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1969년 겨울 한강과 임진강이 합류하는 서부전선 최북단,  강 건너 보이는 산이 북녘 땅이었다(왼쪽에서 세 번째 김일병, 네 번째 필자).
1969년 겨울 한강과 임진강이 합류하는 서부전선 최북단, 강 건너 보이는 산이 북녘 땅이었다(왼쪽에서 세 번째 김일병, 네 번째 필자). ⓒ 박도
그야말로 충청도 촌놈 티가 물씬한 순박한 친구였다. 키가 후리후리하게 크고 몸매가 가냘팠고 눈이 유난히도 크고 귀엽게 잘 생겼다.

전입 초, 그가 얼음을 깨고 소대원의 식기를 도맡아 닦는 것을 보면서 안쓰러운 마음과 괜찮은 친구로, 소대 소총수로는 아까운 인물로 여겼다. 그는 전혀 손(빽)을 쓰지 않아서 말단 소대 소총수로 온 것이었다. 그의 순박함과 청렴함에 더욱 마음이 갔다.

그 무렵에는 월남전이 한창이었다. 국군 파월 초기에는 비전투요원이었으나 차츰 월남전에 깊이 개입하여 마침내 수많은 전투요원이 파병됐다.

초기에는 서로 월남에 안 가려고 대부분 손을 썼지만, 많은 전투 수당과 귀국 때 가지고 오는 일제 카메라나 녹음기와 같은 외제품에 혹해 중반부터 한 밑천 잡겠다는 지원자가 많았다. 그러나 종반 무렵 전상자가 속출하자 서로 가지 않으려는 현상이 일어났다.

그때는 중반기로, 월남 지원자가 많았을 무렵이었다. 어느 날 연대 인사과에서 내려온 파월자 차출 명단에 김 일병의 이름이 있었다. 깜짝 놀라 그에게 물었다.

“제가 소대장님 몰래 연대 인사과로 가는 중대 행정병에게 부탁해서 파월을 지원했습니다.”
“왜?”
“제대 후 복학할 때 등록금 마련하려고….”
이미 엎지른 물이고 내가 그의 등록금을 마련해 줄 수도 없는 일이라 파월 지원을 막을 수도 없었다.

“김 일병, 몸조심해라. 죽으면 말짱 헛일이다.”
“네, 꼭 살아서 돌아올게요.”

며칠 후 그는 소대를 떠났다. 그뿐 아니라 많은 이 땅의 젊은이들이 월남의 불구덩이에 뛰어들었다. 그들 중에는 자의로 간 친구도, 명령에 따라 간 친구도, 그 참에 외국 구경하러 가서 일제 카메라 메고 돌아오겠다는 친구도 있었다.

많은 젊은이가 월남의 정글에서 생명을 잃거나 부상당했다. 그들의 핏값으로 국군 장비가 현대화되고, 경부고속도로가 뚫리고, 경제개발도 됐다.

반면 월남에서 돌아온 유골상자를 얼싸안고 몸부림치는 부모도 있었고, 전상금을 팽개치는 아내도 있었다.

“이 돈 필요없다. 내 아들 살려내라! 내 남편 살려내라!”

다시는 이 땅의 젊은이들이 남의 나라 전쟁터로 가는 일이 없기를 바랐는데 지금도 젊은이들이 남의 나라 전쟁터로 떠나고 있는 모양이다. 이 비극이 언제 끝날는지?

그때 김 일병 파월 후 이제까지 그의 후문을 듣지 못했다. 그는 살아서 돌아왔으리라.

이 밤 그가 보고 싶다. 나도 그의 이름을 또렷이 기억하고 있는데, 그도 별난 내 이름을 분명히 기억하리라. 그가 나의 글을 보고 쪽지함으로 전화번호를 보내줬으면 좋겠다. 날이 밝으면 통화 후 곧장 달려가서 그를 만나고 싶다.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2,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