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성공회대 김동춘 교수
성공회대 김동춘 교수 ⓒ 오마이뉴스 이승욱
"대구경북의 지역주의가 과거 패권적 지역주의에서 방어적 지역주의로 변해가고 있다."

대구 계성고등학교 출신인 김동춘 성공회대 교수(사회학)가 10일 대구에서 열린 한 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서 대구경북(영남)의 지역주의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피력해 눈길을 끌었다.

이날 오후 4시 2004총선대구시민연대 등 지역 시민사회단체가 주최한 정책토론회에 참석한 김 교수는 "대구경북 지역민들이 지난 4·15 총선 결과 한나라당이 60%를 넘는 지지를 한 것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전제하고 "한나라당에 대한 지지는 세대별로 차이가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노년층의 한나라당 지지는 박근혜 바람의 영향이, 장년층은 경제 안정과 지역 발전이라는 의미가 담겨있을 것"이라면서 "일부에선 노무현 정권에 대한 비판과 견제 심리가 작용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영남 지역주의 다시 재현될 가능성 높아"

하지만 김 교수는 "대구·경북 지역에서도 민주노동당에 대한 지지가 15%대에 이른 것은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면서 "(보수적인 대구·경북에서) 누가, 어떻게 민주노동당을 지지했는지도 진단해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소위 '영남 지역주의'가 쉽게 사라지긴 힘들 것으로 내다봤다. 김 교수는 "지역주의 와해의 징후는 있지만 다음 선거에서 다시 재현될 가능성이 높다"면서도 "영남 경제 위기에 대한 보호본능 등 경제이데올로기가 먹혀들어가는 상황에서 지역민들은 그 출구로 한나라당을 선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외에도 김 교수는 "지난 30년동안 대구경북에서 쌓여온 패권적 의식과 문화적인 보수성 등이 지역주의를 유지하고 부활하게 하고있다"면서 "호남 단결론을 거론하면서 지역주의를 부추기는 정치세력들의 선동도 크게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김 교수는 "보수적인 일부 지역언론 등이 지역의 여론을 장악하면서 외부와의 소통을 가로막고 있다"고 주장했다.

ⓒ 오마이뉴스 이승욱
"영남 지역주의, 편향된 역사인식과 엉뚱한 경제인식에서 비롯"

김 교수는 "영남 지역주의는 역사인식의 부재속에서 비롯되고 있다"면서 "80년 5월을 광주의 문제로만 평가하고 박정희 시대에 대한 편향적인 역사인식은 대표적인 예"라고 지적했다. 또 "IMF 이후 경제난이 대구경북만의 문제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DJ 정권에 원인을 부여하면서 엉뚱하게 해석하는 것도 영남 지역주의를 지탱하게 하고 있다"면서 "결국 편향된 역사인식과 잘못된 해석은 (대구경북 지역민들이) 현 시대의 보편적 흐름과 가치가 무엇인지 눈을 뜨게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이러한 영남 지역주의로 인한 피해는 결국 지역으로 돌아간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정치권과 언론이 조장하는 영남 지역주의로 인해 결국 대구경북이 시대의 미아가 되지 않을지 우려된다"면서 "미국의 남북전쟁 이후 남부 지역민들이 북부지역의 경제적인 식민지화를 극복화 하기 위해 흑인들에 대한 차별을 더욱 강화했던 점을 상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영남 기득권층과 영남 서민들 분리시켜야"

지역주의 극복을 위한 시민사회운동의 방향도 나왔다. 김 교수는 "(지역의 시민사회가) 영남 지역주의를 영남 기득권층과 영남의 서민들을 분리시켜 지역주의로부터 해방시키는 작업을 해야한다"며 "특히 지식인들이 앞장서 영남 지역주의를 깨나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또 김 교수는 지역언론의 역활을 강조하면서 "지역언론이 지역주의를 극복하면 변화를 추동할 수 있어야 한다"면서 "'또 다른 영남' 즉 과거 영남의 역사에서 나타나는 긍정적이고 진보적인 역사를 소개하고 지역민들이 이를 자신의 역사로 받아안고 자긍심을 가지는 측면도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시민사회운동 중심 타깃이 보수화된 '사회'로"

김동춘 교수는 10일 대구에서 가진 '한국사회 개혁의 물결과 시민사회의 대응'을 주제로 한 토론회에 참석해 시민사회운동의 진로에 대해 설명했다. 김 교수는 이 자리에서 "현재 우리 사회는 분단 냉전체제에서 벗어나는 형국"이라면서 "시민사회운동의 중심 타깃도 국가권력이 아닌 보수화된 '사회'로 옮겨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언론과 지역권력을 중심으로 보수화된 사회가 여전히 공고화돼 있어 이를 허물어야 한다"면서 "특히 지역은 냉전이 뿌려놓은 네트워크가 거미줄처럼 얽혀있어 지역의 권력을 어떻게 민주화시키느냐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현재 한국의 시민사회운동을 ▲국가보안법 폐지와 친일파 청산 등 과거사 청산을 중심으로 한 자유화 운동 ▲조세와 복지, 그리고 노동 문제 등 분배 운동 ▲환경·여성·인권 등 근본적인 가치를 지향하는 신사회 운동이 공존하며 세분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특히 시민사회운동의 최대 경쟁자는 보수적인 '이익집단'으로 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총선을 전후해 보수적인 이익집단이 체제를 정비하고 있다"면서 "일부 경제단체들이 친자본적인 의원 등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하겠다는 것이 한 예가 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익집단들이 보수적인 단체 등에 대한 경제적인 지원 등을 통해 과거 공안기구나 정치권력에 의존하는 것에서 탈피하려고 하고 있다"면서 "이에 대한 시민사회운동 진영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대구경북 오마이뉴스(dg.ohmynews.com)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