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최근 교회 모임에 나오지 않는 한 분을 찾아뵈었죠. 뜻밖에 놀랄 만한 사연을 들었어요. 자신은 동성애성이 있다는 고백. 자초지종을 들어봤지요. 젊은 시절 자신이 사랑하던 여인을 아버지가 떼놓은 뒤부터 이성을 사랑할 수 없게 되었다는 거죠. 그 은밀한 속사정은 예배당 안에서조차 가시지 않았고 괴롭기는 마찬가지였다는 거죠.

 

나는 오늘날의 교회가 남녀노소빈부귀천을 막론하고 함께 할 수 있는 교회여야 한다고 이야기해 왔어요. 더욱이 사회적 소수자들도 언제나 편하게 들어올 수 있는 교회여야 한다고 강조했지요. 그런데 뜻밖에 그런 분이 우리 교회 교우였다니 놀랄 수밖에 없었지요.

 

곰곰이 생각해 봤죠. 만일 그 분이 교회 내에서 동성애자가 되기로 공개적으로 선포한다면 어떻게 될까? 다른 교우들이 흔쾌히 받아들일 수 있을까? 나도 그 분과 이야기할 때 공감은 갔지만 마음까지 정리가 된 건 아니었지요. 예전에도 겪은 바가 있듯이 술중독자도 다들 괜찮다고는 했지만 불편해하던 일이 역력했었죠. 다시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까 싶었어요.

 

"동성이냐 이성이냐를 떠나서 관계 자체가 지니는 보편성과 개별관계의 특수성을 관조하게 되는 것입니다. 일단 친구가 되고 나면, 친구 사이에서, 혹은 기독교식으로 표현하자면 모두가 똑같이 죄인인 입장에서, 누가 누구를 받아들이고 관용한다는 것이 우습게 느껴집니다. 대부분의 공포는 서로를 모르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고, 그 공포 때문에 더 커진 적대감이 문제를 악화시킵니다. 친구가 되는 것이 다른 무엇보다도 중요한 이유지요."(81쪽)

 

이는 영화보다 재미있는 인권 이야기를 부제로 달고 있는 법학자 김두식의 <불편해도 괜찮아>에 나오는 한 대목이에요. 영화 <브로크백 마운틴>을 두고서 한 것인데 아주 정확한 부분을 꼬집는 것 같았지요. 교회나 일반조직에서 동성애자들을 달가워하지 않는 건 선입견과 편견 때문이라는 거죠. 개인적으로 그들의 속사정까지 알고 지내는 사람들은 괜한 편견과 오해로부터 자유롭다는 것이죠.

 

법학자지만 깊은 신앙심까지 소유한 그는 동성애자들의 인권문제에 대해 성경의 황금률까지 꺼내고 있지요. 동성애자들의 인권문제가 프라이버시에 속한 것이기 때문에 이성애자들이 관용하고 말고 할 문제가 아니란 것이죠. 이성애자들이 보장받기를 원하는 그대로 동성애자들도 주장하고 누리도록 해 줘야 한다는 것이지요. 어떤가요, 수긍이 가나요? 중요한 건 그들이 내 곁에 있다는 것이죠.

 

이 책은 그 밖에도 청소년인권, 여성과 폭력, 장애인 인권, 노동자의 차별, 종교와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 인종차별의 문제, 검열과 표현의 자유 등 인권의 사각지대에 있는 여러 부분들을 꽤 볼만한 영화들과 함께 풀어나가고 있어요.

 

"그걸 보면서 저는 제가 한국에서 본 영화의 관람료를 돌려달라는 소송을 하고 싶은 심정이었습니다. 잘려나간 부분들은 기지 않았지만, 그걸 빼고 나면 이미 완전한 영화가 아니었습니다. 내용을 이해하는 데 지장이 없으면 그만 아니냐고 하실 분들이 있을지도 모르지만, 그건 마치 가슴에 구멍이 뻥 뚫린 양복을 팔면서 그래도 전체적으로 보면 양복이 분명하니 그냥 입으라는 것과 같습니다."(241쪽)

 

이는 <바디 히트><나인 하프 위크><투문 정션><와일드 오키드>들을 보고 난 뒤에 한 이야기이죠. 한국의 직장에 사표를 내고 캔자스주 로런스 대학도시에 머물면서 본 것들인데 한국의 것들과는 달리 완전 무삭제였다는 것이죠. 그랬으니 화딱지가 날법도 한 것 같네요.

 

놀라운 건 그것이죠. 영화의 등급과 검열에 관한 것. 그는 2006년의 커비 딕(Kirby Dick) 감독의 <이 영화는 아직 등급이 없다>를 예로 들면서 대부분의 심사위원은 대형영화관의 사장, 영화 배급업자, 대형영화사의 판매담당 부사장, 영화관 소유자협회 지부장, 그리고 몇몇의 성직자들이 맡는다고 해요. 나름대로 자본과 종교가 합작하여 이익을 챙기고 있고, 당연히 소수자의 시선은 묵살될 가능성이 높다고 하지요. 우리도 여태 그런 건 아닐까요?

 

아무튼 법학자가 영화를 소재로 인권을 이야기하겠다는 발상 자체가 기발한 것 같아요. 그의 지식습득이라는 것도 영화를 통해 더 빨리 가져올 수 있었고, 독해력이라는 것도 외국영화에서 많은 덕을 봤다고 하니, 일거양득이란 바로 그건 것이겠지요. 그가 보고 추천한 영화들을 통해 우리사회에 일그러진 인권 문제를 다시금 생각하고, 여러 의미들을 건져 올리면 좋겠어요. 그들은 영화 속 인물들이 아니라 내 곁에 가까이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이죠.


불편해도 괜찮아 - 영화보다 재미있는 인권 이야기

김두식 지음, 창비(2010)


#김두식# 〈불편해도 괜찮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