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의 가락처럼 구수한 남도석성

등록 2010.01.07 15:41수정 2010.01.07 15:41
0
원고료로 응원
쌍홍교 쌍홍교는 해방직후에 마을 사람들이 놓았다고 한다. 빼어난 솜씨는 아니지만 그 투박함에 오히려 정감이 간다.
쌍홍교쌍홍교는 해방직후에 마을 사람들이 놓았다고 한다. 빼어난 솜씨는 아니지만 그 투박함에 오히려 정감이 간다.김종길
▲ 쌍홍교 쌍홍교는 해방직후에 마을 사람들이 놓았다고 한다. 빼어난 솜씨는 아니지만 그 투박함에 오히려 정감이 간다. ⓒ 김종길

수많은 성곽을 둘러보았지만 유독 오래도록 기억에 남는 석성이 있다. 남도의 구수한 가락을 닮아서인지 아니면 성곽하면 웅장한 규모를 먼저 떠올리는 습성을 단박에 깨게 만드는 앙증맞은 규모 때문인지는 모르겠으나 남도석성은 언제 다시 한 번 꼭 찾고 싶었던 곳이었다.

 

남도석성 남도석성은 고려 원종 때 삼별초가 해안 방어를 위해 성을 쌓았다는 말이 있지만, 실은 삼국시대부터 성은 어떤 형태로든 존재하여 왔고 이후에 여러 차례 개축된 것으로 보고 있다.
남도석성남도석성은 고려 원종 때 삼별초가 해안 방어를 위해 성을 쌓았다는 말이 있지만, 실은 삼국시대부터 성은 어떤 형태로든 존재하여 왔고 이후에 여러 차례 개축된 것으로 보고 있다.김종길
▲ 남도석성 남도석성은 고려 원종 때 삼별초가 해안 방어를 위해 성을 쌓았다는 말이 있지만, 실은 삼국시대부터 성은 어떤 형태로든 존재하여 왔고 이후에 여러 차례 개축된 것으로 보고 있다. ⓒ 김종길

전날의 폭설과 추위가 믿기지 않을 정도로 아침에 깨어나니 진도의 날씨는 봄을 방불케 하는 따뜻한 날씨였다. 진도는 다리만 건너도 육지보다 따뜻하다고 하지만 봄날처럼 따스한 날씨의 변덕을 도저히 믿을 수가 없었다.

 

남도석성 성 위를 걸을 수 있다. 오래된 고목에 까치 한 쌍이 날아들었다.
남도석성성 위를 걸을 수 있다. 오래된 고목에 까치 한 쌍이 날아들었다.김종길
▲ 남도석성 성 위를 걸을 수 있다. 오래된 고목에 까치 한 쌍이 날아들었다. ⓒ 김종길

남도석성에 도착하니 예전 모습 그대로였다. 변화가 있다면 화장실이 새로 생기고 작은 주차장이 생겼을 뿐이었다. 바다는 호수처럼 잔잔했고 아이는 두꺼운 외투를 벗으려고 안간힘을 썼으나 부모의 괜한 걱정에 투덜댈 뿐이었다.

 

남도석성 성 안에는 지금도 사람들이 살고 있다.
남도석성성 안에는 지금도 사람들이 살고 있다.김종길
▲ 남도석성 성 안에는 지금도 사람들이 살고 있다. ⓒ 김종길

제일 먼저 눈에 들어온 건 남문 앞으로 흘러가는 개울 위에 걸쳐진 두 개의 홍교였다. 쌍홍교와 단홍교라 불리는 이 구름다리는 규모는 작지만 편마암 자연석재를 사용하여 다리를 놓은 것으로 전국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든 특이한 양식이다. 단홍교는 언제 놓였는지 확실히 알 수 없으나 쌍홍교는 해방직후에 마을 사람들이 놓았다고 한다. 빼어난 솜씨는 아니지만 그 투박함에 오히려 정감이 갔다.

 

동문 밖 마을을 드나들기 위해서는 여전히 성문을 이용한다.
동문 밖마을을 드나들기 위해서는 여전히 성문을 이용한다.김종길
▲ 동문 밖 마을을 드나들기 위해서는 여전히 성문을 이용한다. ⓒ 김종길

성 위를 걸었다. 아이들은 무릎까지 닿는 높은 층계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성벽을 오르기 시작하였다. 성 위에 오르니 성안의 마을과 잔잔한 바다가 한눈에 들어온다. 그 옛날 삼별초의 군선도 이 어디쯤 정박을 했을 것이다.

