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등장 이후 미디어 시대, 이제는 '플랫폼'이다

[시시비비] 플랫폼 미디어가 세상을 바꾼다

등록 2016.01.06 14:46수정 2016.01.07 14:03
0
'시시비비'는 민주언론시민연합이 마련한 고정 언론칼럼으로 매주 한 번 <오마이뉴스>에 게재됩니다. 각자 자신의 영역에서 열정적으로 활동하면서도 한국사회의 언론민주화를 위한 민언련 활동에 품을 내주신 분들이 '시시비비' 필진으로 나섰습니다.

앞으로 김동민(한양대 겸임교수), 김성원(민언련 이사), 김수정(민언련 정책위원), 김언경(민언련 사무처장), 김은규(우석대 교수), 김택수(법무법인 정세 변호사), 박석운(민언련 공동대표), 서명준(언론학 박사), 안성일(MBC 전 논설위원), 엄주웅(전 방통심의위원), 이기범(민언련 웹진기획위원), 이병남(언론학 박사), 이용마(MBC 기자), 이진순(민언련 정책위원), 정민영(변호사), 정연우(세명대 교수)의 글로 여러분과 소통하겠습니다. - 기자말

SBS가 매년 개최하는 서울디지털포럼의 2008년 2월 대회 주제가 '미디어 빅뱅, 세상을 바꾼다'였다. 이때만 해도 스마트폰이 등장하기 전이었다. 미국에서 아이폰이 2007년에 처음 출시되었고 한국에는 2009년 상륙했다. 2008년의 서울디지털포럼은 진짜 미디어 빅뱅이 임박했을 때의 풍경을 보여준다.

LG전자의 이희국 사장은 당시 모바일 서브 PC를 필요로 하는 소비자들을 위해 "사용에 불편하지 않으면서도 주머니 안으로 들어갈 만큼 작은 크기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업계가 노력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후 5년도 안 된 사이에 주머니 안의 컴퓨터 '스마트폰'으로 인해 세상은 많이 변했다.

스마트폰이 세상을 바꾸나 했더니 이제는 또 플랫폼이다. 구글과 애플, 페이스북 등이 저널리즘의 지형을 뒤흔들고 있음은 물론이다.

지구촌은 상대성 이론이 증명하는 과학이다

마셜 맥루언(Marshall McLuhan, 1911~1980)이라는 미디어 연구자가 있었다. 그는 <미디어의 이해(Understanding Media)>란 책에서 '지구촌', '미디어는 메시지다', '전자시대' 등의 획기적인 화두를 던졌다. 1964년에 출간된 책이지만 오늘날의 미디어 환경에서 더욱 더 빛을 발한다. 언론학자들은 '지구촌'을 은유적 표현으로 생각했고, '미디어가 메시지'라는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으며, '전자시대'는 기술결정론 비슷한 것으로 인식했다. 그러나 지구촌은 은유가 아니라 과학이며, 미디어가 메시지라는 주장은 역사적·경험적으로 증명되었다.


먼저 '지구촌'이라는 개념을 보자. '전자시대에 전기의 속도에 의해 공간과 시간의 제약이 소멸함으로써 지구가 하나의 촌락이 되었다'는 주장이다. 이것은 은유가 아니라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을 기반으로 한 과학적인 통찰이다.

특수 상대성 이론은 시간과 공간이 절대적으로 분리된 3차원의 세계를 부정하면서 시간이 공간 속으로 들어와 시공간이 휘는 4차원의 세계를 증명해주었다.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에서는 시간이 느리게 가고 공간은 축소된다. 우리는 감각적으로나 상식적으로나 3차원의 세계에 익숙하므로 상대성 이론을 이해하기 어렵다. 그러나 경험할 수 있는 감각의 세계가 전부는 아니며, 실재의 세계는 보이지 않는 곳에 있는 법이다.


따라서 전기의 속도에 의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소멸했다는 발상은 일리가 있다. 맥스웰 방정식에 의해 증명된 대로 '전자기파가 곧 빛'이므로, 이론적으로 빛의 속도만큼 빠르면 시간은 정지된다. 단, 전기의 속도는 빛의 속도만큼 빠르지만 우리가 반응하는 것은 훨씬 느리기 때문에 감지하기가 쉽지는 않다.

인터넷은 신문이나 방송처럼 시간을 지체시키는 과정을 대폭 줄여놓았기 때문에 조금은 더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니 지구촌은 은유가 아니라 과학적으로 증명된 물리적 실체인 것이다.

다음으로 '미디어가 메시지'라는 통찰을 살펴보자.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세상을 바꾸는 게 미디어인가, 메시지인가? 오랫동안 우리는 주로 메시지에 주목해왔다. 그래서 매스컴 이론은 거의 모두가 메시지 중심의 효과 이론이었다.

1980년 이후만 보더라도 세상을 바꾸어온 것은 메시지가 아니라 퍼스널 컴퓨터, 인터넷, 디지털 미디어, 스마트폰, 플랫폼 등 미디어다. 맥루언의 주장이 이론으로 대접받지 못한 원인이 경험적으로 증명되지 않는다는 것이었는데, 이제는 그렇게 말할 사람이 아마 없을 것이다. <조선일보>가 그 동안 메시지를 왜곡하며 세상을 지배해왔지만 새로운 미디어에 흡수되어 곧 사라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맥락에서 매체결정론 차원의 전자시대 논의가 전개된다.

맥루언은 "전기적 미디어가 모든 사람이 참여하는 상호작용의 총체적인 장을 즉시 그리고 끊임없이 만들어내고" 있다고 했다. 방송은 인쇄신문에 비해 참여의 기회가 확대되긴 했지만 진짜 '모든 사람들이 참여하는 상호작용의 총체적인 장'은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비로소 실현되었다. 그리고 플랫폼의 등장으로 지구촌을 더 실감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하다.  

시민정치참여 플랫폼 '시민의 날개'도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

많은 플랫폼들 중에 문성근씨가 출범한 '시민의 날개'를 주목해본다. 시민들이 이 플랫폼에 참여하여 활동함으로써 정치를 바꾸고 세상을 바꾸자는 것이다. 맥루언은 '미디어 안에 미디어가 있고, 궁극적으로는 모든 사람이 메시지를 품은 미디어'라고 했다. 정확하게 지금의 상황을 예견한 것으로 보인다.

새정치민주연합에서 탈당자들이 생기면서 당명이 더불어민주당으로 변경되었고 신당의 출현이 예정된 상태에서 추측과 선동과,우려가 난무한다. '시민의 날개'가 블랙홀처럼 위력을 발휘하여 온갖 억측들을 빨아들이고 아젠다를 주도하게 된다면 선거의 판도를 바꿀 수도 있지 않을까? 과연 플랫폼 미디어가 세상을 바꿀 수 있을지 주목해 보자.
#시민의날개
댓글

민주사회의 주권자인 시민들이 언론의 진정한 주인이라는 인식 아래 회원상호 간의 단결 및 상호협력을 통해 언론민주화와 민족의 공동체적 삶의 가치구현에 앞장서 사회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입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라면 한 봉지 10원'... 익산이 발칵 뒤집어졌다
  2. 2 "이러다간 몰살"... 낙동강 해평습지에서 벌어지는 기막힌 일
  3. 3 한밤중 시청역 참사 현장 찾은 김건희 여사에 쏟아진 비판, 왜?
  4. 4 주민 몰래 세운 전봇대 100개, 한국전력 뒤늦은 사과
  5. 5 "곧 결혼한다" 웃던 딸, 아버지는 예비사위와 장례를 준비한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