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6일 청와대브리핑에 실린 <경향> 비판글
26일 청와대브리핑에 실린 <경향> 비판글 ⓒ 청와대브리핑
청와대는 <경향>의 4월 12일자 '결국 거둬들인 정략개헌'와 16일자 '노-한나라 FTA연정 뒷손잡나' 기사 등에 대해 "사실을 왜곡했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청와대는 <경향>에 반론을 요청했고, 24일자에 반론문이 실렸다.

이 글에서 청와대는 "개헌이 정략이고 임기말 승부수라고 보도하려면, 대통령이 개헌을 통해 어떤 정치적 이득을 얻는지 구체적 근거와 합당한 사유를 명확하게 밝혀야 하지만, <경향>은 아무런 근거를 제시하지 못한 채, 대통령의 헌법적 권한을 왜곡하고 모독했다"고 비판했다.

또 "<경향>은 대통령이 한나라당과 의기투합한 성격도 짙다고 했는데, 황당한 소설을 쓰는 것은 대통령에 대한 모략이자 중상"이라고 공격했다.

그러나 <경향>은 이 반론문을 게재한 같은 면에서, 청와대 반론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했다. 반론문에는 그동안 <경향>이 보도했던 개헌 관련 기사의 논점이 정리되어있었다.

<경향>은 "존재감만으로도 영향력을 갖는 대통령이 대선이 있는 해에 자신만의 어젠다를 갖게 되면 대통령의 영향력은 더욱 커진다"며 "개헌안이 발의되면 이 문제가 최대 정치현안이 될 수밖에 없는데, 임기말 대통령이 영향력을 키워 정국주도권을 지면 정치적 이득 아닌가"라고 강조했다.

또, "개헌론을 비판하면 언론이 정치선수이고, 옹호하면 공정한 언론이냐"고 비판했다.

[청와대 vs 경향 : 2라운드] "반론은 작고 <경향> 주장은 커... 반칙"

이같은 반론게재 양식에 대해 청와대가 다시 발끈했다. 청와대는 '반론실을 때도 반칙하나'라는 글에서 "지면에서 청와대의 반론문이 차지하는 크기는 3분이 1이 되지 않고, 전체 지면의 대부분은 <경향>의 주장으로만 채워져 있다"면서 "최소한의 산술적, 기계적 균형을 유지하려는 고민의 흔적도 발견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분명하게 말씀드리지만 청와대는, 이런 방식이라면 게재하지 말라고 분명하게 밝혔지만, 그럼에도 경향은 일방적으로 반론을 게재했다"면서 "상대방의 손발은 묶어놓고 마음껏 주먹을 휘둘러댄 원천적인 반칙"이라고도 했다. '지면사유화' '특권의식의 발로'라는 비판도 했다.

이에 대해 <경향>은 정치부 기자의 '기자메모'형식으로 대응했다.

<경향>은 "<청와대 브리핑>은 창간 당시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관한 국민들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고 투명한 국정을 실천하여 참여정부의 진면목을 드러내보이기 위해'라고 창간 이유를 밝혔다"면서 야당과 언론에 대한 공격이 창간 이유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묻고 싶다, 이것이야말로 '지면의 사유화'가 아니냐"고 따졌다.

이어 "이 글에 대해 다시 반박한다면 <청와대브리핑> 대신 언론중재위 등 다른 경로를 통해 해줄 것을 정중히 요청한다"면서 "서로 더이상 지면이든 온라인 공간이든 '사유화'하는 일은 없어야 하지 않겠느냐"고 했다.

양쪽의 갈등은 지난해 9월 <경향>의 '진보개혁의 위기' 기획 시리즈 때부터 잠복된 사안이다. 당시 <경향>은 최장집 교수 등의 인터뷰를 통해 "노무현 대통령은 민주세력이 아니다" "참여정부는 관료들에게 장악됐다"고 강도 높게 비판해왔다.

