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한총련 수배자 최원석씨의 어머니 방영숙씨가 법무부를 향해 '사랑하는 나의 자식 보고싶다, 수배조치 해제하라'는 등의 구호를 외치다 울먹이고 있다.
ⓒ 오마이뉴스 남소연

저보고 '한총련'이냐고들 하십니다. '주사파'나 '빨갱이'라고 하시는 분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모두 '오해'입니다.

'取중眞담'으로 처음 인사드립니다. 빨갱이도 주사파도 아닌 <오마이뉴스> 사회부 김지은 기자입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과 다르다고 해서 차별 받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대한민국 국민이기도 합니다.

@ADTOP@

저보고 빨갱이냐구요?

사내에서 '한총련 담당'으로 활동한 지 1년. 그간 오해도 참 많이 받았습니다.

이메일로 호된 비판을 보내오는 독자도 계셨습니다. 독자 의견 게시판에는 각종 '의혹'이 올라왔습니다. "너 한총련 맞지?", "김지은은 주사파가 확실하다" 등이 그것입니다. 제 기사마다 찾아와서 '안티 김지은'을 자처하며 "또 너냐, 니가 썼을 줄 알았다"고 냉소를 퍼붓는 분도 숱했습니다.

이 기회를 빌어서 '진실'을 말씀드립니다. 저는 한총련이 아닙니다. 제가 다닌 대학은 한총련 가입학교도 아니었고, 저 또한 한총련 학생들과 구호 한번 외쳐본 적이 없습니다.

오히려 한총련 내의 간부중심·상하수직적인 구조, 남성 중심 구조를 비판하며 대학생활을 했습니다. 하지만 한총련을 비판하는 것과 한총련이 없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다른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장애인이라고 해서 동성애자라고 해서 차별 받아선 안 된다는 논리와 같습니다. 홍세화 <한겨레> 기획위원은 이를 톨레랑스(용인)로 설파했지요. 설사 한총련이 주체사상을 공부했다고 해서, 마르크스주의를 추종한다고 해서, 그들을 억압할 명분은 서지 않는다는 얘기입니다. 사상과 양심을 법의 잣대로 잰다는 것은 무척 어려운 일입니다.

한총련 취재하며 느낀 언론의 서글픈 자화상

저는 올해 수많은 한총련 어머니들의 눈물을 보았습니다. 7년째 흘리는 눈물이었습니다. '한총련'을 자식으로 둔 탓입니다.

그 어머니들이 뒤에서 눈물만 흘리다 세상 속으로 걸어 나온 것은 올해가 처음입니다. 어머니들은 더 이상 뒤에서 숨 죽여 눈물 흘리지 않고 거리로 나와 구호를 외쳤습니다. 항상 냉정을 지켜야 할 기자이지만 '눈물 흘리는 모정'을 볼 때마다 가슴이 아픈 것은 어쩔 수 없었습니다.

그리고 그 어머니들을 볼 때마다 언론의 부끄러운 자화상 또한 느껴야 했습니다. 취재과정에서 한총련 수배자 부모들이 기자들에게 항상 하는 당부 때문입니다. "제대로 보도해달라"는 주문이었습니다. 모든 언론이 당연히 지켜야할 사명을, 그 어머니들은 부탁하고 또 부탁했습니다. 한마디로 "언론을 믿을 수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올해 한총련 관련 뉴스는 여느 해보다 몇 배 이상 많았습니다. 주목받을 일이 많았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가족들은 보도가 많은 만큼 언론 때문에 입은 상처 또한 큰 듯 했습니다.

2년째 수배 중인 한 수배 학생의 아버지는 매일 한총련 관련 언론 보도를 스크랩하고 모니터 해 분석한 자료를 내놓기도 했습니다. 특히 그분은 지난 '5·18 시위' 관련 언론 보도에 대해 성토했습니다. 지난 5월은 강금실 법무부 장관의 '수배해제 검토' 입장으로 한총련 문제 해결 분위기가 한껏 고조된 때였습니다. 하지만 5·18 시위로 분위기는 급랭됐었지요.

