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5·31 지방선거가 약 열흘 앞으로 바짝 다가왔다.

선거 연령이 19세로 낮아짐에 따라 젊은 표심의 향배가 지방선거의 지각변동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전국대학신문기자연합(이하 전대기련)과 5·31지방선거전국대학생연대(이하 5·31 대학생연대)가 지난 5월 9일부터 17일까지 전국 대학생 1695명을 대상으로 '대학생 유권자 희망정책'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결과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53%)이 투표할 의향이 있고 대학생 10명 중 일곱 명은 지지정당이 있다고 밝혔다. 지지정당은 열린우리당 24.7%, 민주노동당 21.9%, 한나라당 16.2%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후보자를 선택하는 기준은 정책 및 공약이 35%, 인물 14.9%, 정당 12.3% 순이었다.

그렇다면 대학생이 요구하는 희망정책은 무엇일까? 현재의 사회양극화와 취업난을 대변하듯, 대학생들은 등록금 문제와 청년실업 문제 해결을 가장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금 등록금이 적당한지 묻는 질문에 응답자 중 77.1%가 높다는 의견을 보였으며, 적당한 편이다라는 의견은 16.9%에 불과했다. 높은 등록금에 대해서는 57.4%가 비효율적인 학교 재정운영, 15.9%가 정부의 낮은 교육재정이 원인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응답자 중 90%가 등록금 인상을 막기 위해서는 정부정책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등록금 인상을 막기 위한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인상 상한선을 두고 졸업 후 원금을 상환해가는 후불제'를 40.4%로 가장 많이 답했으며 그 다음으로는 '기여입학제를 허용을 통해 재원마련으로 현재의 등록금을 반값으로 내리자'가 24.2%로 뒤를 이었다.

청년실업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36.1%가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 34%가 지방대생 공기업할당제 '대기업 신규대출 취업자 의무고용제 법제화'가 17.2% 순으로 조사됐다.

이외에도 대학생들의 희망하는 정책제안이 이어졌다. ▲아르바이트 임금을 제때 못 받는 등 대학생 아르바이트 권익 찾기를 자치단체 재정으로 운영하자(81.6%) ▲자치단체에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취업 상담을 하고 기업을 연계하거나 사후관리까지 하는 청년실업센터를 만들자(79.5%) ▲대학가 주변에 전문 공연장이나 전시 공간 등을 마련하자(79.6%) ▲서울시에서는 저소득층가정 학생들의 학습과 고민을 상담해주는 대학생 멘토링 제도를 실시하고 있는데 전국으로 확대하자(80.8%)는 등의 정책이 제시됐다.

설문조사, 어떻게 했나?

▶조사대학(27개 대학)
서울-건국대, 고려대, 동국대, 서울시립대, 서울여대, 연세대, 한국외국어대
경기강원-경기대, 한경대, 연세대(원주)
부산·경남-경상대, 경남대, 부경대, 부산대, 부산외대, 울산대, 창원대, 한국해양대
대구·경북-경북대, 경일대, 대구대
광주·전남·전북-목포대, 우석대
대전·충남 -배재대, 충남대, 한남대, 한밭대

▶조사인원- 총 1695명
▶설문기간 -5월 10일~5월 17일
▶설문분석 프로그램 - SPSS 14.0
이에 대해 전대기련 정지운(안양대신문사 편집국장) 의장은 "대학생들의 정치적 냉소가 심해지고 있는 것은 현실정치가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불신때문이다.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대학생들이 희망하는 정책이 현실에 반영이 되어 20대의 요구를 실현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특히 이번 설문조사에 응답한 대학생 중 85.7%가 지방선거 날짜를 알고 있다고 밝혀 대학생들의 지방선거에 대한 높은 인지도를 나타냈다. 이는 지난 3월 전대기련에서 전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했던 조사에서 지방선거 날짜를 모른다고 답한 대학생이 53.8%였던 것과 대비되는 결과이다.

한편, 지지정당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25%가 "지지정당 없다"고 답해 지난번 조사 때 답한 50.1%보다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선거날짜가 다가오면서 대학생들이 정당에 대한 나름의 판단과 선택을 했다고 보여지는 대목이다. 대학생들이 판단한 선택이 실제 표심으로 작용할지에 귀추가 주목된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민중의소리, 유뉴스에도 게재합니다.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