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미국발 금융위기 속에 가계지출을 줄이고 허리띠를 더욱 졸라 매는 가정이 많습니다. 그러나 지출 가운데 유독 사교육비만은 줄이지 않는 것은 교육문제에 관한 한 우리 부모들의 열정 때문일 것입니다. 그러나 날로 높아져 가는 사교육비 때문에 금융위기 속에서 일반 가정은 더욱 휘청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마치 사교육비에 휘청되는 학원공화국 같습니다.

 

저는 대학 1년생과 고등학교 2년생을 둔 학부모입니다. 작년에 고3 학부모로서 입시전쟁을 한 번 치렀고, 이제 두 번째 입시전쟁을 준비중입니다. 남들처럼 돈이 많아 고액 과외를 시키는 것도 아니고, 평범하게 부족한 과목 보충시키기 위해 학원을 보내고, 인터넷 강의를 듣게 하고 있습니다. 경제가 어려운 마당에 가파르게 오르는 학원비는 그야말로 서민 등골 빠지게 하고 있습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가구당 학원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21%라고 하는데, 전체가구를 대상으로 한 통계이기 때문에 실제로 학원을 보내는 가구만 따져본다면 소득의 절반 이상을 사교육비로 지출할 것입니다. 소득의 절반을 학원으로 갖다 바치는 나라가 과연 올바른 나라입니까? 사교육비 때문에 주부들은 가계부 보면 한숨부터 나옵니다.

 

서민들 등골 빠지게 하는 사교육비

 

우리나라 학부모들이 가장 스트레스 받는 것이 아마 학원비가 아닐까요? 빠듯한 월급을 쥐어 짜고 또 쥐어 짜며, 그래도 가장 먼저 지출하는 것이 학원비입니다. 아이들 교육에 대한 열정은 세계 최고 수준이니까요.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민소득 통계(9월 7일)에 따르면 올 상반기 교육비 지출이 15조가 넘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13조여 원에 비해 약 9.1%가 늘어난 겁니다. 연 교육비 지출이 2003년 20조원대를 넘어선 이후 작년은 29조를 넘었고, 올해는 30조원을 돌파할 것 같습니다. 경제도 어렵고, 살기도 힘든데 사교육비 지출은 점점 늘고 있습니다.

 

최근 삼성경제연구소가 발표한 자료(8월 27일)에 따르면 물가인상과 유가인상 등에 따라 소비지출을 많이 줄였다는 가구 중 외식비(33.7%)와 교통비(32.6%)를 줄인 가구가 가장 많았는데, 교육비 지출을 줄이겠다고 응답한 가구수는 불과 1.3%에 불과했습니다. 그만큼 우리나라는 자녀교육에 관심이 많고, 배는 곯아도 교육은 반드시 시키겠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학원비 인상입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대입 단과반 학원비는 6.1%, 고입단과반은 5.3% 인상되었다고 합니다. 월급도 쥐꼬리만큼 올라 허리띠를 졸라 매고 또 졸라 매도 살기 힘든데 학원비는 대폭 올라 주부들은 주름살 펴질 날이 없습니다.

 

어디 학원비 뿐이겠습니까? 대학 등록금은 왜 이렇게 비싼 겁니까? 1년에 1천만원을 주고 배워야 한다니, 참 기가 막힙니다. 오죽하면 등록금 때문에 대학생이 자살하겠습니까?

 

고등학생 31명에게 학원비 물어보니

 

고등학교 2학년에 다니는 딸의 반 학생들에게 설문을 돌렸습니다. 설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설문인원 : 31명)

 

- 지금 다니고 있는 보충 교육은?

1) 학원  2)  개인과외  3) 인터넷강의  4) 안한다  5) 기타

- 한달에 드는 과외비는 얼마인가?

1) 30만원 이하  2) 50만원 이하  3) 100만원 이하  4) 100~150만원  5) 200만원 이상  6) 300만원 이상

- 부족한 과목을 보충하기 위한 과외 수강 과목은?

1) 수학  2) 영어  3) 언어  4) 사탐  5) 기타

 

설문 결과, 사교육수단으로 학원이 69%로 가장 많았습니다(여기서 학원과 개인과외 등 이중적인 사교육을 받는 학생도 많았으나 제외했습니다). 10명 중 7명이 학원에 다니고 있는 겁니다. 그리고 학원비는 100만원 이하가 46%로 가장 많았고, 100~150만원도 6%, 300만원 이상은 3%였습니다. 50만원 이하는 45%였습니다. 일반적으로 학생당 과외비로 약 80~100만원 정도 들어가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수강과목은 역시 영어와 수학이 가장 많았습니다. 영어와 수학을 중시하는 대학 입시경향 때문입니다. 물론 이것은 특정 고등학교의 예에 불과합니다.

 

통계에 의하면 한 가정당 사교육비가 평균 21만원이라고 하는데, 실제는 그 이상으로 지출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한 설문 결과입니다.

