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김대홍
쫀드기, 뻥튀기, 별사탕 등 옛날 '불량식품'들이 인기다. '불량식품', '옛날 오락실' '로버트 태권 V' 등 2∼30년을 시대를 재현한 인터넷 까페도 나날이 회원들이 늘고 있다.

어느덧 역사가 되어버린 흑백시절을 재미있게 되살린 이승호의 <옛날 신문을 읽었다>(다우刊)가 출간됐다. 야간통금과 만원버스, 긴급조치 시절, 장발족, 모던걸, 혼분식, 명랑운동회 등 1950년부터 2002년까지 반세기 동안의 사건들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는 문화 에세이다.

"우리나라에서 15일 하룻동안 3건의 스트리킹이 발생, 사회의 새 두통거리로 등장하고 있다. 이날 하오 6시 반쯤 경남 충무시 부전동 209 전명길씨(27.구두닦이)가 번화가인 서호동 충무극장 앞에서 옷을 벗어던지고 시가지를 900m 뛰어 통영여고 운동장에 뛰어들었다. 때마침 수업을 끝내고 운동장에 나섰던 300여 명의 여학생들은 전씨의 나체 출현에 놀라…….(중략) 하오 1시 20분쯤 서울 용산구 한남동 한남펌프장 앞 대로에서 22세 가량의 한국인 장발 청년 1명이 알몸으로 신을 벗은 채 400m 가량을 질주.(후략) - 1974.3.16"

지금은 신문 가십기사 정도에 지나지 않는 이 사건 때문에 정부에서는 나체질주자 수사본부(裸體疾走者 搜査本部)라는 이색간판을 내걸고 1주일간 100여 정사복 수사관을 동원하는 기염을 토했다는 기사의 한 토막이다. 당시 도덕적 엄숙이 얼마나 심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다.

60년대의 새해 벽두 신문 사회면에는 20대 초반의 처녀가 남자친구로부터 강제 키스를 당하고 비관, 어머니가 묻혀 있는 망우리 공동묘지를 찾아 쥐약을 마시고 자살했다는 내용도 나온다. 그녀는 유서에 '입술을 잃은 것은 순결을 잃은 것과 같으므로 어머니에게 죄를 지은 나는 죽음을 택할 수밖에 없다'라고 남겼다고 한다.

이처럼 어처구니없는 일들은 바로 지금의 어머니 아버지들이 청년기를 보낼 때 당연하게 받아들였던 흑백TV시대의 대표적인 풍경이다. 지금 시대에서 살펴보면 코웃음칠 일이지만, 지금 어머니 아버지들을 생각하면 한편으로 코끝이 시큰해지는 일이다.

황당하기까지 한 이런 옛날 기사들과 함께, 초코맛 과자 '아폴로', 장발단속에 걸린 사람들의 행렬, '재건대원'으로 불린 넝마주이들의 작업 풍경, 옛날 유행하던 낙엽 모양으로 멋을 부린 사진첩, 빵모자로 상징되던 버스 여차장들 등 흑백사진은 3∼40년전 흑백시절로 안내하는 충실한 타임머신 역할을 담당한다. 까끌까끌한 종이, 현재와 과거기사, 저자의 해설 등 각각 다른 내용마다 차별화된 글자체 등은 옛날 신문을 읽는 기분을 배가시킨다.

저자가 '장손이었던 백낙이네 큰형은 월남에서 무사히 돌아왔을까요. 궁금합니다'라는 식으로 끝마무리를 하면 독자도 잠시 책을 내려놓고 상념에 잠길 법하다.

'그 오묘한 성인용품', '저것들이 캠퍼스에서 뒹굴다니', '조용필이 좋아, 이주일이 좋아', '외화벌이를 위해 필리핀 여배우를 수입하다', '김정일의 사생활과 북한의 비극', '마라톤 우승해서 조국통일 앞당기자', '36년 전의 하리수' 등 제목만으로도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기사들이 가득하다. '뉴앙스' '휘나아레' '뉴우 훼이스' '랑디부' '맨너리즘' 등 옛날식 문어체를 발견하는 재미도 있다.

그러나 이 책을 단순히 옛날 에피소드 모음집으로만 본다면 곤란하다. '역사는 반복된다'는 명제와 '과거는 현재의 얼굴'이라는 말을 되새긴다면, 이 책은 '재미있는 옛날 이야기책'이 아닌 '역사책'으로도 읽힐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자가 "옛날 신문들은 잘 정리된 단행본보다 더 매혹적인 역사책이요 풍속사책"이라고 책머리에 밝힌 것처럼 말이다.

저자의 이런 의도를 반영하듯 이 책은 단순한 재미있는 과거사 에피소드 열람에 머무르지 않는다. 과거와 현재와의 비교를 통해 현재 속에 남아있는 과거의 케케묵은 흔적을 끄집어내고, 언제 되살아날지 모르는 과거의 재현에 대해 일침을 가한다.

가령 1986년 설립된 '평화의 댐 건설추진위원회'가 1998년 1월 '위원회를 존속시키도록 한다'는 결정을 마지막으로 한번도 열리지 않은 채 존속하고 있다는 기사는 '반공'의 망령에 여전히 사로잡힌 현실을 꼬집는다.

"주변을 살펴볼까요. 오늘 누가 또 금강산댐을 얘기하고 있는지, 오늘 누가 우리의 머리에 공포라는 이름의 바이러스를 심으려 애쓰고 있는지……. 다시 그 시절의 바보가 되지 않으려면 정말 정신 바짝 차려야 되겠습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과거의 기억들이 때로 오늘을 되돌아보게 하는 반성의 근거로, 때로 내일을 준비하는 계획의 근거로 남아 있게 된다면 무척 기쁜 일일 것'이라고 희망한다.

저자 이승호는 스포츠조선에 입사 사회부, 문화부, 연예부 기자생활을 거쳤고, 현재는 홈쇼핑 채널 농수산TV에 근무하고 있다. '문화로 보면 역사가 달라진다'의 저자 조한욱과 문화평론가 진중권씨가 추천의 말을 썼다.

옛날 신문을 읽었다 - 1950~2002

이승호 지음, 다우출판사(2002)

이 책의 다른 기사

더보기
사소한 것이 역사가 된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공연소식, 문화계 동향, 서평, 영화 이야기 등 문화 위주 글 씀.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