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큐 교수님, 왜 이러세요! 1%를 위한 변론

1%에 부가 쏠린 데에는 다 이유가 있다는 맨큐

등록 2013.06.25 16:18수정 2013.06.25 16:18
0
최근 하버드 대학의 맨큐(Mankiw) 교수가 주목할 만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 논문은 저명한 경제학 저널 '저널 오브 이코노믹 퍼스펙티브(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에 곧 실릴 예정이다. 제목도 심상치 않은 '1%를 변론하며(Defending the One Percent)'이다.

맨큐의 "1%를 변론하며"

<맨큐의 경제학>이라는 당대 최고 히트를 친 경제학 교과서를 집필한 맨큐는 2003년부터 2005년까지 부시 대통령 재임 기간 경제자문회의 의장을 역임했고, 2006년부터 지난해 대선까지 공화당 롬니 후보의 경제 고문 역할을 수행하였다. 뼈 속까지 공화당원인 보수주의자다.

심상치 않은 제목과 달리 실제 논문은 별반 새로울 것이 없다. 그 논문의 핵심은 통상적인 보수주의자들의 익숙한 주장 반복에 불과하다. 1%가 높은 소득을 받는 것은 그들의 우수한 기술과 숙련으로 높은 한계생산성을 보이기 때문이라는 경제학 원론의 바로 그 내용이다. 즉 그들은 기여한 만큼의 보수를 받기에 경제적 효율성에 따르면 좌파의 주장의 달리 하등의 사회·경제적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미국의 좌파 학자들이 비판을 가하면서 논쟁이 시작되고 있다. 맨큐가 논문에서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이자 컬럼비아 대학의 스티글리츠(Stiglitz) 교수의 2012년 저서 <불평등의 대가(The Price of Inequality)>를 "체계적 증거라기보다는 설교나 개인적 일화에 근거하고 있다"고 혹평했으니 스티글리츠도 논쟁에 가담할지 두고 볼 일이다. 그리고 경제학 논쟁에는 결코 빠지지 않으려 하는,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이자 예일 대학의 크루그먼(Krugman) 교수도 뉴욕타임즈 칼럼을 통해 여기에 가세하였다.

1%가 소득이 높은 것은 그들이 뛰어나기 때문

크루그먼에 따르면, 맨큐에 대한 비판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고 한다.


첫째, 미국 경제정책연구센터(Center for economic and policy research) 베이커(Dean Baker) 소장의 비판이다. 그 내용은 1%가 받는 천문학적인 보상은 "시장의 자연스러운 작동의 결과라기보다는 정부에 의한 정책 선택의 결과"라는 중장이다. 즉 맨큐가 예로 든 애플의 잡스나 해리포터의 롤링이 벌어들인 천문학적인 재산은 특허권, 저작권 등 정부가 개입한 독점의 부산물이라는 점이다. 예를 들어, 과거 저작권은 14년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정부의 개입으로 95년까지 늘어났는데, 만약 50% 정도 줄어든다면 독점으로 인한 이득은 그만큼 줄어들 것이라고 주장한다.

둘째, 시카고 대학에서 의료정책을 전문으로 하는 헤롤드 폴락(Harold Pollack)의 비판이다. 맨큐는 논문에서 기회의 균등을 거론하며 다음과 같은 자신의 경험을 소개하였다.


"상위1% 어린이들이 접근할 수 있는 교육적 기회는 중산층 자녀들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관점은 개인적 경험으로 형성되었다. 나는 중산층 가정에서 자랐다. 우리 부모들은 대학 졸업자가 아니었다. 우리 자녀들은 더 많은 돈과 교육을 받은 부모 밑에서 자라났다. 그러나 우리 자녀들이 내가 살던 그때보다 더 나은 교육 기회를 가졌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폴락 교수는 세대 간 이동성에 대한 논문을 인용하며 맨큐의 경험을 실증적으로 비판하였다. 1979~2000년 기간, 상위 20%에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들은 상위 20%에 남을 확률이 55%이고, 단지 11%만이 하위 40%로 하락하였다. 반면 중산층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들이 상위 20%로 올라갈 확률은 13%, 하위 40%로 떨어질 확률은 31%였다.

