 이름으로 허물거나 '박물관으로 보내면 될' 일일까요.
 안쪽에는 나무문살에 창호지를 발랐으며, 겉에는 옛 일본집 창문틀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이와 같은 '사람이 살고 있는 골목집'이 우리 나라에 얼마나 남아 있을까요. 이런 집들은 그냥 재개발이라는 이름으로 허물거나 '박물관으로 보내면 될' 일일까요.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고려시대 조선시대 문물만 문화재가 아니라, 바로 우리가 살아낸 가까운 역사 자취에서도 문화재를 찾아보는 눈썰미와 눈길과 손길을 다스리면 얼마나 좋을까 하고 생각해 봅니다. 뒷간 작은 창문 하나 또한 좋은 문화재가 될 수 있습니다.
 고려시대 조선시대 문물만 문화재가 아니라, 바로 우리가 살아낸 가까운 역사 자취에서도 문화재를 찾아보는 눈썰미와 눈길과 손길을 다스리면 얼마나 좋을까 하고 생각해 봅니다. 뒷간 작은 창문 하나 또한 좋은 문화재가 될 수 있습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 글쓴이 누리집이 있습니다.
[우리 말과 헌책방 이야기] http://cafe.naver.com/hbooks
[인천 골목길 사진 찍기] http://cafe.naver.com/ingol

- 글쓴이는 다음과 같은 책을 써냈습니다.
<생각하는 글쓰기>(호미,2009)
<책 홀림길에서>(텍스트,2009)
<자전거와 함께 살기>(달팽이,2009)
<헌책방에서 보낸 1년>(그물코,2006)
<모든 책은 헌책이다>(그물코,2004)
<우리 말과 헌책방 (1)∼(8)>(그물코,2007∼2009)



태그:#골목길, #인천골목길, #골목마실, #문화재, #생활문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