 

물가인상 품목에 들어간 학원비

 

정부는 공교육 내실화를 기하지 않고 학원비를 물가인상 품목에 넣어 잡겠다고 했습니다. 올해 3월 물가관리 대상으로 선정한 52개 생필품 중 하나인 학원비 안정화 방안으로 학원의 고액과외에 대한 지도·점검을 매달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올해 추석을 앞둔 지난달 25일에는 '추석물가 및 민생안정 대책'을 추진한다고 발표하면서 추석 전후로 학원비를 안정시키기 위한 대책과 관리, 감독 강화 방안이 나왔습니다. 그러나 발표는 발표일뿐 나아진 것은 하나도 없습니다. 아니 오히려 학원비는 앞으로 수능일이 다가오면서 '쪽집게과외' 등으로 더 오를 것입니다.

 

현재 서울시내 각종 학원의 수강생이 100만명을 넘는다고 합니다. 유·초·중·고 학생의 절반이 특목고 및 대학 진학 등을 위해 학원에 다니고 있는 상황을 감안하면, 사교육비 문제는 절대 그냥 두고 넘어가서는 안 될 일입니다. 이러다 대한민국은 학원공화국이 될 듯합니다.

 

공교육 내실화? 정녕 의지는 있는가

 

이명박 정부 들어서서 가장 기대를 걸었던 것이 경제와 교육 문제입니다. 경제는 세계적인 금융위기마저 오는 듯하니 더 나아지리란 기대감은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또 한가지 교육 문제도 돈 없는 사람도 교육을 받을 기회를 준다며 기숙형 공립고교 150개, 학생들의 특기 적성을 살린 마이스터고교 50개, 자율형 사립고 50개 등 온통 기존 공교육의 정상화보다 학교 신설뿐입니다.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이른바 청심 국제중처럼 특수중학교 열풍까지 불고 있다는 겁니다. 중학교 입시에 따른 사교육 열풍은 이젠 강남 등지에서부터 출발하여 전국적으로 초등학교부터 사교육 열풍이 불어닥치고 않을까 걱정입니다. 좋은 중학교를 보내야 좋은 고등학교, 좋은 대학을 갈 수 있다는 등식 아래 사교육 연령이 점점 낮아지고 있습니다.

 

왜 학원을 보내냐구요? 가장 큰 문제는 공교육을 믿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공교육이 내실있게 이루어진다면 굳이 사교육에 의존할 필요가 없습니다. 저 또한 다른 엄마들과 똑같습니다. 요즘 학원에 다니지 않으면 학교 내신성적과 수능시험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다는 것은 대한민국 학부모들이면 다 아는 사실입니다. 우선 학교 시험문제가 학교에서 배우는 내용보다 훨씬 고난이도로 출제되어 학원을 다니지 않은 학생들은 풀지 못할 문제가 많습니다.

 

또 학교에서는 속된 말로 일부 교사들이 "학원에서 다 배웠지?" 하면서 심층 깊은 강의를 하지 않거나, 모르는 문제를 질문해도 "학원에 가서 물어봐!" 하는 식이니 어떻게 학원을 다니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이 문제는 물론 모든 학교가 다 그렇다는 것은 아니지만, 대다수 학부모들은 아마 고개를 끄덕일 겁니다.

 

개천에서 용나던 시대 지났는가

 

'개천에서 용나게 하겠다?' 이제 그런 시대는 지난 듯합니다. 개천에서 절대 용날 수 없습니다. 요즘 인기리에 방영되는 <에덴의 동쪽>에서 탄광촌 광부의 아들로 자란 동욱(연정훈분)이가 서울대 법대에 수석합격 했는데, 먼 옛날 얘기를 보는 듯했습니다. 제가 자라던 시대(386세대, 81학번)는 그런 일이 가능했죠. 그래서 개천에서 용났다는 이야기 많이 듣고 자랐습니다. 이젠 개천이 오염되서 그런지 용들이 다 죽었나 봅니다.

 

이명박 정부가 탄생하게 된 배경은 경제살리기와 사교육비를 줄이겠다는 공약 덕분이었습니다. 그러나 그 두 가지 대표공약 모두 지금은 말 그대로 공약(空約)으로 기대할 수 없는 지경까지 이르게 되었습니다. 지금 미국발 금융위기로 서민들은 다시 IMF가 올까봐 두려워하고 있습니다. 거기에다 하늘 높은 줄 모르는 사교육비로 서민들은 이제 졸라맬 허리띠조차 없습니다. 개천에서 용나던 시대가 좋았습니다. <에덴의 동쪽>처럼 탄광촌 광부의 아들도 서울대 사법고시 수석으로 합격할 수 있는 시대, 다시 그런 시대로 돌아갈 수 없나요?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다음(Daum) 블로그뉴스에도 실렸습니다.


#사교육비#학원#대학#공교육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