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충남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 산73 - 28에 소재한 천연기념물 제106호 예산 용궁리 백송. 백송이라는 명칭은 소나무의 껍질이 넓은 조각으로 벗겨지는데, 그 벗겨진 껍질이 흰빛이 되므로 백송 또는 백골송(白骨松)이라고도 한다. 백송은 중국이 원산지로서 조선시대에 중국을 왕래하던 사신들이 가져와 심은 것이라고 전한다. 원래 백송은 중국이 원산지다.

백송 천연기념물 제106호 예산 백송
백송천연기념물 제106호 예산 백송 ⓒ 하주성

길가에서 보이는 백송 김정희가 중국에서 들여와 심은 것이라고 전한다.
길가에서 보이는 백송김정희가 중국에서 들여와 심은 것이라고 전한다. ⓒ 하주성

우리나라에 들어온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서울시 종로구 재동에 있는 백송이 수령이 600여 년 정도인 것을 감안하면, 그 시기에 들어온 것으로 볼 수 있다. 백송은 잔뿌리가 적어 옮겨심기가 힘들다. 씨앗도 번식력이 약하고, 어린 나무는 잘 자라지 않아 그만큼 키우기가 힘든 희귀종이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예산의 백송은 수령이 약 200년 정도로 추정된다. 높이 14.5m, 가슴높이 둘레 4.77m이다. 줄기가 밑에서 세 갈래로 갈라져 있는데 그 중 두 가지는 죽어서 처리를 해놓았다. 현재는 한 가지만 남아 빈약한 모습으로 서 있지만 백송이 희귀종이라 천연기념물로 지정이 되었다.

예산 백송의 밑동 원래는 세가지였으니 현재는 한 가지만 남아있다.
예산 백송의 밑동원래는 세가지였으니 현재는 한 가지만 남아있다. ⓒ 하주성

백송 백송은 생육이 잘 되지 않아 희귀종이다.
백송백송은 생육이 잘 되지 않아 희귀종이다. ⓒ 하주성

예산 백송은 나무 껍질은 거칠고 흰색이 뚜렷하다. 이 나무는 추사 김정희 선생이 조선 순조 9년인 1809년 10월에 아버지 김노경을 따라서 중국 청나라 연경에 갔다가 돌아올 때 백송의 종자를 필통에 넣어가지고 와서 고조부 김흥경의 묘 옆에 심었던 것이라고 전해진다.

김정희 선생의 서울 본가에도 영조(1724∼1776)가 내려 주신 백송이 있다. 그래서 백송은 추사 김정희 일가의 상징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예산의 백송은 용궁리에 있는 추사고택과 거리가 멀지 않다. 길가에서 멀지 않은 곳에 서 있어, 지나는 길에 들려볼 만 하다. 백송을 찾아가니 생육이 그리 잘 된 것 같지는 않다. 곁에 서 있는 커다란 소나무들에 비해 빈약하다. 수술 흔적도 보는 이의 마음을 불편하게 한다.

백송 껍질이 벗겨지면서 흰빛을 내 백송 또는 백골송이라고 부은다
백송껍질이 벗겨지면서 흰빛을 내 백송 또는 백골송이라고 부은다 ⓒ 하주성

줄기 부분 예산 백송은 생육상태가 좋지 않아 보존에 많은 신경을 써야할 것 같다.
줄기 부분예산 백송은 생육상태가 좋지 않아 보존에 많은 신경을 써야할 것 같다. ⓒ 하주성

송방울 씨앗을 잘 퍼트리지 않아 종자를 퍼트리기도 힘들다
송방울씨앗을 잘 퍼트리지 않아 종자를 퍼트리기도 힘들다 ⓒ 하주성

역사 기념물로의 가치뿐만 아니라, 추사 선생이 필통에 씨를 넣어 갖다가 심었기에 더욱 소중하다는 예산 백송. 앞으로 보존이 잘 되어, 더 많은 씨를 퍼트렸으면 하는 바람이다. 


#백송#천연기념물#예산#추사 김정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