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영남일보>와 <대구일보>는 최근 각각 12면, 8면으로 골프 특집을 구성했다. 대부분 광고성 지면이었다.
<영남일보>와 <대구일보>는 최근 각각 12면, 8면으로 골프 특집을 구성했다. 대부분 광고성 지면이었다. ⓒ 영남일보·대구일보
3·1절 골프 파문으로 세상이 떠들썩하던 지난 3월 8일, <한국일보>에서는 재미있는 분석자료를 냈다. 17대 국회의원 70%가 골프를 친다는 것이다.

지난 2004년 이헌재 부총리가 '골프장 규제 완화'정책을 발표했고 국회의원 70%가 골프를 치고 있는 상황이라면, 최소한 그들에게만은 '골프=대중스포츠'라는 공식이 성립할 수 있다.

이런 흐름 때문일까? 최근 대구지역 언론들도 '골프 대중화'에 앞다투어 나서고 있다. 최소한 8~16면을 할애해서 <골프 특집>을 게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오만 가지 '즐거운' 뉴스만 싣고 있다. 물론 그 특집 지면에는 골프장 관계자 인터뷰, 홍보성 기사와 더불어 골프장 전면 광고는 필수다.

<매일신문>에 이어 <영남일보> <대구일보> 동참

<매일신문>은 지난 2월 22일, 16면의 '골프특집' 지면을 구성했다. <영남일보>는 곧이어 3월 17일, 12면의 '골프특집'을, <대구일보> 또한 3월 24일 8면의 지면을 구성했다.

이들 기사 대부분은 ▲ 좋은 골프장 소개 ▲ 해당 관계자 인터뷰 ▲ 골프 대중화 ▲ 대구 경북지역 골프장 건설 현황 ▲ 골프업체 전면 광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0년까지 대구경북지역에 최소한 50여 곳 이상 골프장이 개장될 수 있다는 뉴스는 지역언론사의 광고 수요를 자극하기에 충분했을 것이다.

하지만 한국레저산업연구소(소장 서천범)는 "2010년에 영호남권 골프장은 공급과잉"이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지역언론 지면에서는 "이 지역에서 골프장 사업을 추진할 때 철저하게 사업성을 분석하라"는 조언은 찾아볼 수 없었다.

광고는 광고일 뿐, 그럼 기사는?

<부산일보> 2005년 2월 23일
<부산일보> 2005년 2월 23일 ⓒ 부산일보
지역신문의 열악한 경영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광고지면을 구성했다고 항변한다면, 백번 양보해서 '그럴 수도 있겠지'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그전에 지역민이 알아야 할 '골프장 문제 의 본질'에 대해서 충분한 보도와 해설을 통해 제대로 정보를 전달했는지 묻는다면, 언론은 어떻게 답할 것인가?

이와 관련 가까이 있는 <부산일보>가 최근 골프장을 주제로 쓴 기사를 검색했다. 골프장 관련 홍보성 기사도 있었지만, 골프장 건설을 둘러싼 주민과의 갈등, 지방정부와 의회의 의견 대립, 골프장이 가진 문제의 본질 등을 꼼꼼하게 기록하고 있었다.

특히 매년 4월 29일 'NO GOLF DAY' 마다, 정부와 골프장 건설업체 주장의 허구성을 대서특필하고 있었다. 또 골프장 예정지의 환경훼손 문제도 끊임없이 제공하고 있을뿐만 아니라 부산시의 골프장 건설 계획에 '환경무시한 즉흥 발상'이라며 따끔한 비판도 잊지 않았다.

반면 대구경북지역 신문에는 이와 관련된 내용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골프 신화, 조목조목 따졌더니

이런 점에서 지난 2004년 11월 전국 환경운동단체 관계자들이 준비했던 '참여정부의 골프진흥 정책 관련 긴급 토론회'에서 제기된 내용은 시사 하는 바가 크다. 지역언론에서는 한 줄도 언급되지 않았지만, 향후 5년 내 50여 개 골프장 개장을 앞두고 있는 대구경북민지역의 주민들이 알아야 할 사실이 너무도 많았다.

