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해 12월, 세종시 원안 수정에 반발해 지사직을 사퇴한 이완구 충남지사. 하지만 이 전지사가 떠난 이후 충청남도는 세종시 입장을 급선회했다.

 

선출직 지사가 아닌 임명직인 행정부지사(이인화)가 도지사 권한대행을 하는 체계의 한계가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충남도는 11일 오전 정부의 행정중심복합도시를 교육과학중심경제도시로 성격을 전환하는 수정안에 대한 입장문을 통해 "도민의 여론을 수렴해 필요한 경우 충청권지역발전에 도움이 되는 방향에서 정부에 보완의견을 제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도민 여론수렴'이라는 원론을 말하고 있지만 '보완의견 제시'라는 문구에서 드러나듯 사실상 수정안을 수용하겠다는 뜻이 배여 있다. 

 

실제 충남도는 "세종시 조기건설(30년→20년)과 자족용지 확대(148만 평→450만 평),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핵심시설입지, 주요대기업의 첨단산업시설 유치 등이 성사될 경우 세종시는 새로운 성장거점도시로 부상 가능하다"는 기대감을 나타냈다. 이어 "지역경제 활성화 및 국가균형발전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충남도는 수정안에 대한 우려를 표시하면서도 "지역주민의 상실감을 달랠 수 있는 정부의 설득과 대책과 제시된 일정에 따라 차질 없이 투자가 이루어지도록 담보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세종시 논란이 조기에 종식되어 세계적 명품도시 건설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되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이완구 전 지사의 지사직 사퇴카드에 대한 재평가 계기

 

수정안에 반대해 '원안사수'를 외치며 배수진을 치고 싸우고 있는 충남도민들의 모습과는 상반되는 입장이다. 충남도지사 권한대행체계가 갖는 이 같은 한계는 이 전 지사의 지사직 사퇴카드에 대한 재평가의 계기가 되고 있다. 

 

당시 이 전 지사는 '지사직을 유지하면서 남아서 싸웠어야 했다'는 지적에 대해 "'원안추진'에 대한 정치적 의사표시로 사퇴를 절박하게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며 한나라당에 남아 세종시 원안사수를 위한 나름의 노력을 해 나가겠다는 의사를 밝혀왔다. "갈등과 분열을 용광로에서 용해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도 했다.

 

하지만 이 지사의 지사직 사퇴는 소속 충남도의원들의 우려를 현실화시키고 있다. 이들은 지난해 12월 성명을 통해 "도지사의 사퇴는 세종시 원안을 포기하는 모습을 도민들에게 각인시켜줌과 함께 원안 관철의 구심점 역할을 스스로 접는 무책임한 모습으로 비칠 것임이 '명약관화'하다"고 우려했다. 이어 "도지사를 사퇴하면 원안 추진의 동력을 급격히 상실할 것인바 중도사퇴는 전쟁에 임하는 장수가 취해야 할 판단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아직 이 전 지사의 사퇴에 대한 평가가 섣부를 수 있다. 하지만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충남도의 수용태세는 이 지사에게 "소극적 사퇴라는 작은 명분보다 끝까지 투쟁하는 큰 명분의 길을 걸어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던 충남도민들의 평가와 진단을 되새기게 하고 있다.


태그:#충남도, #세종시, #이완구, #재평가, #원안수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보천리 (牛步千里). 소걸음으로 천리를 가듯 천천히, 우직하게 가려고 합니다. 말은 느리지만 취재는 빠른 충청도가 생활권입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