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소설 훈민정음>. 박춘명
<소설 훈민정음>. 박춘명 ⓒ 이가서
한글을 창제한 사람이 누구냐고 물으면 열에 열이 세종대왕이라고 말한다. 어릴 때부터 한글은 세종대왕이 만들었다는 것을 들어온 우리는 한글이 세종대왕이 아닌 다른 사람이 지었다는 생각을 해보지도 아니 한 적도 없을 것이다. '세종어제 훈민정음'이란 말에서도 알 수 있듯이 훈민정음은 세종이 지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헌데 이런 생각에 의문을 품고 써내려간 소설이 있다. 북한에서 평양사범을 졸업하고 교육자로 일하고 있다고 하는 박춘명의 소설 <훈민정음>이다. 작가는 이 소설에서 훈민정음을 세종대왕이 아닌 집현전의 학자들이 만들었다는 전제하여 글을 진행하고 있다. 거기에 집현전의 학자들 중에서도 성삼문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여 만들었다고 하고 있다.

그렇다면 세종대왕은 무얼 했는가? 소설에서 세종대왕은 우리의 생각과 뜻을 표현할 수 있는 문자를 만들어야겠다는 신념을 집현전의 학자들에게 전달하고 독려하는 역할을 한다. 세종대왕은 나라가 어지럽고, 백성이 억울한 일을 당하고, 민란이 일어나고 하는 것은 모두 배성들의 생각을 글로 표현할 수 없는 문자가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최만리 등 과 같은 일부 보수적인 학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집현전의 젊은 학자들에게 백성을 이롭게 하는 문자를 만들라고 특명을 내리는 역할로 한정하고 있다.

그럼 소설 속으로 들어가 보자. 소설은 세종의 명을 받은 성삼문이 수원의 한 농촌마을에 가는 걸로 시작된다. 세종은 그곳에 가서 측우기를 보고 오라고 한다. 거기에 세종의 뜻이 숨겨있기 때문이다. 소설에선 측우기를 발명하게 된 것은 평범한 민초들이 농사를 짓기 위해 만든 것을 좀 더 과학적으로 확대 발전시킨 것으로 나온다. 소설의 시발점은 여기에서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조선 사람들은 이 땅에서 몇 천 년을 살아 왔다. 몇 천 년을 살아오면서 우리 선조들이 과연 자기들이 하는 말을 그대로 적는 글을 못 만들어 냈을까? 아니 그렇지 않다. 물론 이두가 있기는 하다. 그러나 이두는 한자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그것은 한자가 생겨난 다음에 만든 것이다. 그럼 한자가 생겨나기 전에는 우리의 글이 없었겠는가? 그렇게만 생각할 수가 없다. 우리의 글은 꼭 있었을 것이다. 그 흔적이 지금 어디인가 남아 있겠는데 아직 그것을 찾지 못하고 있을 수도 있지 않겠는가."

@BRI@성삼문은 몇 천 년을 살아온 이 땅에 분명 선조들이 하는 말을 기록한 문자가 있을 거라 생각한다. 여러 자료와 풍문을 근거로 그 문자는 관서지방에 남아 있을 거라는 생각에 성삼문은 관서지방으로 떠나 옛 문자인 '신지문자'를 찾아 떠난다. 그 문자가 고조선 때 사용했다는 신지문자다. 성삼문은 그곳의 한 노인에게서 '신지문자'를 찾아낸다. 노인에 의하면 그 문자는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 떠 만든 글자라는 소리를 듣는다.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와 신지문자와의 제자 원리가 같음을 의미한다.

새로운 글자를 만들 수 있다는 희망 하에 집현전으로 돌아온 성삼문은 동료 학자들과 함께 치열한 토론과 연구를 하며 한글의 원리를 찾아내고 체계화한다. 동시에 아내에게 배우게 하고, 아내로 하여금 하인들에게 가르치게 하여 그 효용성을 실험케 한다. 그 결과 아무것도 모르는 하인들도 금방 문자를 깨우쳐 읽고 쓰게 됨을 알게 된다.

훈민정음이 완성되어 갈 무렵 최만리는 일부 학자들을 규합하여 새로운 문자의 부당성을 지적하는 상소문을 준비하고, 세종이 휴양에서 돌아오자 바로 상소문을 울린다. 이에 세종은 자신의 뜻을 꺾으려는 최만리의 행동에 분을 이기지 못하고 그를 따르는 하위지 등 일부 학자를 새 문자를 반포하기 전까지 의금부에 하옥시킨다. 그리고 세종은 온 백성에게 새로운 문자 '훈민정음'이 창제되었음을 널리 알린다.

박춘명의 소설 <훈민정음>은 한글을 세종대왕이 직접 만든 문자가 아니라 세종의 명에 의해 집현전의 학자들이 만들었다는 전제하에 쓴 글이다. 그리고 그 한글은 고조선 때부터 우리 선조들이 사용했다는 문자, '신지문자'로부터 비롯되었음을 말하고 있다. 이는 훈민정음창제에 대한 여러 가지 이론이 있음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라 본다.

그렇지만 소설은 소설이다. 그런 면에서 소설 속에 남녀 간의 애틋한 사랑이 없으면 그 또한 재미가 없다. 박춘명의 소설에서는 남한의 소설과 같은 노골적인 사랑이야기는 없지만 성삼문과 그 아내와 애틋함이, 하인인 복돌이와 쌍가매의 애절한 사랑이 소설적 재미를 넣어주고 있다.

올해는 세종대왕이 한글을 반포한 지 560돌이 되는 해이다. 우리의 문자를 만들기 위해 세종과 집현전의 학자들이 얼마나 많은 노고를 했는지 짐작하고도 남는다. 이는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이 없인 안 된다. 헌데 오늘 날 우리는 우리 한글을 너무 쉽게 대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하는 생각도 든다. 북쪽의 작가인 박춘명의 소설을 읽으며 우리 글 한글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인 듯싶다.

소설 훈민정음

박춘명 지음, 이가서(2006)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너! 나! 따로 가지 말고 함께 가자.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