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민토방 전경 금산군 복수면 목소리의 민토방
▲ 민토방 전경 금산군 복수면 목소리의 민토방
ⓒ 김문창

관련사진보기


노옹 이창민씨가 20년전에 구운 황토집 토기 이런집에서 살고싶었던 소원이 이루어진것 같애요
▲ 노옹 이창민씨가 20년전에 구운 황토집 토기 이런집에서 살고싶었던 소원이 이루어진것 같애요
ⓒ 김문창

관련사진보기


대전에서 활동하던 노옹(老甕) 이창민(59년생) 도자기 작가가 대전에서 금산군 복수면 목소리로 옮겨 집을 고치기 시작한 지 1년여 만에 민토방(전시와 문화, 머무름의 공간 041-857-1904)을 완성하여 10일과 11일 이틀간 집들이를 가졌다.

작가 노옹 이창민은 영어교사를 하시던 부친 이익용(24년생)씨가 청자연구를 하기 위해  교사직을 접고, 대전의 중심이었던 중구 대흥동 살던 집에서 73년 오지 중 하나인 대전유성구 계산동 사기막 골에 정착하면서부터 도자기 인생을 살았다.

그리고 작가가 20대 중반인 83년 유성구 학하동에 25년간 살면서 도자기를 만들고 살아왔는데, 작년 대전 서남부권 개발로 인해 철거되면서 현재 금산군 복수면 목소리에 정착하게 됐다.

노옹은 “이 집을 고치고, 작업장을 황토방으로 꾸미기 위해 지인 윤종영 전통가옥 목수가 디자인하고, 신해완 목수, 안용찬, 배목수 등과 함께 1년여 동안 공사를 하면서 완성했다. 개성이 강한 사람들이 모여 서로 의견을 교환하면서 시험적인 작품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먼저 노옹은 대지 500평과 구옥을 사서 집수리를 했다. 집은 기존의 골조를 살리고, 실내장식만 보완을 했는데, 집 3칸 중 두 칸은 바닥은 화목보일러로 바꾸고, 한지장판에 콩기름을 먹여 깔고, 한지 이중창과 벽에는 한지와 일라이트 흙과 풀을 섞어 다시 칠했다. 한 칸은 전통 구들장 방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노옹이 제일 노력을 기울인 것은 황토 집으로 지은 도자기 전시장과 작업장이다. 1년의 시간 중 90% 이상을 이곳에 투여했다. 먼저, 황토 흙으로 독특하게 나무기둥같이 생긴 벽돌을 찍어 건조시키고, 이 벽돌을 쌓아 벽을 완성시켰는데, 외부에서 보면 나무장작을 쌓아놓은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내부에는 황토 흙과 회벽을 칠해 완성했는데, 중간 중간에 노응이 구워낸 꺼머리 도자벽화로 장식해 마치 그림을 걸어놓은 듯하다.

이들 작업장에는 쉼터 공간으로 구들장 방을 만든 차 마실 공간이 있다.  구들장에 전체적으로 따뜻하게 하기위해 구들장을 놓는 법을 연구하여, 이중구들로 열을 나선형으로 휘감아 돌게 하여 계획하여 놓아 전체적으로 방이 따뜻하게 했다. 이 방바닥 역시 흙과 한지를  이용해 마감했다. 문틀과 문등은 직접 제작했으며, 문손잡이는 자연스럽게 나뭇가지를 깎아 붙였다.

아직 미완성된 것은 전통 장작 가마를 만드는 것으로 추후로 미루었다.

"느리게 살면 건강해 지더라구유"

도자기작가 노옹 이창민씨는 “이 집을 고치고 짓는데 5명이 1년이란 시간이 걸렸다, 이곳에서 일하던 지인들이 처음에는 몸이 한 곳 이상 안 아픈 사람이 없었다. 그런데 1년 동안 같이 노동과 황토방에서 숙식하면서, 느리게 쉬엄쉬엄 70대처럼 일을 했더니, 모두건강해졌지유!” 한다.

작년 4월 처음 이 동네 왔을 때  40호가 살고 있는데, 집을 고치고 작업장을 만드느라고 조용한 동네에 소란이 일자, 마을 주민들이 경계를 하여 몇 번 충돌이 있을 뻔 했는데 다행히 잘 넘어갔다고.

"나의 부모님 같이 생각돼 좀 더 허리를 굽히도록 노력하자, 금방 마을 주민과 친해져, 이제는 동네 반장과 함께 마을 상수도관리 일을 맡고 있다"고 수줍은 미소를 지었다.    

노응의 창작품 도자 벽화 민토방 벽에 걸려있는 도자벽화
▲ 노응의 창작품 도자 벽화 민토방 벽에 걸려있는 도자벽화
ⓒ 김문창

관련사진보기


이창민씨는 30대의 늦깎이로 충남대 미대 산업미술과에 89학번으로 입학하여 졸업했으며,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그는 96년 꺼머리 도자 벽화 전을 시작으로 작품 활동을 했으며, 사발 전(2001), 분청사기와 식물의 만남(2006)등의 작품전을 가졌다.

노옹 이창민씨는 민토방을 개인 창작 작업실로 활용하고, 충북영동에 부친이 작업하던 공간을 활용하여 휴가(休佳)라는 공간에서 도자기 벽화를 제작한단다. 그는 이어 ‘공예가 건축과 만나야한다’는 독일 바우하우스의 이념을 바탕으로, 선조들의 조형성과 건축이 만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란다.

벽돌 하나가 하나가 조각품처럼 느껴지고 다른 다양함을 조화 시킬 수 있는 문화 공간을 추구한다는 이창민씨는 “이것이 확산되면 우리문화 특성을 조화시킨 황토와 구들장이 만나는 황토구들 스테이 호텔을 만드는 것이 소박한 바람”이라고 말했다.               
                             

      


#민토방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대전충청지역에서 노동분야와 사회분야 취재를 10여년동안해왔습니다. 인터넷을 통한 빠른소식을 전할수 있는게기가되기를 바랍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