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해 노인 가구의 평균 연간 소득은 3469만 원이었으며, 개인 소득은 2164만 원, 금융 자산 규모는 4912만 원, 부동산 자산 규모는 3억1817만 원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이전 2020년 조사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이며, 조사를 시작한 2008년 이후로 지속 증가 추세로 분석됐다.

학력의 경우 고졸 비율이 2020년 28.4% 대비 2.8%p가 늘어난 31.2%였고, 전문대학 이상 졸업자는 2020년 5.9% 대비 1.1%p가 증가한 7.0%로 조사되는 등 교육 수준 향상도 확인돼 새로운 노년층이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가구의 소득 및 자산 현황
노인 가구의 소득 및 자산 현황 ⓒ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17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노인들의 가족·사회관계, 경제상태, 건강 및 생활상황 등에 관한 '2023년 노인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노인실태조사는 '노인복지법'에 근거해 2008년 이후 매 3년 주기로 실시하고 있으며, 2023년 조사는 9월 4일~11월 12일까지 전체 1만78명(남성 43.9%, 여성 56.1%)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191개 문항(세부문항 포함 시 총 661개)에 관한 방문·면접 방식으로 진행됐다.

 노인 가구의 교육 수준 현황
노인 가구의 교육 수준 현황 ⓒ 보건복지부

우선, 보건복지부는 노인 소득 및 교육 수준과 관련해 "이전 세대에 비해 소득·교육 수준이 높은 새로운 노년층의 확대가 나타났으며, 일하는 노인의 비중도 지속 증가"했다고 밝혔다.

노인 가구 소득의 구성의 경우 ▲근로소득 및 사업소득 53.8% ▲공적이전소득 25.9% ▲사적이전소득 8.0% ▲재산소득 6.7% 순이었며, 2008년 대비 사적이전소득 비중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다.

또 '일을 하고 있는 노인' 비중이 2017년 30.9% → 2020년 36.9% → 2023년 39.0%로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 종사 직종은 단순 노무 33.0%, 농림어업 숙련노동 20.3%, 서비스 종사자 14.4%, 판매 종사자 12.5% 등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노인 79.1% "노인 연령 기준은 '70세 이상'"

 노인 연령 기준에 대한 생각
노인 연령 기준에 대한 생각 ⓒ 보건복지부
다음으로 '재산 상속 등에 대한 가치관 및 사회활동 형태' 등 변화와 관련해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연령' 기준은 평균 71.6세로, 2020년 70.5세 대비 1.1세 상승했다. 전체 노인의 79.1%는 노인의 연령 기준을 '70세 이상'이라고 생각했다.

재산 상속 방식에 관해서는 '모든 자녀에게 골고루 상속' 51.4%, '자신 및 배우자를 위해 사용' 24.2%, '부양을 많이한 자녀에게 많이 상속' 8.8%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재산을 '자신 및 배우자를 위해 사용'하겠다는 비중이 기존 조사에 비해 큰 폭으로 상승했는데, 2020년 17.4% → 2023년 24.2%로 늘었다. 또 '장남에게 많이 상속'하겠다는 비중이 2008년 21.3%에서 2023년 6.5%로 크게 감소하는 등 변화된 인식을 이번 조사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선호하는 '장사' 방식은 ▲화장 후 납골당 38.0% ▲화장 후 자연장 23.1% ▲아직 생각해보지 않았다 19.6% 등 순으로, '화장 후 납골당'을 택한 비중은 2020년 대비 4.7%p 늘어났고, '매장'을 택한 비중은 6.1%로 2020년 11.6% 대비 5.5%p 감소했다.

이번 조사 응답자 중 경로당을 이용하는 비중은 2020년 28.1% 대비 1.6%p 감소한 26.5%이고, 친목 단체에 참여하는 비중은 2020년 44.1% 대비 10.1%p 증가한 54.2%로 확인돼 변화된 양상을 보였다.

사회 전반에 걸친 '디지털 전환 현상'과 관련해서는 노인의 67.2%가 '정보화 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느낀다'고 대답했다. 이와 관련해 2020년 대비 2023년 스마트폰 보유율은 56.4%에서 76.6%, 컴퓨터 보유율은 12.9%에서 20.6%로 상승했고, 스마트워치 보유율은 2023년 2.1%로 나타났다(참고로 '태블릿 컴퓨터(PC)'의 경우 2020년은 '스마트폰으로, 2023년은 '컴퓨터'로 분류).

