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진보정치 일번지 울산 북구청장에 당선된 민주노동당 윤종오 당선자가 부인과 함께 꽃다발을 목에 걸고 기뻐하고 있다
 진보정치 일번지 울산 북구청장에 당선된 민주노동당 윤종오 당선자가 부인과 함께 꽃다발을 목에 걸고 기뻐하고 있다
ⓒ 민주노동당 임상우

관련사진보기


현대자동차노조 조합원를 주축으로 노동자들이 대거 거주하면서 두 명의 구청장과 두 번의 국회의원을 배출, 진보정치일번지로 불리는 울산 북구가 지난 4년간의 침체기를 벗어나 진보정치 일번지의 명성을 확인했다.

6·2지방선거에서 진보진영 구청장을 비롯해 광역의원 3명이 모조리 당선된 것을 비롯해 기초의원도 비례대표(1석) 포함 총 7석 중 4명(비례대표 1명)을 차지했다. 모두 민주노동당 소속이다.

역시 노동자의 도시이자 같은 진보정치 도시인 동구는 광역의원 2명이 당선되고 기초의원이 4명으로 과반수를 차지했지만 구청장은 한나라당에 패했다.

울산 북구, 진보 대약진... 현대차노조 큰 역할

울산 북구에서 이처럼 진보진영이 대약진을 하게 된 데는 현대자동차 노조가 큰 역할을 했다. 노조는 북구청장 단일화를 주도하는가 하면 선거전에서도 조직적인 활동을 보여 진보진영 석권의 구심점이 된 것.

북구청장에 당선된 민주노동당 윤종오 전 시의원은 전체 유권자 12만2563명 중 6만7977이 투표(55.5%%)한 가운데 3만7811표(56.44%)를 얻어 2만9180표(43.55%)를 얻는데 그친 한나라당 류재걸 후보와의 대결에서 압승했다.

앞서 윤종오 북구청장 당선자는 같은 현대차노조 조합원인 진보신당 김광식, 무소속 이상범 후보와 여론조사 및 노동자 모바일 투표를 통해 진보 단일화를 성사시켜 단일후보로 나섰다.

윤 당선자는 1986년 현대자동차에 입사, 노동조합 활동을 했고 현대차노조 사업부 대표, 조직실장 등을 지냈다. 1998년 지방선거에서 북구의원에 당선된 데 이어 2002년과 2006년잇따라 울산시의원에 당선됐다.

울산 북구청장은 울산광역시 승격 이후 첫 구청장 선거인 1998년 조승수 현 국회의원이 당선된 데 이어 2002년 이상범씨가 연이어 당선됐다. 하지만 2006년 지방선거에서는 한나라당에 고배를 마신 후 이번에 다시 북구청장 자리를 탈환한 것.

이로써 울산 북구는 진보신당 조승수 국회의원을 비롯해 구청장, 광역의원 전원, 기초의원 과반수가 모두 진보진영으로 이뤄지게 됐다.

북구의 광역의원은 진보신당과 후보단일화를 한 북구1선거구 김진영, 북구2선거구 이은영씨를 비롯해 북구3 하현숙씨 등 민주노동당이 3석을 모두 차지했다.

또한 기초의원도 7개 의석 중 민노당 안승찬·윤치용·강진희 후보와 비례대표 이혜경 후보가 당선돼 모두 4석을 차지했다.

동구는 3개의 시의원 의석 중 동구 2선거구 이재현, 동구3  이은주 등 현역 시의원이 모두 당선됐다.

관심을 끌었던 동구청장 선거에서는 진보단일 후보 민주노동당 김종훈 후보가 3만6550표(48.66%)를 얻어 3만8549표(51.33%)를 얻은 한나라당 정천석 후보에 패했다.

진보진영의 동구 기초의원은 진보신당 황보곤, 민노당 이생환, 김경득씨가 당선됐고 비례대표로 민노당 현역 구의원인 박문옥씨가 당선됐다.

한편 정천석 한나라당 동구청장 당선자는 이번 선거를 앞두고 드러난 금품여론조사에서 돈을 준 혐의로 1심에서 당선무효형에 해당하는 벌금 500만 원을 받아 항소한 상태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시사울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진보정치일번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울산지역 일간지 노조위원장을 지냄. 2005년 인터넷신문 <시사울산> 창간과 동시에 <오마이뉴스> 시민기자 활동 시작.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