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푸른 들판을 보면서 가는 길은 아름답다. 별의 고장이자 별의 도시라 불리는 영천의 문화재와 보현산 천문대를 찾았다. 여러번 다녀온 장소들이지만 이번에는 여름캠프를 맞아 체험하고 즐기려고 다시 찾았다.

푸르른 들녘 푸르른 들녘
푸르른 들녘푸르른 들녘 ⓒ 김환대

임고서원을 지나면 있는 임고초등학교에 잠시 들렸다. 이 곳은 2003년 제4회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에서 아름다운 학교 숲 대상을 수상한 곳으로 아직도 플라타너스 등 학교내 조성된 숲은 걷고 싶은 곳으로 많이 찾는다. 도심속내의 학교와는 또다른 분위기가 연출된다.

임고초등학교 숲 임고초등학교 숲
임고초등학교 숲임고초등학교 숲 ⓒ 김환대

임고초등학교 숲 임고초등학교 숲
임고초등학교 숲임고초등학교 숲 ⓒ 김환대

선원동 철불좌상

임진왜란 때 영천 의병장이었던 호수 정세아(1535∼1612) 선생과 그의 아들 백암 정의번(1560∼1592)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사당인 환구세덕사가 있다.

환구세덕사 환구세덕사
환구세덕사환구세덕사 ⓒ 김환대

조금 더 가면 철불선원이란 작은 절에 모셔진 선원동 철불좌상은 보물 제513호로 불상은 두 손이 없어지고 불신만 남아 있었던 것을 2002년 손을 수리하는 등 보수를 하였다. 주조 후에 땜질한 흔적이 곳곳에 보인다.

선원동 철불좌상 선원동 철불좌상은 신라인근에서 보기드문 경북지역 철불좌상이다.
선원동 철불좌상선원동 철불좌상은 신라인근에서 보기드문 경북지역 철불좌상이다. ⓒ 김환대

경주인근에서 나타나는 고려 전기 우수한 철불상이다. 전해지는 이야기로는 현몽에서 발견한 것이라 한다. 주변에는 복숭아가 잘 익어 가고 있다.

정용준 가옥 연정고택

영천에는 고택들도 많은데 그중 ㅁ자형 구조에 정자를 가진 정용준 가옥을 찾았다. 입구에 연꽃이 많이 피는 연못이 있어 연정고택이라고도 하며 2006년 영화 <그해여름>에서 이병헌과 그의 첫사랑 수애가 나온 촬영장소로 알려져 있다. 마을 곳곳에 전통가옥이 남아 있어 둘러보기에도 좋은 장소다.

정용준가옥 정용준가옥
정용준가옥정용준가옥 ⓒ 김환대

연정 연정
연정연정 ⓒ 김환대

보현산 천문대와 천문과학관

보현산 천문대는 보현산 정상에 건설된 천문대인 천문학 연구 기관으로 한국에서 가장 큰 1.8m 반사망원경 및 1.0m 태양 플레어 망원경 등 다수의 천체 관측 시설을 보유하고 있고
광학천문관측의 중심지로 항성, 성단, 성운과 은하 등의 생성과 진화를 연구하고 있다.

보현산천문대 보현산천문대
보현산천문대보현산천문대 ⓒ 김환대

보현산천문대 보현산천문대
보현산천문대보현산천문대 ⓒ 김환대

주차장에서 정상까지 걷고 싶은 길인 천수누림길을 만들어 탐방객들의 편의를 활용하고 있으며 일반시민들이 쉽게 접근하여 최근 영천관광의 새로운 명소로 부각되고 있다.

천수누림길 천수누림길
천수누림길천수누림길 ⓒ 김환대

보현산 천문대 입구 마을인 절골(탑골)에는 정각리 삼층석탑이 있는데 고려시대 초기 석탑으로 주변 전경과 잘 어울리는 곳이다.

정각리삼층석탑 정각리삼층석탑
정각리삼층석탑정각리삼층석탑 ⓒ 김환대

천문대 입구 별빛마을에 위치한 천문과학관은 입장료가 2천원인데 5D돔영상관이 있어 우주모습을 생생하게 재현하여 볼 수 있다. 가상현실속에 만나는 우주와 롤러코스터의 실감나는 영상은 빠져들기에 충분하다.

천문과학관 천문과학관
천문과학관천문과학관 ⓒ 김환대

최신시설과 전시실 그리고 관측실과 설명이 곁들여져 우주에 관한 궁금증을 풀어보는 장소로 아이들과 함께 많이 찾는 학습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는 곳이다.

별의 고장답게 밤 하늘의 많은 별들은 오염되지 않은 정취를 느끼기에 충분하다. 몰랐던 천문과 우주에 대해 알 수 있는 기회가 된 것 같다.  별의 도시 영천에서의 하룻밤은 이렇게 깊어가고 있다.  


#보현산천문대#영천보현산천문과학관#선원동철불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전국의 문화유적을 찾아 답사를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구석진 곳에 우리문화를 찾아서 알리고 문화관련 행사를 좀 더 대중에게 보급하고자 하며 앞으로 우리문화재의 소중함을 일깨워 나아가려고 합니다. 괌심분야는 역사유적, 석조조형물과 민속,고건축물 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