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서울시가 27일 발표한 '테스트베드 서울'의 추진 절차
 서울시가 27일 발표한 "테스트베드 서울"의 추진 절차
ⓒ 서울시 제공

관련사진보기

 
서울시가 지하철, 도로, 교량, 병원(시립), 지하상가 등의 공공인프라를 블록체인, 핀테크, AI 등의 혁신기술을 위한 '테스트베드'(실험공간)로 개방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올해를 '테스트베드 서울' 구축의 원년으로 삼고 2023년까지 1000개 이상의 혁신기업에 총 1500억 원을 지원하겠다고 27일 밝혔다. 일단 올해는 100억 원을 투입해 약 50개 기업의 기술 실증을 돕는다.

'테스트베드 서울'은 지난 4월 4일 박원순 시장이 발표한 '세계 5대 창업도시' 추진 계획의 일환이다. '제2벤처 붐'을 만들려는 문재인 정부의 국정지표와 맞닿아 있다.

시민의 생활기반이 되는 도시를 혁신기업의 테스트베드로 활용한 사례들은 속속 생겨나고 있다. 중국 선전시는 전기차 업체 BYD사의 제품으로 시내버스(16000여 대)와 택시(22000여 대)를 전면교체했고, BYD는 선전의 성공에 힘입어 세계 전기차 시장의 강자로 떠올랐다.

미국 구글의 자회사 웨이모도 자국의 25개 도시로부터 기존 자동차의 안전기준을 적용받지 않고 1600만 km의 시험주행을 허가받았다. 웨이모는 지난해 12월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에서 세계 최초의 자율주행 택시 서비스를 시작했다.

'테스트도시 서울'은 ①온라인 플랫폼 '신기술 접수소'를 통한 24시간 상시 접수 → ②전문 평가위원회의 공정하고 신속한(8주 내) 평가 → ③최대 1년 간 테스트베드 제공 및 '성능확인서' 발급 → ④실증을 통해 안정성‧성능 검증 제품‧서비스에 대한 공공구매 확대 순으로 추진된다.

우리나라의 신기술 창업 건수는 58694건(2019년 1/4분기)으로 계속 늘어가는 추세인데, 서울시는 신기술이 상용화될 수 있도록 서울기술연구원이 주관하는 온라인 플랫폼 '신기술접수소'(www.seoul-tech.com)를 6월부터 운영하기로 했다.

'테스트베드 서울'에 참여를 원하는 기업이 혁신제품‧서비스에 대한 설명과 희망하는 실증 장소‧영역을 적어 '신기술접수소'에 올리면 안전성과 적용가능성 등을 따져 8주 내로 실증가능 여부를 통보받는 시스템이다.

서울 소재 중소‧벤처기업의 상용화 직전 혁신제품들은 시청과 서울교통공사, 서울시설공단 등 투자출연기관, 사업소의 각종 시설물과 현장에서 최대 1년 간 현장 실증에 들어간다. 서울시는 과제별로 최대 5억 원의 실증사업비를 지원하며 참여기업은 전체 실증사업비의 20%를 부담하는 구조다.

담당부서에서 제품을 사용하면서 성능과 이상 유무 등을 점검‧기록하고 실증기간 종료 후 그 결과를 평가해 '성능확인서'를 발급하면, 각 기업은 이 '성능확인서'를 활용해 제품의 미흡한 점을 보완해 성능을 업그레이드하거나 향후 국내외 판로확대에 레퍼런스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시는 테스트 기간 중 구매의사가 있는 국내‧외 바이어들이 실증현장을 참관하도록 하는 등 실증현장 자체를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서울시는 혁신제품의 실증이 끝난 후 제품의 구매처가 되어 초기시장 형성과 판로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각 부서‧기관별로 혁신제품 공공구매를 촉진하기 위해 혁신제품‧서비스의 수의계약 한도액을 현행 1500만 원에서 2000만 원으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혁신 제품·서비스에 대한 실증이나 구매 업무와 관련해 적극적으로 업무를 처리한 결과에 대해서는 책임을 묻지 아니하는 '적극행정 면책제도'를 적용하고, 실증지원과 공공구매를 부서 평가지표에 포함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지난해 시범사업을 통해 12개 기업에 테스트베드를 제공 중이다. 이중 토이스미스 같은 업체는 서울지하철 5호선에서 IoT 센서와 빅데이터를 활용해 지하철 혼잡도와 선로상태 등을 분석하는 시스템을 실증하고 있으며, 태국 진출도 추진하고 있다.

시는 7월부터 서울산업진흥원에 전담기구인 '테스트베드 사업단'을 조직해 운영할 계획이다. 사업단은 부서간 협업 조율을 총괄하고 시정에 혁신적인 서비스가 도입될 수 있도록 운영상 개선점을 도출, 보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태그:#테스트베드, #혁신기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