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민주노총 울산본부가 12일 오전 11시 울산 남구 신정동 울산대공원 동문에 있는 울산강제징용노동자상 앞에서'일본의 경제보복 규탄, 미국의 내정간섭 분쇄 및 한반도 평화를 위한 조합원 실천투쟁 선'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민주노총 울산본부가 12일 오전 11시 울산 남구 신정동 울산대공원 동문에 있는 울산강제징용노동자상 앞에서"일본의 경제보복 규탄, 미국의 내정간섭 분쇄 및 한반도 평화를 위한 조합원 실천투쟁 선"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 민주노총 울산본부

관련사진보기

 
민주노총 울산본부가 일본 정부를 규탄하는 울산 8만 조합원의 서명을 받아 8월 15일 일본대사관에 전달할 예정이다.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해 일본 기업이 배상하라"는 한국 대법원의 판결을 두고 일본 정부가 한국에 대한 경제보복을 가하는 것을 규탄하기 위한 것.

민주노총 울산본부는 12일 오전 11시 울산강제징용노동자상 앞에서 '일본의 경제보복 규탄, 미국의 내정간섭 분쇄 및 한반도 평화를 위한 조합원 실천투쟁 선포' 기자회견을 열고 8만 조합원 실천투쟁을 선포했다.

이들은 "일본군 위안부,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사죄 배상은 고사하고 적반하장격으로 경제보복으로 한국 내정에 간섭하려는 일본 정부에 대해 민주노총울산본부 8만 조합원은 노동자의 이름으로 규탄한다"고 밝혔다.

앞서 민주노총 울산본부는 올해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정당, 시민사회 등과 '3.1운동 100주년 기념 울산 강제징용 노동자상 건립추진위원회'를 설립해 울산대공원 동문 입구에 노동자상을 건립한 바 있다. (관련 기사 : 울산, 3.1절 맞이해 '강제징용 노동자상' 설치 http://omn.kr/1hmta)

이들은 "울산시민들과 함께 강제징용노동자상을 건립하면서 민족의 자주권을 위해 외세에 항거해 투쟁했던 선배노동자들을 기억하고 역사를 잊지 않겠다고 다짐했다"며 "일본과 미국이 우리나라의 주권을 침해하고 한반도의 평화를 위협하는 지금의 정세에서 우리 노동자는 우리 선배 노동자들이 그랬던 것처럼 떨쳐 일어설 것"이라고 천명했다.

민노총 울산은 매년 8월 말에 갱신되는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폐기 운동도 함께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과거에 대한 사죄 없이 정치, 경제적으로 우리를 경원시하는 일본과 군사 협력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한편 민주노총 울산본부는 "일본의 이러한 작태는 그간의 미일 관계에 비추어 볼 때 미국의 용인이나 승인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음은 명확하다"고 주장했다. 그 배경으로 "아베가 이번 경제보복의 배경으로 강제동원 배상 문제뿐 아니라 대북제재 사안까지 언급한 것만 보아도 그렇다"고 지적했다.

또한 "그렇잖아도 미국은 남북관계 속도 조절 운운하며 한미워킹그룹이라는 것을 만들어 4.27 판문점선언과 9.19 평양 선언으로 조성된 남북 사이의 평화번영, 민족대단결의 기운을 억누르고 파탄 내기 위해 노골적인 내정간섭을 일삼고 있다"며 " 미국이 진정으로 한반도 평화를 원한다면 내정간섭이 아니라 대북제재를 해제하고 싱가포르 북미 합의부터 이행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이에 따라 민주노총 울산본부는 '미국이 우리 민족 문제에 간섭 말고 북미 싱가포르 합의를 이행하고 대북제재를 중단할 것'을 촉구하는 8만 조합원 민족평화선언을 미국 정부와 9월 뉴욕에서 열리는 UN 총회에 전달할 예정이다.

민주노총 울산본부는 "8월 15일 서울에서 열리는 8.15 전국노동자대회 및 민족자주대회에 역대 최대 규모로 참가해 일본과 미국 대사관을 에워싸고 외세의 간섭없이 우리 민족이 자주적으로 평화를 열어가기 위한 우리 노동자의 목소리를 소리높여 외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민주노총 울산본부는 이날 선포식에서 ▲강제징용 사죄 없이 경제보복 도발하는 일본 규탄 ▲적반하장 경제보복 아베 정부 규탄 ▲한일군사보호협정 당장 폐기 ▲대북제재 내정간섭 미국 규탄 ▲외세 개입 중단 ▲노동자가 앞장서서 자주 평화 이룩 등을 천명했다.

덧붙이는 글 | 시사울산에도 게재됩니다.


태그:#민노총 울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울산지역 일간지 노조위원장을 지냄. 2005년 인터넷신문 <시사울산> 창간과 동시에 <오마이뉴스> 시민기자 활동 시작.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