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사진

#김찬곤

박용주 시집 《바람찬 날에 꽃이여 꽃이여》(장백, 1990) 표지

박용주가 풍양중학교 졸업을 앞두고 낸 시집이다. 〈목련이 진들〉을 비롯하여 〈하늘〉, 〈정님이〉처럼 주옥같은 시를 볼 수 있다. 시집 발문에서 임헌영은 이런 말을 한다. “박용주의 조숙성은 그 개인의 몫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우리 시대가 강제로 만든 것이라는 편이 옳을지 모른다.” 임헌영의 말처럼 그의 시에서는 〈가정환경 조사서〉, 〈시골 아이들〉, 〈우울한 날에는〉을 빼고는 청소년 시기의 감수성을 찾아보기 힘들다. 그는 어린 나이에 민족의 앞날과 민주주의와 통일을 노래했던 것이다.

ⓒ장백2018.04.10
댓글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

오마이뉴스 취재후원

관련기사

이 세상 말에는 저마다 결이 있다. 그 결을 붙잡아 쓰려 한다. 이와 더불어 말의 계급성, 말과 기억, 기억과 반기억, 우리말과 서양말, 말(또는 글)과 세상, 한국미술사, 기원과 전도 같은 것도 다룰 생각이다. 호서대학교에서 글쓰기와 커뮤니케이션을 가르치고, 또 배우고 있다. https://www.facebook.com/childkls

독자의견

회원 의견 0개가 있습니다.

맨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