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가을 (竹秋)

등록 2007.06.17 10:08수정 2007.06.17 17:46
0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대가을(竹秋)

모든 초목이 완전히 푸르른 때
초여름의 잎이 메말라 타는 대숲을 물었더니
대가을(竹秋)이라 한다

그 말이 그 말이다
시를 써도 밥이 안되고 일을 해도 돈이 안 된다
나 굶어 죽어야 마땅하다

존재의 심연(深淵)을 뚫고
고요 속에 천둥같이
죽순이 솟아난다고 해도…


이웃 마을에 사는 지인이 남긴 시입니다. 농사도 짓고, 차도 만들고 쉬는 짬 틈타 시도 짓고…. 이렇게 사는 사람인데 혼자 땀 뻘뻘 흘리고 일하다 그만 한심한 생각이 들었던 모양입니다.

a

농부시인의 손바닥. 찻잎 덖느라 지문도 닳아졌다. ⓒ 김예훈

관찰력이라곤 제로에 가까울 만큼 무심한 성격이라 마을 주변이 온통 대나무밭으로 둘러싸여 있었는데도 여지껏 신록 무성한 이 5~6월에, 하룻밤 지나면 죽순 키가 쑥쑥 자라는 이 때쯤 대나무숲이 누렇게 메말라간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했습니다.

혹여 누런 대잎 낙엽이 흩날린다 해도 양분이 부족하거나 가뭄 때문에 메마른가보다 심상하게 넘겼지요. 죽순에게 양분을 몽땅 뺏겨 시들시들 메말라간다는 것도 처음 알았고, 시골 어른들이 이 계절을 '대가을'로 부른다는 것도 난생 처음 들었는데 왜 그렇게 가슴이 뭉클하던지요.

a

낙엽지는 대숲 ⓒ 조명자

a

나홀로 가을, 대잎낙엽 ⓒ 조명자

어미 뱃속에 열달을 웅크리고 있는 태아도 제 어미야 죽든 살든, 있는 양분을 마치 빨대로 빨아 마시듯 몽땅 흡수한다 합니다. 그래서 행여 산모가 영양이라도 부실하면 이빨도 흔들리고, 머리칼도 빠지고, 뼈마디 칼슘도 뭉텅뭉텅 빠지고 바람 빠진 무처럼 온 몸 구석구석이 비어간다 하던데 어린 죽순도 아마 제 어미 이파리 유즙까지 남김없이 빨아들였나 봅니다.

a

우후죽순이라던가? 껑충하게 커버린 죽순들... ⓒ 조명자

대나무는 사시사철 푸른 상록수인 줄 알았는데 삼라만상의 온갖 초목이 싱그러운 '신록의 계절'에 오직 저 혼자만이 가을을 맞이하고 있었네요. 산천초목이 모두 다 시들어 잎 떨어뜨리고 다 함께 시린 겨울을 맞는다면 무에 그리 서럽겠습니까.

남들은 다 잘먹고 잘사는 것 같은데, 풍요한 인생을 유감없이 즐기는 것 같은데 이 좋은 세상 천년만년 살고 싶어서 온갖 방법 동원해 오래 살려고 발버둥치는데.

손마디가 갈퀴처럼 갈라지고, 주름 파인 얼굴이 햇볕 따라 골지도록 부지런히 살아제껴도 그날이 그날이고 좋아질 세월은 까마득해 울고 싶은 농사꾼의 마음 왜 모르겠습니까. 그 밑에 다른 지인이 위로의 댓글을 올렸습디다.

"대가을…들어 본 듯합니다. 봄에도 욕심껏 푸르르면 죽순이 날 수 없겠지요. 아버지란 꽃일 뿐 열매는 될 수 없는 것…윤기도 아버지처럼 '대가을'을 만날 것이고…."
#대가을 #대나무 #신록 #상록수 #가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이게 뭔 일이래유"... 온 동네 주민들 깜짝 놀란 이유
  2. 2 3일마다 20장씩... 욕실에서 수건을 없애니 벌어진 일
  3. 3 팔봉산 안전데크에 텐트 친 관광객... "제발 이러지 말자"
  4. 4 참사 취재하던 기자가 '아리셀 유가족'이 됐습니다
  5. 5 공영주차장 캠핑 금지... 캠핑족, "단순 차박금지는 지나쳐" 반발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