디지털 접근성에 관한 제도 개선사항으로는 노인 맞춤형 스마트기기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 29.5%, 정보화 교육 다양화 27.4%, 스마트기기 이용료 지원 21.9% 순으로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우울증상·낙상사고 등 건강 상태 지표개선... 장기요양보험 역할 증대

 만성질환 현황 (단위 : %, 개)
만성질환 현황 (단위 : %, 개) ⓒ 보건복지부
노인 인식 조사에서 우울증상이나 낙상사고, 외래진료 등 건강 상태 관련한 다양한 지표가 소폭 개선됐으며, 장기요양보험 이용 비율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도 눈에 띄었다.

우울증상을 가진 노인은 2020년 13.5% 대비 2.2%p 감소한 11.3%였으며, 최근 1년간 낙상사고를 경험한 노인은 2020년 7.2% 대비 1.6%p 감소한 5.6%였다. 응답일 기준 최근 1개월간 병·의원 외래진료를 이용한 비율도 2020년 70.6% 대비 2023년 68.8%로 1.8%p 감소했다.

또 노인들은 평균 2.2개의 만성질환을 보유하고 있으며, 3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은 35.9%, 만성질환이 없는 노인은 13.9%이다.

 가구형태별 주요 특징
가구형태별 주요 특징 ⓒ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는 '신체적 기능상 제한이 있다'고 응답한 18.6%의 노인을 대상으로 돌봄 상태를 조사했는데, '돌봄을 받고 있다'는 응답한 노인이 47.2%였다. 돌봄제공자에 대한 질문에 '장기요양보험서비스'라 답한 비율이 2020년 19.1%에 비해 30.7%로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그 외 가족 81.4%, 친척·이웃 등 20.0%, 개인 간병인 등 11.0%로 나타났다.

돌봄 서비스를 받고 있는 노인 중 돌몸서비스가 '충분' 49.4%, 보통 32.2%, '부족' 18.3%였으며, 개선 필요 사항으로는 기능회복훈련·재활서비스 37.0%, 서비스 내용 다양화 25.7%, 시간 확대 24.0% 순이었다.

이외에도 '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해야 할 때', '낙심하거나 우울할 때', '갑자기 큰 돈이 필요할 때' 등의 상황에 처할 시 도움을 받을 사람이 하나도 없다고 응답한 노인은 전체의 6.6%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그 비율이 증가했다.

마지막으로, 가구 구성의 변화와 1인 가구(독거노인)의 특징과 관련해서 가구형태의 경우 부부가구(55.2%), 1인 가구(32.8%), 자녀동거 가구(10.3%) 순이었다. 특히 1인 가구(독거노인) 비율이 2020년 조사 대비 13.0%p 급증했고, 이에 따라 평균 가구원 수가 2.0명→1.8명으로 감소했다.

1인 가구(독거노인)의 경우 '건강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34.2%로 노인부부 가구의 48.6%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우울증상', '영양관리', '생활상의 어려움' 등 다양한 측면에서 다른 가구형태에 비해 열악한 상황으로 파악됐다. 자녀와 연락하는 비중은 2020년 67.8%에서 2023년 64.9%로 감소했고, 전체 노인의 9.2%는 연락가능한 자녀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임을기 보건복지부 노인정책국장은 "이번 노인실태조사를 통해 경제상태, 인식 및 가치관, 건강 상태, 가족·사회관계 등 다양한 측면에서 변화되는 노인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변화된 정책여건에 맞춰 어르신의 활기차고 존엄한 노후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이번 조사를 통해 확인된 새로운 노년층의 소비력과 역량, 고령층 전반적인 의료·돌봄·복지 수요, 1인 가구 증가 등 변화된 정책여건을 토대로 2025년으로 예상되는 초고령사회 진입 등에 대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2023년 노인실태조사 주요 결과 인포그래픽
2023년 노인실태조사 주요 결과 인포그래픽 ⓒ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노인실태조사#신노인층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용산 대통령실 마감하고, 서울을 떠나 세종에 둥지를 틀었습니다. 진실 너머 저편으로...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