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필자의 산문집에 게재된 유대봉씨 사진. 여름학기 수료식에서 초급 1반 수료증을 받았다.
필자의 산문집에 게재된 유대봉씨 사진. 여름학기 수료식에서 초급 1반 수료증을 받았다. ⓒ 구은희
집에 가서 따로 공부하기 힘든 학생들의 실정을 감안해 필자는 무조건 수업 시간 내에 암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아무래도 '쉰, 예순, 일흔, 여든, 아흔'이 쉰이 넘어서 한국어를 공부하는 백인 아저씨 유대봉씨에게는 버거운 모양이다. 학생들이 돌아가면서 '열 스물 서른 마흔'을 세고 있는데 유대봉 씨가 '쉰'을 세야 할 때 다시 막히고 만다.

그때 야후에 근무하는 또 다른 백인 학생 이보명씨가 유대봉씨에게 '바이씨클'이라고 하면서 자전거 타는 동작으로 힌트를 준다. 처음에는 '자전거'와 '쉰'이 무슨 관계가 있을까 싶었지만 나중에 '스윈'이라는 명품 자전거 브랜드가 있는 것을 알고서 이보명 씨의 재치에 또 한 번 놀랐다. 그렇게 유대봉씨는 '쉰'을 암기할 수 있었다.

야후에 근무하는 이보명씨와 그의 가족.
야후에 근무하는 이보명씨와 그의 가족. ⓒ 구은희

그 다음 고개는 '예순'인데 이건 아무리 생각해도 연상되는 것이 없었다. 그때 필자가 생각한 것이 '예수'라서 '예수'가 영어 '지져스'의 한국 발음이라고 이야기 해 주면서 그런데 60과 예수가 어떤 관계가 있는지는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때 유대봉씨가 '666'이라고 하면서 '예수'와 '예순'의 관계를 만들어냈다. 이제 '쉰'은 '자전거'와 '예순'은 '예수'로부터 떠올릴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제 우리 학생들은 1부터 100까지 순 한국 숫자나 한자 숫자 모두 셀 수 있고, 자신의 전화번호를 듣기 좋게 불러줄 수 있으며 고양이를 셀 때에는 '한 마리, 두 마리' 이렇게 셀 줄 알고 사람을 셀 때에는 '한 명, 두 명'이라고 셀 줄 알게 되었다.

한국 사람들도 힘들어 하는 우리 숫자를 한국식으로 손가락을 꼽아가며 세는 학생들을 바라보며 어떻게 하면 좀 더 쉽고 재미있게 한국 숫자들을 가르칠 수 있을까 고민해 본다. 필자의 산문집 '한국어 사세요!'에 나온 자신들의 사진을 보면서 신기해 하는 사랑스런 제자들의 모습을 보며 돈도, 명예도 없는 일이지만 이 길을 택한 것이 아주 잘 한 일이라는 생각을 다시 한 번 해 보게 된다.

덧붙이는 글 | 구은희 기자는 미국 실리콘밸리 지역 어드로이트 칼리지 학장이자 교수, 시인입니다. 본 기사는 미국 로칼 신문 '코리아나뉴스'에도 송부했습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미국에서 한국어 및 한국 문화를 가르치는 교수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