그 몇가지 사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장 오염실태 점검, 믿을 수 있나?

1년에 두 번씩 환경부에서는 골프장에 대한 농약오염실태를 조사, 발표한다. 최근 자료에 의하면, 오염물질이 발견되긴 하지만, 위험할 정도는 아니라는 것이다. 환경부 발표 결과에만 의존하면 '골프장 환경문제는 걱정할 수준은 아니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골프장 오염실태를 어떻게 점검하는지 그 과정과 절차를 분석해 보면, 환경부 조사결과의 신뢰성이 바닥으로 떨어져 버린다. 당시 '정부의 경기부양책과 골프장 건설 규제완화의 문제점'을 발표했던 김석봉(진주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에 따르면 "골프장은 개인사업장이라서, 공무원이 환경오염 검사를 위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없다"고 한다.

<매일신문>은 지난 2월 22일, 16면 골프 특집을 게재했다.
<매일신문>은 지난 2월 22일, 16면 골프 특집을 게재했다. ⓒ 매일신문
즉 "환경관리를 위해 반드시 사전에 방문사실을 알리고, 방문 가능한 날짜를 지정받아서 골프장 관계자가 지정해 준 장소에서 오염도 측정을 해야 한다"는 것. 환경부의 오염도 조사 결과, 우리는 믿어야 할까?

두 번째, 골프장으로 인해 지역이 발전하나?

정부나 골프업체들은 지역에 골프장이 생기면, 건설 붐도 일고 또한 골프장 주변의 상가들이 특수를 누릴 수 있다는 여론을 만든다. 하지만 이날 토론회에서도 '골프장 건설로 인한 지역발전'에 정면으로 반박하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즉 "골프장 공사는 아주 전문적 영역이기 때문에, 서울의 특수 건설업체만 전담할 수 있고, 또한 골프장 내 클럽하우스 면적규제가 엄격할 때는 골프장 주변지역의 음식점 유흥시설들이 발전되었지만 지금은 클럽하우스 내에 모든 시설을 갖춰서 직영하기 때문에, 오히려 주변의 식당가가 방치되고 있다"는 것이다.

4월 29일 NO GOLF DAY!

최근 지역 언론의 이 같은 보도경향에 대해 대구환경운동연합 공정옥 사무처장은 "골프 문제를 진단하는 특집이 아니라, 광고 특집을 실었다니 놀라울 뿐"이라며 "골프를 대중스포츠로 볼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언론이 앞장서서 이 문화를 주도하는 것은 광고주를 위한 지면 배치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오는 4월 29일은 제14회 '세계 노 골프 데이(NO GOLF DAY)'다. 올해 지역 언론은 '골프 특집'을 통해 지역에 영업 중이거나 건설 중인 골프장을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그렇다면 이들은 4월 29일 무슨 선택을 할까? 최소한 대구경북지역 골프장이 지역사회 세금 수입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는지, 지역 공동체 붕괴 현상은 없는지, 폭우 등으로 인해 피해 보는 곳은 없는지, 환경 오염 요인은 없는지 한 번쯤은 점검해야 할 것이다. 오는 5월 31일 지방선거에 출마하는 각 후보들이 골프장과 관련 어떤 정책을 제시할지, 지켜봐야 할 것이다.

덧붙이는 글 | <참언론 참소리>

참언론대구시민연대는 대구에서 처음으로 결성된 언론개혁운동단체다. 지역사회 민주주의가 안착되기 위해서는 법제도적 장치 마련과 더불어 지역사회를 정비하고 발전시킬 참언론의 존재가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참언론 참소리>칼럼은 기존의 <참언론 대구시민연대 언론신경쓰기 칼럼>을 확대 개편했다. <참언론참소리>칼럼을 통해 개혁을 거부하고, 기득권층과 유착 그들만의 이해를 대변하는 언론의 그릇된 모습을 날카롭게 지적하고, 사회 주요 이슈에 대한 올바른 해법을 제공할 예정이다. 

허미옥님은 참언론대구시민연대 사무국장입니다.

자세한 문의 : 053-423-4315 / www.chammal.org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