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 지난해, 최종규 선생님한테 얻어 온 권정생 선생님 사진, <죽을 먹어도>겉그림에 쓰인 사진이에요.
ⓒ 최종규
"조금 앞서 뉴스에서 들었는데, 권정생 선생님이 돌아가셨대."
"응? 뭐라고?"
"권정생 선생님이 돌아가셨다고…."
"아……."


어제(17일) 저녁 무렵, 일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남편한테서 권정생 선생님이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들었어요. 아무 말도 할 수 없었어요. 가슴이 뜨거워지고 목이 멥니다. 아, 선생님이 돌아가시다니….

권정생 선생님을 제대로 알게 된 건 이오덕 선생님 때문이었어요. 우리 부부가 이오덕 선생님 책을 읽으면서 올곧게 살려서 쓰는 '우리 말'을 공부하게 되었고, 어린이를 사랑하고 자연을 사랑했던 선생님을 우러르게 되었지요.

그런 선생님 글 속에는 권 선생님 이야기가 틈틈이 나왔지요. 두 분이 서로 마음 맞춰 하신 일이나 주고받은 이야기를 읽으면서, 이오덕 선생님을 생각하는 우리 마음이 그대로 권 선생님한테도 똑같이 닿아 있었거든요. 또 이렇게 우러르는 두 선생님 가운데 한 분은 이미 우리 곁에 없는 것이 무척 가슴 아팠어요.

지난해 이오덕 선생님이 누워계신 충주 '무너미마을'에 갔을 때, 무덤 앞에서 복받치는 감정을 억누르지 못해 눈물을 흘리며 뜨거운 가슴으로 다짐을 했지요. 선생님이 끝까지 몸바치셨던 '우리 말 살려 쓰는 일'을 꿋꿋하게 따르겠다고요.

그때, 선생님 일을 올곧게 따르면서 일하던 최종규 선생께 권 선생님 사진 한 장을 얻어 와 간직하면서 남편과 함께 약속했던 일이 있어요.

"우리 내년 여름휴가 때는 권 선생님 계신 안동에 꼭 다녀오자! 선생님도 몸이 많이 아프시니까 살아 계실 때 꼭 뵙고 와야지. 안 그러면 이오덕 선생님처럼 두고두고 한이 될 거야."

늘 일에 쫓겨 틈을 낼 수 없다는 핑계로 같은 경상도 땅에 살면서도 진즉에 찾아뵙지 못했어요. 그런데 이렇게 슬픈 소식을 들었어요. 아직 여름도 오지 않았는데, 선생님이 그렇게 훌쩍 떠나 버리시면 우린 어떡합니까?

권정생 선생님이 쓰신 책, <죽을 먹어도>(아리랑나라)를 읽으면서 마음이 뜨거웠던 일이 생각납니다. 이른 봄에 마을 아이들이 앞산에 가서 산앵두꽃을 한 아름 꺾어 와서 꽃병에 꽂으려고 할 때, 선생님이 하신 말 때문에 크게 깨달았던 게 하나 있지요.

"야들아, 꽃 어디서 꺾었노?"
"깨끼산에서 꺾었어요. 안죽도 디기 많애요."
"많으면 자꾸 꺾어도 되나? 꽃이 불쌍하지도 않나?"
"꽃이 뭐 불쌍하니껴?"
"왜 안 불쌍노? 꺾으면 죽는데…."
"……."

아이들 얼굴이 금방 울상이 되어 내 얼굴을 쳐다본다.

"영아야, 꽃도 숨 쉬고 산단다. 요렇게 참한 새 옷 입고 엄마하고 산단다. 그런 걸 꺾어 봐. 너도 모가지 꺾고, 팔 꺾고 해 봐. 피가 나고 디기 아플끼다."
"이 꽃, 병에 꽂아 두마 안 죽고 사니더."
"병에 꽂아 살아도 꽃은 맨 불쌍하지. 깨끼산에 핀 건 깨끼산에 있어야 좋고, 주들 거랑에 핀 건 주들 거랑이 좋고, 시내미에 핀 건 시내미에서 오래오래 살고 싶단다. 우리 안동 꽃은 안동이 고향이고, 강원도에서 핀 건 강원도가 고향이고, 이북에서 핀 건 이북이 고향이지. 꽃이나 사람이나 모두 고향이 최고로 좋단다. 우리 한국에 핀 꽃을 아무도 꺾지 말고 그냥 두면, 저어기 제주도에서 이북 백두산까지 꽃천지가 되고 얼매나 좋겠노, 그지?" (권정생 <죽을 먹어도> 8, 9쪽)


▲ 권정생 선생님이 쓰신 책<죽을 먹어도> 아리랑나라
ⓒ 손현희
흔하고 하찮은 꽃을 꺾었을 뿐인데도 선생님은 그렇게 말씀하셨지요.

이 글을 읽기 앞서는 길을 가다 예쁜 풀꽃이 있으면 그저 아무 생각 없이 툭 꺾곤 했는데, 그 뒤로는 한 번도 그런 적이 없어요. 어쩌다 작은 풀꽃에 나도 모르게 손이 갔다가도 곧 선생님 말씀이 생각나서 뉘우치곤 했지요. 또 그때부터는 길섶에 피어 있는 작고 여린 풀 이파리 하나도 아주 남다르게 여겨졌어요. 매우 소중한 목숨이라는 걸 깨달았지요.

우리는 선생님을 만난 적도 없고, 그다지 잘 알지도 못해요. 오직 책으로만 선생님을 알아 왔기 때문에 더욱 그래요. 그렇더라도 우리 마음에는 언제나 소중하고 아름다운 분으로 기억하고 있답니다. 그런데 이렇게 아름다운 분을 살아 계실 때 뵙지 못한 것이 몹시 속상하고 마음이 아프네요. 너무나 게으른 우리를 탓할 수밖에 없습니다.

선생님, 지난날 이오덕 선생님과 형제처럼, 또 동무처럼 그렇게 지내셨지요? 아마 지금쯤은 먼저 가셨던 이오덕 선생님을 만나고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나마 덜 외로우리라 믿습니다.

선생님, 이 땅을 떠나시면서 모든 인세를 어린이를 위하여 써 달라고 하셨다지요? 사는 동안 내내 자연을 사랑하고, 보잘 것 없는 걸 더욱 사랑하고, 어린이를 사랑하며 겨레가 하나가 되기를 바라셨던 선생님!

이제 이 땅에서 짊어지고 있던 굴레는 모두 벗어버리고 편안히 지내시기를 바랍니다.

덧붙이는 글 | 한빛이 꾸리는'우리 말' 살려쓰는 이야기가 담긴 하늘 그리움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태그:#권정생, #이오덕, #죽을 먹어도, #아리랑나라, #무너미마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남편과 함께 자전거를 타고 오랫동안 여행을 다니다가, 이젠 자동차로 다닙니다. 시골마을 구석구석 찾아다니며, 정겹고 살가운 고향풍경과 문화재 나들이를 좋아하는 사람이지요. 때때로 노래와 연주활동을 하면서 행복한 삶을 노래하기도 한답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