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인천 차이나타운은 경계가 없어 어디서부터 어디까지가 차이나타운인지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도 대문이 있었으니 망정이지 대문마저 없었다면 빨간 간판과 빨간 건물만 보고 '차이나타운이구나'라고 추측만 했을 것이다.


중국의 전통 대문인 패루(牌樓-중국인들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하는 건축물로서 미국, 일본 등의 차이나타운마다 설치돼 있다고 한다)를 지나 붉은색으로 치장된 건물이며 거리의 갖가지 장식물들을 보면서 차이나타운에 들어섰음을 알았다.

 

 

우리가 차이나타운이라고 하는 인천 중구 선린동과 북성동 일대는 2000년 차이나타운 관광특구로 지정되기 전까지 청관(淸館)거리로 더 알려져 있었다. 청국의 치외법권 지역인 조계(租界)를 통칭하던 청관은 인천항이 개항한 1883년 이듬해인 1884년 청국의 영사관이 설치되면서 화교들이 본격적으로 정착하기 시작했다.

 

화교들은 중국 산둥반도와 지리적으로 인접한 이곳에서 주택을 짓고 상업활동을 했다. 청관거리는 화교들의 타향살이의 무대가 된 셈이다. 이후 청일전쟁에서 이긴 일본인이 이곳에 정착하면서 청관거리는 일본인 생활 양식와 화교의 양식이 혼합된 개항장의 모습으로 변하게 되었다. 이때 만들어진 것이 청국 조계와 일본인 거주지의 경계역할을 하는 청·일조계지 경계계단이다.

 

청ㆍ일조계지 경계계단을 기준으로 왼쪽이 우리가 차이나타운이라고 부르는 곳으로 오른쪽의 일본 거주지와 거리색부터 확연히 차이가 난다. 가로등부터 간판 건물까지 빨간색이 눈에 띄게 많음을 볼 수 있다. 붉은 기운이 도는 갖가지 거리장식과 더불어 눈에 많이 띄는 것이 중국음식점인데 10여개의 중국음식점들은 차이나타운 거리 주변에 몰려 있어서 그런지 호객행위도 심심치않게 볼 수 있다.

 

 

관광특구로 지정되어서 일까. 차이나타운은 과거의 흔적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고건축 보존보다 새로운 것들이 만들어 지고 있다. 오랜 시간동안 화교들이 생활했던 그 흔적들보다 방문객들을 위한 볼거리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화교중신학교 뒷길에 있는 삼국지거리가 대표적인데, 화교들의 생활터전인 차이나타운의 특색과 역사를 알리기보다는 이곳이 중국과 관련된 하나의 관광지임을 대변해 주는 느낌이다.

 

 

 

 

 

앞에서 얘기했듯이 차이나타운의 경계는 불분명하다. 패루라는 대문이 세 곳에 설치돼 있지만 일제의 흔적과 맥아더 장군을 기념하는 자유공원, 그리고 그 밑에는 역사문화의 거리가 조성돼 있어 산만한 느낌이 든다.

 

문제는 차이나타운의 경계뿐만 아니라 차이나타운이 가지고 있어야할 문화적 경계마저 불분명하다는 것이다. 화교들 스스로가 만들어 사는 차이나타운이 아니라 외부의 의지대로 끌려가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화교들의 문화는 '관광특구지정'이라는 거대한 괴물에 맥을 못 추며 점점 사라지고 있는 게 아닐까?

 

 
인천 차이나타운이 외국의 다른 차이나타운보다 규모도 작고 거주하는 화교들의 수도 적다. 그만큼 관광지역으로 개발해서 적은 비용으로 지역 경제를 활성화 하는 것은 좋은 생각임에 틀림없을 것이다. 그러나 건물 페인트 색만 붉고 그 안에서 자장면을 판다고 차이나타운이 되는 건 아니다.  

차이나타운에서 생활하는 화교들의 문화를 관광객들이 직접 느낄 수 있게 개발해야 한다. '코리아식 차이나타운'이 아닌, '차이나식 차이나타운'이 돼야 한다.
 
'차이나타운은 과거에 이랬던 곳이기 때문에 이렇게 만들어 가겠다'라는 생각보다 이곳은 지금도 화교들이 살고 있는 '현재진행형의 차이나타운'이란 생각이 중요하다.  
 
인천의 차이나타운이 '화교들의 전통이 살아있는 고요한 생활터전'으로 남길 바라는 마음이다.

#차이나타운#화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정직한 시선과 정직한 사진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