맨큐의 주장에 대한 세 가지 비판

또한 하버드 크림슨(Harvard Crimson, 미국 하버드 대학 커뮤니티)의 보고서에 따르면, 하바드 대학 학부생의 45.6%는 부모의 연소득이 20만 달러를 초과하였다. 연소득 20만 달러는 상위 3.8%에 해당한다. 반면 하위 60% 부모 밑에서 자라난 학부생은 불과 18%에도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미국 상위 146개 대학의 학부생을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74%는 부모의 연소득이 상위 25%에 속했으며, 10%만이 하위 50%에 속하였다.

세 번째 비판은 이코노미스트의 따끔한 비판이다. 이코노미스트와 같은 보수적인 잡지조차 "1%는 더 나은 변론자가 필요하다(The 1 Percent needs better defenders)"라는 제목으로 맨큐의 부실한 논리를 비판하고 있다. 그 중 일부를 인용하면 아래와 같다.

"CEO들에게 높은 보수를 주는 사회적 목적은 이윤을 극대화하도록 열심히 일하라고 인센티브를 부여하려는 의도다. 그러나 그들은 1980년대에 그들의 전임자들이 받았던 보수의 두 배를 받고 있다. 과연 우리는 그때보다 더 나은 경영성과를 보고 있는가? 의료 기술 또는 상업용 부동산 등에서 더 나은 생산적 혁신을 보고 있는가? 우리 경제가 더 빨리 성장하고 있는가? 우리의 생활수준이 더 빨리 나아지고 있는가? No, no, no and no. 계급으로서 지금의 CEO들이 한 세대 전 전임자들이 벌었던 것의 몇 배를 받고 있다는 사실로부터 공공의 이익이 달성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는가? … 상위1%의 노동이 생산한 사회적 가치와는 전혀 관계가 없는 구조적 원인들로 불평등은 증가하고 있다."

그의 시대는 끝나고...

2011년 겨울 한때 학생들이 맨큐의 수업을 집단거부한 적이 있었다. 강의가 시작되자 70여 명의 학생들(전체 수강생은 700명이었다)이 단체로 강의실을 빠져나온 후 '맨큐 교수에게 드리는 공개서한'을 낭독하고 토론을 벌였다.

"당신의 수업은 (시장근본주의 경제학에) 지나치게 편향되어 있다. 당신이 우리에게 주입하는 경제학은, 미국 사회의 빈부 격차를 영구화하고 2008년 세계 금융위기를 유발한 그 이데올로기 아닌가."

하지만 맨큐 교수는 아직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모양이다.
덧붙이는 글 이기사는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새사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여경훈 기자는 새사연 연구원입니다.
#맨큐 #1%를 변론하며 #스티글리츠 #크루그먼
댓글

새사연은 현장 중심의 연구를 추구합니다. http://saesayon.org과 페이스북(www.facebook.com/saesayon.org)에서 더 많은 대안을 만나보세요.


AD

AD

AD

인기기사

  1. 1 81분 윤·한 면담 '빈손'...여당 브리핑 때 결국 야유성 탄식 81분 윤·한 면담 '빈손'...여당 브리핑 때 결국 야유성 탄식
  2. 2 "한 번 씻자고 몇 시간을..." 목욕탕이 사라지고 있다 "한 번 씻자고 몇 시간을..." 목욕탕이 사라지고 있다
  3. 3 나무 500그루 가지치기, 이후 벌어진 끔찍한 일 나무 500그루 가지치기, 이후 벌어진 끔찍한 일
  4. 4 [단독] 명태균 "검찰 조사 삐딱하면 여사 '공적대화' 다 풀어 끝내야지" [단독] 명태균 "검찰 조사 삐딱하면 여사 '공적대화' 다 풀어 끝내야지"
  5. 5 민박집에서 이런 이불을 덮게 될 줄이야 민박집에서 이런 이불을 덮게 될 줄이야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