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명박 대통령이 20일 오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녹색성장 서밋 2011' 개회식에 참석, 손정의 일 소프트뱅크 회장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이 20일 오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녹색성장 서밋 2011' 개회식에 참석, 손정의 일 소프트뱅크 회장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일본이 범죄자가 됐다. (대지진으로 인한 원자력 사고로 인해) 바다와 대기를 오염 시켰고... (일본이) 원자력에 의존하는 정책을 바꿔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세계적인 정보통신업체인 일본 소프트뱅크의 손정의 회장의 말이다. 20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글로벌녹색성장서밋의 기조연설에 나선 그의 모습에선 더이상 IT 기업의 CEO를 찾아보기 어려웠다.

손 회장은 이날 연설에서 "그동안 정보통신 관련 일을 하면서, 수익창출에만 고민을 했었다"고 소개하고 "3개월 전 일본을 강타한 지진과 피해로 인해서 저의 생각이 완전히 바뀌게 됐다"며 말을 이었다.

손 회장은 일본 동북부 대지진에 이은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 이후, 일본의 원자력 중심의 에너지 정책에 강하게 반대해 왔다. 이날 연설도 마찬가지였다. 그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인해 일본이 범죄자가 됐으며, 한국 등 아시아 국가에 죄송하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어 "한 번의 재해로 인해 (한 국가의) 정치 경제적 상황을 바꿀 수 있고, 사람들의 생활까지도 변화시킬 수 있다"면서 "일본이 원자력에 의존하는 에너지 정책을 바꿔야 한다"고 그는 강조했다.

"원전 사고 대부분은 사람 실수...재생 에너지 비중 커질 것"

손 회장은 과거 원자력 사고의 사례 등을 들어가면서, "심각한 원자력 사고들은 (지진 때문이 아니라) 사람들의 실수로 일어난 경우가 더 많다"면서 "일본은 220건의 원전 사고가 사람에 의한 것들"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사람은 언제 어디서나 실수를 할 수 있으며, 원전도 보호받을 수 없다"면서 "일본이라고 안심할 수도 없으며, 한국정부에 (원전 중심의) 에너지 정책을 바꾸라고 말하려는 것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손 회장은 후쿠시마 사고 이후, 독일과 스위스 등 유럽 국가들이 에너지 정책을 바꾸고 있다는 사실을 언급했다. 이어 "일본도 재생에너지 관련 법률을 준비중에 있으며, 오는 202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율을 20%이상까지 끌어올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손 회장은 재생에너지 기구 발족을 밝히면서 "일본의 47개 지차체 가운데 70%가 넘는 34군데에서 참여의사를 보였다"면서 "아마 일본이 대통령제 국가였다면 내가 대통령이 될 수도 있었을 것"이라고 말하면서, 참석자들로부터 웃음을 끌어내기도 했다.

그는 무엇보다 "향후 10년후 원자력 중심의 에너지 정책은 크게 줄어들고, 재생에너지 활용을 통한 정책 등이 큰 관심을 받을 것"이라며 "긴 안목을 보고 에너지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손 회장은 한국 회사들 가운데 친환경 개발회사가 많지 않다는 점을 들면서 "삼성과 LG, 현대차 등 대기업에 유능한 인재들이 많이 있으며, 이들 기업들이 신재생에너지 등에 투자하면 수출뿐 아니라, 세계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당부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후쿠시마 사고로 인해 가족을 잃은 사람들의 눈물을 떠올리면서 "원자력 에너지는 사람과 자연을 훼손시키는 등 부작용이 너무 많다"면서 "사람에 대한 열정의 힘이 원전보다 더 큰 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오전부터 열린 '글로벌 녹색성장 서밋 2011' 개회식에 참석한 이명박 대통령은 "지구환경과 인간문명이 함께 살아갈 '지구 3.0 시대'를 열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한국정부가 주창해 만든 녹색성장연구소(GGGI)뿐 아니라, 녹색기술센터와 글로벌녹색기술상 등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태그:#손정의, #녹색성장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대공황의 원인은 대중들이 경제를 너무 몰랐기 때문이다"(故 찰스 킨들버거 MIT경제학교수) 주로 경제 이야기를 다룹니다. 항상 배우고, 듣고, 생각하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