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화성시민신문

관련사진보기


경기도 화성에서 발생한 '아리셀 공장 화재 참사'와 관련해 가칭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대책위원회'가 26일 기자회견을 열고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날 아리셀 화성공장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대책위는 "참사 발생 이후 드러나는 사실들을 종합하면 이는 명백한 기업이 저지를 중대범죄"라며 "중대재해처벌법과 산업안전보건법, 소방법 등 다수의 현행법 위반이 명확해지고 있으며, 더 밝혀져야 할 진실과 진상이 존재한다"라고 지적했다.

대책위는 "비용 절감을 위해 이주노동자를 투입했던 아리셀에서의 안전보건 실태가 얼마나 취약했을지는 충분히 추정 가능하다"라며 "더군다나 파견과 도급에 대한 구분조차 하지 못하는 사업주에게 노동자들에 대한 안전보건 문제는 고려의 대상도 아니었을 것"이라고 짚었다.

이들은 ▲에스코넥 자회사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의 진상규명 ▲재발방지 대책 ▲피해자 권리 보장 등을 요구했다.
 
ⓒ 화성시민신문

관련사진보기


"위험의 외주화, 계속적인 피해 낳을 수밖에 없다"

화성지역 시민단체도 연대발언을 통해 지자체 차원의 재발방지 대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정경희 화성노동안전네트워크 상임대표는 "100만 화성의 민낯이 드러난 대형참사에 말문이 막힌다"라고 운을 뗐다.

"얼마 전 100만이 넘어 특례시로 도약할 수 있다는 화성시는 산재사망노동자수 전국 지자체 1위라는 불명예가 몇년째 유지하고 있는 도시기도 하다. 이주노동자 고용과 안전관리에 불법과 위법성이 드러나고, 금속 소화기 하나도 비치되지 않은 현장이 언론에 노출됐음에도 안전교육은 충분했다는 뻔뻔한 에스코넥 대표, 이러한 사업주의 입장만 고려하고 대변해온 화성시는 오늘의 참사에 대해 제대로 책임지고, 근본적으로 시정의 방향을 재고하여 재발방지대책을 세워달라."

우다야 라이 이주노조 위원장도 이주노동자를 비롯해 모든 노동자가 안전하게 일할 수 있도록 노동안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우다야 라이 위원장은 "안전에 대한 규칙 지키고 이주노동자에게 사전 안전교육 제대로 하고 위험한 물질에 대한 안전장치 갖췄으면 이런 무고한 인명 피해를 막을수 있었을 것"이라며 "사업주의 이윤만 보장하기 위한 부실한 법제도 때문에 이주노동자들이 희생되고 있다. 이제는 멈춰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 화성시민신문

관련사진보기


박천응 화성공장화재 이주민공동대책위원회 상임대표는 "아리셀 공장 파견업체가 안산 지역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사망자 대부분이 안산 지역에 계신분들로 추정된다"라며 "리튬 전지 산업을 비롯한 유해화학물질을 다루는 산업의 노동자 안전대책이 철저하게 강구돼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위험의 하청화, 외주화, 이주화는 계속적인 피해를 낳을 수밖에 없다. 특히 가장 열악한 위치에 처해 있는 이주노동자 산업안전에 대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라고 성토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화성시민신문에도 실렸습니다.


태그:#윤미, #아리셀화재, #화성공장화재, #산재사망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밑빠진 독 주변에 피는 꽃, 화성시민신문 http://www.hspublicpress.com/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