"나도 지금까지 큰 신문이 좋은 줄 알고 봐왔고 신문에 난 것은 모두 진실로 알고 믿어왔어요. 그런데 이렇게 따지고 보니 아니더라고. 시위 건만해도 처음에는 애들이 잘못한 줄로만 알고 이제는 정부에 어떻게 선처를 호소하나, 했어요. 그런데 언론이 진실을 가린 것이더라고."

▲ 지난 5월 '한총련 10돌 기념대회'에 참석해 흥겹게 노래를 부르고 있는 한총련 학생들.
ⓒ 오마이뉴스 남소연
그 분은 "언론의 보도 내용과 실제 상황은 상당한 차이가 있다"면서 여러 가지 의혹을 제시했습니다.

예를 들면 "당시 시위 현장에는 한총련 뿐 아니라 공무원 노조 등 사회단체 뿐 아니라 비 한총련 계열인 학생단체도 있었는데 왜 한총련만 시위를 한 것처럼 보도를 하느냐"하는 것입니다. 그 아버지는 그 '증거'로 경찰이 소환장을 발부한 27명 중 한총련 학생은 9명에 불과하다는 말을 했습니다.

다른 어머니들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지난 21일부터 상경 투쟁에 나선 정재욱 제11기 한총련 의장의 어머니도 인터뷰 할 때마다 당부하는 말이 "제발 제대로 보도해달라"였습니다. 그 분은 "이렇게 시위하는 것만 내보내지 말고 왜 시위를 하는지 꼭 써달라"고 부탁했습니다.

"언론이 중요해요. 제발 정확하게 보도해주세요. 단순히 시위한 것만 보도하면 국민들은 내막을 모르고 한총련에 대해 나쁜 이미지만 갖게 되잖아요. 그간 한총련이 '폭력집단'으로 비쳐진 것에는 언론의 책임이 커요."

정씨의 어머니는 인터뷰를 하면 인터뷰한 시간만큼 그렇게 당부를 했습니다.

맞는 말이었습니다. 한총련은 이적규정의 빌미가 된 지난 96년 '연대사태' 때도 언론의 뭇매를 맞았습니다. 당시 주요 언론들은 연대사태 당시 학내로 음식물·약품 반입조차 불허했던 정부의 인권침해 사례나 학생들 진압 당시 이뤄졌던 경찰의 폭력진압과 연행시 성희롱 등은 제대로 보도하지 않았습니다.

앞으로도 '가려진 이면의 진실' 위해 발로 뛰겠습니다

그렇게 가려졌던 '한총련 문제의 이면'을 캔 것이 '편향'이라면 저는 편향된 기자입니다. 하지만 부당하게 가려진 세상의 반절을 보도하는 일, 이것을 저는 제가 기자생활을 하는 동안 가져야할 신념으로 믿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이면의 진실이 조금이라도 알려진다면, 그래서 세상이 바뀌는데 일조한다면 그것보다 더 큰 보람은 없을 것입니다.

대검이 전향적인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대검의 발표대로 수사가 이뤄진다면 한총련 수배자들도 최대한 협조할 것입니다. 제11기 한총련은 '합법 한총련의 길을 가겠다'며 변화를 천명한 지 오래입니다. 또한 국민의 사랑을 받는 진정한 대학생들의 대표조직으로 거듭나겠다며 이미 '발전적 해소'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한총련 전담 기자'이니 저는 아마 앞으로도 한총련 취재를 계속 하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이제 '나쁜 뉴스'는 보도하고 싶지 않습니다. 아직도 양심과 사상의 자유가 허락되지 않아 숱한 인권침해가 일어나고 있고, 그로 인해 수천명의 사람(지난 7년동안 수배-구속된 학생과 그들의 가족까지 합치면 족히 수 천명입니다)이 고통받는다는 부끄러운 현실은 취재하고 싶지 않습니다.

이번 대검의 전향적 발표가 부당한 현실도 '전향적으로' 바꾸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앞으로 더 좋은 뉴스로 찾아 뵙겠습니다.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5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