[청와대 vs 한겨레] "최악만 제시"... "수긍할 대목 있지만 외고집"

26일 청와대브리핑에 실린 <한겨레> 비판글
26일 청와대브리핑에 실린 <한겨레> 비판글 ⓒ 청와대브리핑
청와대는 지난 18일부터 3차례의 시리즈를 통해 한미FTA와 개헌에 대한 한겨레 보도를 비판했다.

첫번째 '<한겨레>는 달라야 하지 않겠습니까'에서는 'FTA합의문 숨은 폭탄 많다' '유전자조작 농산물 검사 생략파장' '식탁주권 흔든 테이블밑 거래' 등의 LMO(유전자변형생물체)와 ISD(투자자-국가소송제)등에 대한 <한겨레> 보도를 비판했다.

이 글에서 청와대는 <한겨레> 보도를 "과장을 넘어 선동"이었다고 썼다. 또 지난 3월 13일 FTA시위와 관련한 '경찰청장 강경선회 청와대 의중실린 듯'기사도 명백한 오보라고 반박했다.

이어 "<한겨레>는 '다르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아직은 꽤 많이 있다"면서 "현실을 넘어 '최악의 가능성'만 제시함으로써 합리적인 토론의 기회를 막지는 않았는지 되돌아보라"고 권고했다.

두번째, '왜 21세기판 긴급조치에 편승했습니까'에서는, 개헌에 대해 처음에는 "진지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가 불과 3일 뒤 "여론이 수용하지 않으면 접을 줄 아는 게 지도자의 덕목이자 용기"라고 입장을 바꿨다고 비판했다.

세번째, "왜 <한겨레>하고도 싸우냐고 묻는 분들에게"에서는 "언론에 대한 참여정부의 기본 원칙은 '건전한 긴장관계'를 갖자는 것"이라면서 "<한겨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또 한국 언론의 특권문화에서 한겨레 역시 자유롭지 못할 때, 그런 행태가 나타날 경우에는 부득이 원칙적인 대응을 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한겨레>는 시리즈가 끝난 뒤인 27일, 2개면을 털어 이에 대해 보도했다. 청와대의 주장을 요약해 전하면서 조목조목 <한겨레>의 입장과 반론을 실었다.

경찰청장 강경선회 청와대 의중실린 듯' 기사와 관련해서는 "청와대의 일부지적은 새겨들을 만하다"고 인정했다. 또, 한-칠레 자유무역협정관련 보도와 개헌과 관련안 입장변화 지적에 대해서도 "수긍할 만한 대목이 있다"고 인정했다.

그러나 "FTA비판은 정부문서를 토대로 다각적으로 진위검증을 거쳐 보도했으며, 개헌에 대해서는 정치권 합의 힘든 '외고집 추진'은 부적절한 것"이라고 재차 반박했다. 이와 함께 LMO와 ISD문제에 대해서도 정부설명이 틀렸다고 적극 반박했다.

청와대와 '조중동', <경향>과 <한겨레>

청와대와 한겨레의 공방은, 경향에 비해 부드럽게 전개됐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27일 "오늘 상황점검회의에서 청와대와 한겨레의 토론은 바람직한 것이라는 평가가 있었다"면서 "언론과의 건강한 긴장관계의 한 사례가 될 것 같다"고 평가했다.

청와대와 두 신문의 공방이 이렇게 마무리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미FTA문제에 대한 양쪽의 입장이 팽팽하기 때문이다.

최근 청와대의 언론비판 대상이 조중동(<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에서 경향과 한겨레로 옮겨진 까닭은 한미FTA 타결에 따른 전선 재배치의 결과물이라는 시각이 많다.

한미FTA타결에 뜻을 같이하는 노 대통령과 '조중동'이 한편에 서고, <경향>과 <한겨레>가 반대편에 섰다는 것이다.

청와대는 이에 대해 '언론과의 건강한 긴장관계'일 뿐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