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객관적 안전도 전국 우수, 시민안전 체감도 높이겠다"

인천경찰청 "가장 안전한 도시, 인천!" 슬로건으로 '시민인식 대전환' 사업 추진

등록 2024.05.30 18:30수정 2024.05.30 18:30
0
원고료로 응원
인천경찰청이 시민들의 안전체감도를 높이기 위한 인식개선에 나선다.

'객관적 수치를 통한 안전도는 전국적으로 우수하지만 시민체감이 낮고 시민들이 지나치게 불안해 한다'는 판단에 따른 조치다.

인천경찰청에 따르면, 인천의 객관적인 안전도는 ▲인구대비 교통사고 발생건수 전국 최저(21.3건) ▲인구 대비 범죄발생건수 특·광역시 중 4위(적은 순) ▲중요범죄 검거율 전국 1위 ▲교통문화지수 특·광역시 중 1위 ▲지역안전지수 중 범죄안전지수 특·광역시 1위 등을 기록했다.

그럼에도 '시민들의 주관적 인식은 매우 부정적이어서 투자·관광·이주를 통한 인구증가 등 다양한 사회지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인천경찰청의 판단이다.

이에 따라 인천경철청은 시민들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가장 안전한 도시, 인천!"을 슬로건으로 '시민인식 대전환' 사업을 추진 중이다.
 
a

"가장 안전한 도시, 인천!" 인천경찰청 '시민인식 대전환' 사업 인포그래픽. ⓒ 인천경찰청

 
이와 관련해 인천경찰청 김한철 경무기획과장은 <소상공인매거진>과의 인터뷰에서 "인천의 우수한 치안지표를 발굴해 시민들에게 적극적으로 알리고, 이를 통해 인천에 대한 불필요한 오해들을 해소하고 궁극적으로 인천이라는 도시의 브랜드가치를 높이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인천의 객관적 안전도를 표현한 리플릿과 카드뉴스를 활용한 온·오프라인 홍보와 병행해 기관 협조로 유동인구가 많은 시설, 차량 통행량이 많은 교차로 등 시내 대형 전광판들에 홍보배너를 현출함으로써 반복적인 노출로 시민들의 관심도를 높이고 있다"며 "특히, 인천경찰의 노력 뿐만 아니라 시민사회 전반의 적극적인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인천시 소상공인연합회, 재향군인회, 자원봉사센터 등 인천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다양한 시민사회단체를 직접 만나 소속회원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홍보 협조를 요청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어 "미추홀·중부경찰서 등 2개경찰서와 지역자원봉사센터가 MOU를 체결하고, 그 외 관서도 합동순찰 및 캠페인 전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업하는 등 각 경찰서와 군·구자원봉사센터가 협력해 치안현장에 시민들이 직접 인천의 치안환경 개선에 직접 참여하고 또 실제 인천의 안전을 느끼고 인식을 개선할 수 있도록 협업 중이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가장 안전한 도시 인천 만들기'를 위해 경찰서별로 가시적 경찰활동과 병행해 지역 특성에 맞는 캠페인 추진 등 시민 접촉 활동을 전개, 시민들을 직접 설득함으로써 추진동력을 확보하고 있다"며 "조직개편으로 신설된 기동순찰대, 형사기동대 등을 적극 활용하여 주민들이 불안을 느끼는 지역을 중심으로 가시적 경찰활동을 대대적으로 펼치는 등 시민들이 체감하는 치안정책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특히, 김한철 과장은 "인천에 대한 가치를 높이는 것이 곧 인천시민의 가치를 높이는 것이므로 '가장 안전한 도시, 인천!'으로의 도시 이미지 전환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다. 다만 이는 인천경찰만의 노력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시민 여러분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의 적극적인 협조가 절실히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소상공인매거진'(www.menews.kr) 과 '인천게릴라뉴스'(www.ingnews.kr)에도 실립니다.
#인천경찰청 #가장안전한도시인천 #시민인식대전환 #안전도시 #인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의 오늘보다 찬란할 아이들의 내일을 꿈꿉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자식 '신불자' 만드는 부모들... "집 나올 때 인감과 통장 챙겼다"
  2. 2 10년 만에 8개 발전소... 1115명이 돈도 안 받고 만든 기적
  3. 3 김흥국 "'좌파 해병' 있다는 거, 나도 처음 알았다"
  4. 4 김건희 여사 연루설과 해병대 훈련... 의심스럽다
  5. 5 어떤 고위 공직자에게 하고 싶은 말 "ㄱㅈㄱ ㅅㅅㅇ ㅈㅋㅈ"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