 

진돗개 마을 민가에는 진도답게 진돗개들을 흔히 볼 수 있다.
진돗개마을 민가에는 진도답게 진돗개들을 흔히 볼 수 있다.김종길
▲ 진돗개 마을 민가에는 진도답게 진돗개들을 흔히 볼 수 있다. ⓒ 김종길

성안에는 아직도 사람들이 살고 있다. 진돗개는 낯선 이를 경계해서인지 연신 짖어대고 골목을 뛰어다니는 아이들의 경쾌한 소리는 이곳에 아직 사람이 살고 있어 황량하지 않음을 말해 주었다. 밭에는 아직도 싱싱한 배추가 그대로 남아 있고 진도 겨울철 농사일의 상징인 대파도 햇빛에 녹색 빛을 더하였다.

 

남도석성 진도는 육지와는 달리 날씨가 따뜻하다. 고추 말리는 풍경
남도석성진도는 육지와는 달리 날씨가 따뜻하다. 고추 말리는 풍경김종길
▲ 남도석성 진도는 육지와는 달리 날씨가 따뜻하다. 고추 말리는 풍경 ⓒ 김종길

성벽에는 적의 접근을 막기 위한 치가 중간 중간 돌출되어 있고 동문의 성벽은 어떤 연유인지는 모르겠으나 무너져 있었다. 동문 옆의 층계를 따라 마을에 들어섰다. 근래에 복원한 관아와 내아, 객사를 둘러보았다. 깔끔한 건물은 오래되어 수수한 마을의 민가와는 왠지 어울리지 않아 다소 생경스러웠다. 앞으로 선소와 활터도 복원할 계획이라고 하니 남도석성의 원래 모습을 그려볼 수 있겠다.

 

객사 객사와 관아 등이 옛 모습대로 복원되었다.
객사객사와 관아 등이 옛 모습대로 복원되었다.김종길
▲ 객사 객사와 관아 등이 옛 모습대로 복원되었다. ⓒ 김종길

남도석성은 고려 원종 때 삼별초가 해안 방어를 위해 성을 쌓았다는 말이 있지만, 실은 삼국시대부터 성은 어떤 형태로든 존재하여 왔고 이후에 여러 차례 개축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후 왜구 등쌀에 못 이겨 진도 사람들은 모두 섬을 떠났고 세종 19년인 1437년이 되어서야 진도로 돌아왔다고 한다. 지금의 성은 그 후에 쌓았을 것으로 여겨진다.

 

남문 성문을 보호하기 위한 옹성이 잘 보존되어 있다.
남문성문을 보호하기 위한 옹성이 잘 보존되어 있다.김종길
▲ 남문 성문을 보호하기 위한 옹성이 잘 보존되어 있다. ⓒ 김종길

남도석성은 조선시대 왜구의 노략질을 막기 위해 수군과 종4품 만호를 배치하여 조도해협과 신안 하의도 해역 등을 관할하였다. 성 앞의 남도포는 동쪽의 금갑포와 함께 동쪽으로 가는 바닷길의 요지이며, 동시에 남해안에서 서해안으로 올라오는 목 줄기에 해당되는 요새지로 해안 방어의 중요한 거점이다.

 

포구 옛날 남도포는 동쪽의 금갑포와 함께 동쪽으로 가는 바닷길의 요지였다.
포구옛날 남도포는 동쪽의 금갑포와 함께 동쪽으로 가는 바닷길의 요지였다.김종길
▲ 포구 옛날 남도포는 동쪽의 금갑포와 함께 동쪽으로 가는 바닷길의 요지였다. ⓒ 김종길

남도석성은 진도군 임회면 남동리에 있으며 사적 제127호로 지정되어 있다. 고려 원종 때 배중손이 진도에 와서 1270∼1273년에 걸쳐 몽골에 항쟁할 때 근거지로 삼았다. 성의 둘레는 610m이고 높이는 2.8m~4.1m에 이른다. 성에는 동문, 서문, 남문 등 세 개의 문이 있으며 성문을 보호하기 위한 옹성이 뚜렷이 남아 있다.

#남도석성 #진도 #삼별초 #남동리 #남도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길의 미식가이자 인문여행자. 여행 에세이 <지리산 암자 기행>, <남도여행법> 등 출간


AD

AD

AD

인기기사

  1. 1 어린이집 보냈을 뿐인데... 이런 일 할 줄은 몰랐습니다 어린이집 보냈을 뿐인데... 이런 일 할 줄은 몰랐습니다
  2. 2 쌍방울 김성태에 직접 물은 재판장 "진술 모순" 쌍방울 김성태에 직접 물은 재판장  "진술 모순"
  3. 3 컴퓨터공학부에 입학해서 제일 많이 들은 말  컴퓨터공학부에 입학해서 제일 많이 들은 말
  4. 4 "2천만원 깎아줘도..." 아우디의 눈물, 파산위기로 내몰리는 딜러사와 떠나는 직원들 "2천만원 깎아줘도..." 아우디의 눈물, 파산위기로 내몰리는 딜러사와 떠나는 직원들
  5. 5 "한 번 씻자고 몇 시간을..." 목욕탕이 사라지고 있다 "한 번 씻자고 몇 시간을..." 목욕탕이 사라지고 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