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어민단체와 해상풍력사업 공생 논의

어민단체에 지원금 범위 확대 등 설명... "탄소중립 위한 국가적 그린뉴딜"

등록 2022.02.21 16:56수정 2022.02.21 16:56
0
원고료로 응원
 12월 10일 오후 1시 20분부터 울산시청 상황실에서 박기영 제2차관 주재로 열린 "민관합동 해상풍력 TF 3차 회의’에서 송철호 울산시장이 발언하고 있다.
12월 10일 오후 1시 20분부터 울산시청 상황실에서 박기영 제2차관 주재로 열린 "민관합동 해상풍력 TF 3차 회의’에서 송철호 울산시장이 발언하고 있다. 울산시 제공

국내 최대 중화학 도시 울산시가 RE100(재생에너지 100%)시대를 맞아 9GW 단지 조성을 목표로 신재생에너지인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을 새로운 먹거리 사업으로 추진중이다. 

현재 6.6GW 발전사업 허가를 전기위원회에 신청, 이중 2.4GW가 발전사업 허가를 취득한 가운데 글로벌 기업들과 MOU를 체결하는 등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일부 어민단체의 반발을 문제 삼는 등 비판적 의견을 개진하고 있다.

이에 대해 울산시는 21일 오후 3시 시청 전통시장지원센터 4층 회의실에서 시-울산수협-어민단체 관계자들이 참석해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사업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 후 울산시는 "지난 2월 10일 우리시에서 개최된 산업부 해상풍력 TF 회의시 발표된 재생에너지 주민참여 개선방안 설명과 발전단지 조성에 대해 어민과의 공생방안 마련 등에 대한 논의의 장이었다"고 밝혔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0일 울산시청 상황실에서 박기영 제2차관 주재로 '민관합동 해상풍력 TF 3차 회의'를 열고 동남권(울산, 부산, 경남)의 해상풍력 사업에 대해 논의하고 지자체의 의견을 청취했다.

당시 송철호 울산시장은 "현행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은 발전기로부터 기준지역(최고 40km)까지 거리에 따라 지원금이 차등 지급되기에 58km 떨어진 먼바다에 조성되는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단지'의 경우 현 발주법에 따르면 지원금을 받을 수 없어 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건의한 바 있다. (관련기사 : 속도내는 '울산해상풍력'... 울산시, 발전소 주변 지원 확대 등 건의)

21일 울산시는 "부유식 해상풍력사업을 위해 충분히 소통하고 상생, 공존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본 사업을 진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전년도 11월 울산시, 울산수협 및 어업인대책위와 상생협약 등을 체결하고 민간협의회 구성 등에 대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울산형 그린뉴딜의 중점사업으로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울산시는 지난 2019년 민간투자사와 협약을 체결하고, 지난 11월에 바이와 알이(Bye WA r.e.) 및 알더블유이(RWE)와 MOU 체결 후 동해가스전 인근에 2030년까지 9기가와트(GW) 발전단지 조성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울산시는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은 탄소중립을 위한 국가적 그린뉴딜의 일환으로서 글로벌 기후위기에 대한 전방위적 대응"이라며 "지역에 내재된 조선해양플랜트 기술을 활용한 신성장 산업으로 일자리 창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준비중"이라고 밝혔다.
#울산 해상풍력 #부유식 해상풍력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울산지역 일간지 노조위원장을 지냄. 2005년 인터넷신문 <시사울산> 창간과 동시에 <오마이뉴스> 시민기자 활동 시작.


AD

AD

AD

인기기사

  1. 1 어린이집 보냈을 뿐인데... 이런 일 할 줄은 몰랐습니다 어린이집 보냈을 뿐인데... 이런 일 할 줄은 몰랐습니다
  2. 2 "한 번 씻자고 몇 시간을..." 목욕탕이 사라지고 있다 "한 번 씻자고 몇 시간을..." 목욕탕이 사라지고 있다
  3. 3 미 대선, 200여 년 만에 처음 보는 사태 벌어질 수도 미 대선, 200여 년 만에 처음 보는 사태 벌어질 수도
  4. 4 천재·개혁파? 결국은 '김건희 호위무사' 천재·개혁파? 결국은 '김건희 호위무사'
  5. 5 "민주당 지지할 거면 왜 탈북했어?" 분단 이념의 폭력성 "민주당 지지할 거면 왜 탈북했어?" 분단 이념의 폭력성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