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즈의 마법사> 포스터
<오즈의 마법사> 포스터 ⓒ MGM

영화 <오즈의 마법사>(The Wizard of Oz, 1939)에 삽입된 이 노래는 쥬디 갈란드의 대표곡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2001년 국가예술기금(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이 선정한 20세기 미국의 대중음악 1위에 뽑히는 영광을 누리기도 하였다. 

 

그 쟁쟁한 비틀즈와 엘비스도 모두 물리쳤다. 이 노래는 베트 미들러, 비욘세, 셀린 디온, 프랭크 시나트라, 쥬얼, 스매싱 펌킨스, 메탈리카, 플라시도 도밍고, 에바 캐시디 등 장르를 초월한 수백명의 가수들이 다시 불렀다. <오버 더 레인보우>는 오랜 세월 사랑받아서 이미 고전의 반열에 올랐다.

 

이 노래에는 1930년대 미국의 시대상이 그대로 담겨있다. 1929년 미국은 대공황이 터지면서 경제가 파탄나고 기나긴 불황기를 견뎌야만 했다.

 

이런 우울한 시기가 빨리 끝나기를 바라는 것이 1930년대 미국인들의 보편적 심리였다. 영화 속 캔사스 시골 동네는 1930년대 암울했던 미국의 분위기를 은유하고 있다. 토네이도에 집이 날아갈 지경이고, 힘들게 노동을 해도 근근히 먹고 살 정도였다. 도로시는 희망이 없어 보이는 캔사스 시골을 벗어나 희망의 나라를 꿈꾸며 <오버 더 레인보우>를 불렀다.

 

대공황은 전세계적인 현상이었다. 다만 미국은 1920년대 역사이래 최대의 호황기를 누렸기 때문에 그 충격이 컸고 상대적 박탈감도 강했다. 미국 경제는 시장에 의해 자연스레 해결될 거라는 믿음과 달리 뉴딜 정책이라는 국가의 개입을 통해 서서히 회복되고 있었다.

 

하지만 그 회복은 아주 더뎠다. 사람들 중에는 파산에서 아예 회복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불황의 최대 피해자는 도시 노동자와 농민이다. 존 스타인벡의 <분노의 포도>는 1930년대 한 농민가족이 처한 처참한 현실을 낱낱히 보여준다. 묘사가 너무 현실적이어서 자본가 계급은 이 책을 불태우기까지 하는 반응을 보였다. 당시 상류층 5%가 전체 소득의 1/3을 넘을 정도로 빈부의 격차가 심했다. 노동자와 농민에게 이러한 척박한 현실은 영원히 끝나지 않을 것만 같았다.

 

    무지개 너머 저 높은 곳 어딘가에
    자장가에서 들어본 적 있는 땅이 있죠
    무지개 너머 하늘이 파랗게 물든 어딘가에
    그리고 당신이 꿈을 꾸면
    반드시 이뤄지죠

   

    나는 늘 바라요
    별에서 깨어나면 구름은 내 한참 아래에 있고
    근심, 고통은 레몬 방울처럼 녹아 없어지고
    굴뚝 한참 위
    그곳이 제가 있는 곳이죠

 

    무지개 너머 파랑새들이 나는 어딘가에
    새들은 무지개 위를 날아오르죠
    새들은 나는데, 나는 왜 못 날죠?
    작은 파랑새들이 무지개 위를 행복하게 날아간다면
    왜, 나는 왜 안되나요?

 

1절과 2절에서 희망의 나라를 노래한 뒤 3절에서 근심 걱정이 꿈같이 사라진 하늘을 높이 날아오는 파랑새를 부러워하는 마음으로 마친다. 바로 암울했던 1930년대 미국의 사회가 노래로 표현되었다. 파랑새처럼 아름답게 날아올라서 다 잊어버리고 편하게 살기를 바라는 현실 탈출 욕구가 그대로 드러난다. 결론은 현실에 대한 불만을 환상적으로 해결한다는 소극적인 자세이다. 하지만 이를 비난할 만큼 현실은 녹녹하지 않았다.

 

영화 <오즈의 마법사>는 1900년에 프랭크 바움(Frank Baum)이 출판한 소설을 원작으로 제작되었다. 프랭크 바움은 오즈 시리즈를 총 13편 썼는데 그 중에 세편이 각각 1914년, 1925년 그리고 1939년에 영화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앞의 두 편은 모두 실패하였다. MGM은 디즈니가 1937년에 만든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의 성공을 부러워하여 <오즈의 마법사>에 모든 희망을 걸었다. 물론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원래 도로시역은 쥬디 갈란드가 아니었다. 당대 최고의 아역배우였던 셜리 템플이 도로시역으로 캐스팅되었다. 소설에서 묘사된 금발의 곱슬머리 도로시와 외모도 비슷했고 인기도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폭스 스튜디오와 계약이 되어 있었던 셜리 템플은 <오즈의 마법사>에 출연할 수 없었다. 운좋게도 도로시역은 쥬디 갈란드의 몫이 되었다.

 

 영화 <오즈의 마법사>에서 <오버 더 레인보우>를 부르는 쥬디 갈란드
영화 <오즈의 마법사>에서 <오버 더 레인보우>를 부르는 쥬디 갈란드 ⓒ MGM

 

이런 주옥같은 노래의 운명도 하마트면 사라질 뻔했다. MGM의 제작자들이 이 노래를 빼버리려 했던 것이다. <오버 더 레인보우>는 영화속 다른 흥겨운 노래들에 비해 템포도 느리고 구슬퍼서 잘 어울리지 않았다.

 

감상적인 <오버 더 레인보우>가 활기 넘치는 <오즈의 마법사>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고 판단한 제작자들이 이 곡을 영화에서 제외시키려고 했다. 이 노래를 처음부터 좋아했던 제작부 아서 프리드의 끈질긴 로비 끝에 이 노래를 영화에 다시 삽입하기로 결정했다.

 

해롤드 알랜이 음악을 만들고 E. Y. 하버그가 작사한 이 노래는 1939년 아카데미 음악상을 받았다.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이 터진 유럽땅의 미군들 사이에서 최고의 신청곡이 되었다. 이 노래와 더불어 빙 크로스비가 부른 <화이트 크리스마스>도 전쟁 중 최고의 인기곡이 되었다. 두 노래 모두 현실 탈출에 대한 강한 욕구가 담겨있다. 암울한 현실을 벗어나 희망을 꿈꾸는 미국인에게 이 노래들은 그런 욕구를 마음껏 충족시켜주었다.

 

아이들 동화 속 희망의 나라를 노래한 <오버 더 레인보우>는 대공항기 서민들과 전쟁통의 군인들에게도 희망을 꿈꾸게 해주었다. 당시 현실은 판타지처럼 한순간에 벗어날 수 있는 것이 아니었지만 그 꿈을 꿀 수 있는 자유는 필요했다. 적어도 이 노래를 듣는 동안에는 불황과 전쟁은 잠시 잊어버리고 누구나 파랑새가 되어 하늘 높이 날아오를 수 있었다. 판타지는 아이들에게만 필요한 것이 아니었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기자의 블로그 "류동협의 맛있는 대중문화"(ryudonghyup.com)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무지개 너머#OVER THE RAINBOW#대공황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류동협 기자는 미국 포틀랜드 근교에서 아내와 함께 아이를 키우며, 육아와 대중문화에 관한 글을 쓰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