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06년 10월 인천 검단신도시는 인천과 김포의 경계지역에 340만평 규모로 지정돼 서구 검단, 당하, 원당동 일대 택지개발과 지구 주변 100만평 규모의 검단산업지역 개발과 함께 추진되었다. 최초 계획보다 규모가 줄어 가구수도 5만6000가구에 인구도 15만명 가량 거주를 예상하고 올해 12월 아파트 분양을 목표로 했었다.

 

당시 인천시는 검단시를 행정-문화-교육 기능을 갖춘 환경친화적 수도권 서북부 거점 도시로 발전시키겠다 했고, 건교부(현 국토해양부)는 검단지구에 있는 무허가 공장 등을 검단산업단지로 이전시켜 자족기능을 강화하겠다 했다.

 

그리고 지난해 8월 21일 정부는 난데없이 검단신도시를 추가 지정해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2006년 1차 검단신도시 개발계획 발표 이후 얼마 되지 않아, 서구 대곡동과 마전동, 불로동 일대도 신도시로 지정한 것이다.

 

 

 

그런데 그간 몇 년 안에 개발지역으로 추가 지정될 것이란 소문이 무성했지만, 주민들은 개발 계획에 부동산업자들과 달리 환호는커녕 신도시 추가 지정에 반대 목소리를 냈다. 논밭에서 농사를 짓고 놀리는 땅은 공장에 임대해 소득(월세)을 얻어왔는데, 신도시 개발로 국가가 땅을 강제수용할 경우 적절한 토지보상도 기대할 수 없고 딱히 이사갈 곳도 없다고 말이다.

 

어쨌든 정부의 일방적인 신도시 개발계획으로 현재 검단신도시는 검단1.2지구, 당하지구, 원당지구, 불로지구, 마전지구, 오류지구로 나뉘어 개발 중이다. 한국토지공사는 올해말까지 3조원 규모의 검단신도시 토지보상을 마칠 계획으로 주민들과 보상협의 중이다.

 

 

 

 

김포장기지구와 김포한강신도시도 맡고 있는 한국토지공사는 검단신도시와 마찬가지로, '친인간-친환경-친문화'란 구호 아래 택지조성에 여념이 없다. 장기지구는 이미 고층아파트 단지가 들어선 상태고, 논을 매립하고 숲을 조각낸 곳곳에서는 삭막한 아파트 숲이 치솟고 있다. 

 

그 한편에는 황량하게 변해버린 신도시 개발지에서 옛부터 살아온 사람들은 철거민으로 전락해 비닐 천막에 의지해 신도시에 빼앗긴 삶을 되찾기 위해 몸부림 치고 있다.

 

대체 2조원 규모의 토지보상비는 누가 다 먹었는지? 그 씁쓸한 모습을 보고 있자면, 반환경적이고 반서민적인 신도시는 대체 누구를 위한 개발인지 되묻게 된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U포터뉴스와 블로거뉴스에도 송고합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검단신도시#김포한강신도시#철거민#개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